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만초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만초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東輿圖의 경조오부도. 용산 附近 標示된 만초천(蔓草川).
龍山詩歌도 (1927年). 漢江 合流 地點에 욱천(旭川)으로 標示된 만초천
서울 地圖 (1946年). 용산 附近 욱천(Uk-ch'on)으로 標示된 만초천.

만초천 (蔓草川)은 서울特別市 西大門區 仁王山 의 西쪽과 龍山區 南山 의 南西쪽에서 各各 發源하여 三角紙 隣近에서 합쳐진 뒤 漢江 으로 合流하던 河川 이다. 日帝 强占期부터 産業化 時期까지는 日本式 名稱인 욱천 ( 旭川 ( あさひかわ ) , 아사히카와)으로 改稱되어 불렸으며 [1] , 달리 舞樂千 (毋岳川), 갈月千 (葛月川), 덩쿨內 라고도 하였다. 過去 만초천의 게잡이는 龍山八景(龍山八景) 中 하나였다. [2]

現在 이 河川은 南營驛 에서 龍山驛 間의 約 150m 區間과, 龍山 美軍基地 內部 區間 [3] 을 除外하고는 모두 覆蓋 되었다. 만초천으로 放流되는 排水펌프場으로는 용산구 한강로3街 25-2의 龍山펌프場, 원효로3街 51-4의 元曉펌프場, 한강로1街 77-4의 三角紙펌프場, 문배동 30-81의 문배펌프場이 있다. [4] [5]

沿革 [ 編輯 ]

  • 淸日戰爭 以前 : 日本의 龍山 占領. 만초천 個數. [6]
  • 1914年~ : 漢江의 逆流를 막기 위한 堤防工事 着手. [6]
  • 1919年 : 남대문역 個軸에 따라 만초천을 京釜線 西쪽으로 옮기고, 갈월동에서 三角紙까지의 區間은 支流로 남김. [2]
  • 1962年 8月 22日 : 서울驛에서 원효로까지의 覆蓋 工事 着手. [2]
  • 1967年 8月 15日 : 覆蓋 工事 大體로 完工. [2]
  • 1972年 : 만초천을 覆蓋한 敷地에 들어선 西小門아파트 竣工. [7]

過去의 다리 [ 編輯 ]

朝鮮 時代 만초천의 다리 目錄이다.

  • 硯滴校(硯滴橋) : 옥천동 에 있었으며, 개울물을 건너는 곳에 물이 빠지는 구멍이 硯滴 과도 같게 생겼다 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8]
  • 石橋(石橋) : 橋南洞 100番地 北쪽에 있었으며, 大東地志 에는 初校(草橋)라고 적혀 있다. [9] 橋南洞은 이 다리 南쪽에 있는 洞네라 하여 命名되었다.
  • 景敎(京橋) : 忠正路1街 90番地 서울적십자병원 앞쪽에 있었으며, 競技監營 倉庫 隣近에 位置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9] 京橋莊 의 由來가 되었다.
  • 新敎(新橋) : 義州로1가 106番地 南東쪽에 있었으며, 새로 놓은 돌다리라 하여 이러한 이름이 되었다. [10]
  • 異敎(?橋) : 合同 16番地 西小門公園 北쪽에 있었으며, 흙다리[?] 또는 헌다리라고도 불렸다. [10]
  • 焰硝廳校(焰硝廳橋) : 中林洞 9番地 南쪽에 있었으며, 廉청교(焰廳橋) 또는 염천교 (鹽川橋)라고도 불렸다. [10] 焰硝廳 은 各 軍門(軍門)에서 必要에 依하여 設置하였기 때문에, 推定하건대 이 다리 附近에 焰硝廳이 있어 命名된 것으로 推定된다. [11]
  • 主敎(舟橋) : 靑坡洞1街 168番地 附近에 있었으며, 淸派배다리라고도 불렸다. [10] 《東國輿地勝覽》에는 청파신교(靑坡新橋)로 되어 있고, 《동국餘地備考》에는 “청파신교는 崇禮門 밖에 있는데 俗稱 主敎라고 하였다.”라는 記錄이 있다. [11] 朝鮮 初期의 文臣 成俔 은 臨時로 놓은 다리였던 이 다리를 돌다리로 重建한 것을 1497年 7月에 〈청파石橋機〉라는 記錄으로 남겼다. [12] 1902年頃 京釜鐵道의 敷設에 따라 撤去 및 放置되다가 사라졌다. [2]

各州 [ 編輯 ]

  1. 만초천 Archived 2011年 4月 11日 - 웨이백 머신 배우리(韓國땅이름學會腸), 2003年 11月 27日 作成.
  2. 이순우 (2019年 5月 24日). “만초천 물길이 남겨놓은 痕跡, 갈월동 窟다리 淑明女大 앞 進入道路가 두 갈래 一方通行路가 된 까닭은?” . 《民族問題硏究所》 . 2019年 8月 19日에 確認함 .  
  3. 고재열 (2018年 12月 21日). “返還된 듯 返還 안 된 서울 안의 美國 땅” . 示唆IN . 2019年 8月 19日에 確認함 .  
  4. 消防防災廳 (2007年 10月 25日). “全國 排水펌프場現況” . 《大韓民國 政策브리핑》 . 2019年 8月 19日에 確認함 .  
  5. 環境部 上下水道政策官 生活下水과 (2018). 《2016 下水道 統計(中)》 . 世宗: 環境部. 1820-1821쪽.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6. 이상배 (2000). 《서울의 河川》. 서울: 서울特別市史編纂委員會. 277쪽. ISBN   9791160710182 .  
  7. 황두진 (2016年 6月 13日). “[建築家 황두진의 무지개떡 建築을 찾아서] 道路와 뒷골목 그리고 鐵道邊으로… 물길 따라 連結되는 疏通·美德의 空間” . 《서울新聞》 . 2016年 12月 11日에 確認함 .  
  8. 공순정 (1924年 7月 27日). “옥천동 硯滴校” . 《東亞日報》 . 2016年 12月 11日에 確認함 .  
  9. 이상배 (2000). 《서울의 河川》. 서울: 서울特別市史編纂委員會. 248쪽. ISBN   9791160710182 .  
  10. 이상배 (2000). 《서울의 河川》. 서울: 서울特別市史編纂委員會. 249쪽. ISBN   9791160710182 .  
  11. 박현욱 (2006). 《서울의 옛물길 옛다리》. 서울: 十月. 247쪽. ISBN   8995397004 .  
  12. 박현욱 (2006). 《서울의 옛물길 옛다리》. 서울: 十月. 248-249쪽. ISBN   8995397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