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디도에게 보낸 便紙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디도에게 보낸 便紙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디도에게 보낸 便紙 (共同飜譯), 또는 티토에게 보낸 書簡 (가톨릭), 디도서 (改新敎)는 사도 바울로 크레타 敎會의 디도 에게 보낸 書信서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와 함께 세 個의 牧會書信 中 하나이다. 監督의 條件과 義務가 記述되어 있다. [1]

받는이 [ 編輯 ]

디도 使徒行傳 에는 登場하지 않고 갈라디아서 2:1, 3에서 바나바 와 디도와 함께 예루살렘으로의 旅程을 描寫하면서 처음 登場한다. 그 後 디도는 그리스의 코린토스 로 派遣되어 그곳의 基督敎 社會와 바울 사이의 仲裁 役割을 成功的으로 遂行했다. 디도는 後에 크레타 섬에서 敎會를 組織하는 것을 돕기 위해 남겨졌는데, 以後 바울과 니코폴리스 에서 再會한 뒤 달마티아 (現在의 크로아티아)地方으로 移動한다. 가이사랴 유세비우스 는 그의 著作 敎會史 에서, 디도가 크레타 의 첫 番째 監督으로 奉仕했다고 敍述한다. [2] 디도는 크레테의 고르틴 에 묻혔고, 그의 머리는 後에 사라센 이 832年에 크레타를 侵攻했을 때 베네치아로 移送되어 산마르코 大聖堂 에 安置되었다고 傳해진다.

構成 [ 編輯 ]

바울의 咀嚼城에 反하여 [ 編輯 ]

디도서는 나머지 牧會書信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와 마찬가지로, 많은 城西批評學者 들로부터 胃經 으로 取扱된다. [3] 이 學者들은 牧會書信의 言語와 內容을 根據로, 이 書信들이 바울이 아닌 匿名의 위作者가 바울 事後에 記錄한 것으로 본다. 批評家들은 電氣的(傳-) 史料들과, 바울이 아닌 招待 신흥교회의 視角을 反映하고 있다는 點을 들어 牧會書信들이 바울에 依해 쓰여진 것이 아니라고 主張한다. 이 學者들은 디도서의 連帶를 서기 80年代부터 2世紀 말까지 높여 推定한다. [4] 잉글랜드 聖公會 共同 祈禱書 성구 主席 解說書 가 이러한 視角을 反映하였는데, 여기에는 "神學的인 主題들과 實際的 主題들을 比較하여 考慮했을 때, 이러한 著作이 바울 死後의 2世紀 後半 敎會 共同體에서 쓰여진 것으로 看做된다"고 記錄되어 있다. [5]

디도서는 디모데전서 와 깊은 聯關이 있는데, 類似한 主題에 對해 類似한 絶句들과 表現들이 使用되었다는 點에서 그렇다. [6] [7] 이 點 때문에 많은 學者들이 디모데 전후서와 같은 위作者가 디도서를 記錄했다고 믿는다. 이 位作者는 "牧師(the Pastor)"라고 불린다. [8]

傳統的 觀點: 바울 書信 [ 編輯 ]

그러나 韓國을 비롯해 많은 基督敎 神學者들은 디도서 1:5에서 言及되는 바울이 크레타를 訪問한 時期에 쓰여졌다고 믿는다. 使徒行傳 27:7은 바울이 裁判을 받기 위해 로마로 가던 中 크레타에 訪問한 것을 言及하는데, 이 後 2年間 拘留生活을 한 點을 考慮하면 이 時期에 디도서가 쓰여졌을 수는 없다. 따라서 이에 對한 傳統的인 解釋 은, 바울이 釋放된 後에 로마에서 아시아로 가면서 디도를 "남은 일을 整理하"都錄 남겨두었다는 것이다. 그 後 바울은 에베소 로 가서 디모데를 남겨두고, 에베소에서 마케도니아 로 移動하며 디모데전서를 記錄한 뒤, 디도서에 記錄되어 있듯 마케도니아의 니코폴리스 [9] 에서 디도서를 66年이나 67年頃에 記錄했을 것이다.

最近에는 바울이 로마書 16:22에 나오듯 代筆者나 祕書를 使用하여 便紙를 作成했을 것이며, 特히 牧會書信의 境遇는 누가가 作成했을 것이라는 理論이 다시 떠오르고 있다. [10] [11] 이는 聖經 記錄者들을 包含해 古代時代에 흔히 使用되던 方法이다. [12] [13]

에피메니데스의 逆說 [ 編輯 ]

디도서가 가지고 있는 하나의 世俗的인 特色은 에피메니데스의 逆說 을 引用하였다는 點인데, 그 內容은 "韓 크레타人 豫言者가 '크레타人들은 모두 거짓말쟁이다'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14] 共通體의 一員으로서, 本人이 所屬된 共同體의 모든 個人이 거짓말쟁이라는 이 主張은 아주 有名한 論理 퍼즐 로, 詩篇 116:11에도 適用할 수 있다.

거짓敎師 [ 編輯 ]

디도서 1:9에서 바울은 유대 基督敎人 中 一部를 거짓敎師로 描寫한다. [15] [16] 바울은 이 거짓敎師들을 不順從하고 헛된 말을 하며, "自己가 確證하는 것도 깨닫지 못하는 [17] " 律法敎師들이자 믿음을 타락시키고자 하는 속이는 者들로 描寫한다. [18] 章 칼뱅 은 여기서 거짓敎師들( 古代 그리스어 : ματαιολογ?α )을 有益한 敎理와 比較하여, 하나님에 對한 敬畏心에 寄與하지 못하는 하찮은 敎理들을 의미한다고 敍述했다. [19]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arris, Stephen L. , Understanding the Bible . Palo Alto: Mayfield. 1985.
  2. 유세비우스 , Church History III.4
  3. Ehrman, Bart (2011). 《Forged》. HarperOne. 93?105쪽. ISBN   978-006-201262-3 .  
  4. Raymond E. Brown .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 New York: Anchor Bible, p. 662
  5. Houlden and Rogerson (2001). 《Common Worship Lectionary: a Scriptures Commentary》. London: SPCK. 18쪽.  
  6. William Paley Horae Paulinae (1785)
  7. Bart D. Ehrman .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pp. 385ff
  8. Harris, Stephen L. , Understanding the Bible. Palo Alto: Mayfield. 1985. “The Pastoral Epistles“ p. 340?345
  9. "It was written to Titus, ordained the first bishop of the church of the Cretians, from Nicopolis of Macedonia." ? 킹 제임스 聖經 디도서 3:15 뒤의 主席
    • 參考: 니코폴리스 에페이로스 에 있었다는 말은 嚴密히 말해 事實이지만, 紀元前 146年에 에페이로스는 마케도니아 屬州 의 一部였다. 트라야누스 皇帝 治世인 紀元後 110年에 에페이로스는 마케도니아 및 아카이아와 別個의 屬州가 된다. 따라서 바울이 살던 때에 “마케도니아의 니코폴리스”라는 表現은 옳다.
  10. George W. Knight,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Carlisle, England: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1992), 48.
  11. William D. Mounce, Pastoral Epistles, vol. 46, Word Biblical Commentary (Dallas: Word, Incorporated, 2000), cxxix.
  12. Richards, E. Randolph. Paul and First-Century Letter Writing: Secretaries, Composition and Collection. Downers Grove, IL; Leicester, England: InterVarsity Press; Apollos, 2004.
  13. Harry Y. Gamble, “Amanuensis,” ed. David Noel Freedman, The Anchor Yale Bible Dictionary (New York: Doubleday, 1992), 172.
  14. Titus 1:12?13
  15. Titus 1:9?16
  16. Arichea, Daniel Castillo; Hatton, Howard (1995). 《A handbook on Paul's letters to Timothy and to Titus》. New York: United Bible Societies. ISBN   978-0-8267-0168-8 .  
  17. 1 Timothy 1:6
  18. Towner, Philip H (1994). 《1?2 Timothy [and] Titus》. Downers Grove (Ill.): InterVarsity Press. ISBN   978-0-8308-1814-3 .  
  19. Calvin, Jean; Calvin Translation Society (1844). 《Calvin's commentaries ...》. Edinburgh: Printed for the Calvin Translation Society.  

外部 링크 [ 編輯 ]

디도서의 한글 飜譯本

디도에게 보낸 便紙
移轉
디모데후서
新約聖書
聖經 目錄
以後
빌레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