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經營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經營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經營學
學問名 經營學

經營學 (經營學, 英語 : business administration, business management )은 企業의 經營을 위한 學問이다. 20世紀 産業 構造가 複雜해지고 수많은 企業 들 사이에 競爭 이 熾烈해짐에 따라서 實際 會社 經營 에 要求되는 知識 의 體系化와 이의 傳達을 위하여 經濟學 에서 實踐的 理論 爲主의 學問으로서 獨立한 學術 分野이다. 經營學의 基本 硏究는 機能的으로 區分하면, 生産管理 , 人事組織 , 마케팅 , 財務 , 會計 와 最近에 包含된 經營情報시스템 等으로 區分할 수 있다. 經營學의 硏究 分野는 企業과 企業 環境 사이에서 發生하는 實際的 問題들이다. 國民 經濟와 企業의 發展, 卽 效率的이고 收益性의 向上을 위한 計劃이나 組織 體系의 改善策에 關한 硏究와 實踐에 經營學이 直接 關與한다고 볼 수 있다. 이 點에서 經營學은 經濟學 의 理論을 適用하며, 心理學, 統計學, 敎育學, 基礎工學 等과 連繫하여 企業의 經營을 위한 應用 學問이다.

그러나, 經營學은 硏究 分野가 組織의 運用·組織·指揮 等을 體系的으로 硏究하는 學問이라는 特性으로 인해 經濟나 企業 活動에 局限된 學問이 아닌 모든 組織에 椄木될 수 있는 學問이다. [1]

槪要 [ 編輯 ]

分類 [ 編輯 ]

經營學의 目的인 企業 및 組織에 關한 現象을 밝히는 點에 비추어, 人間과 人間의 意思에 依한 關係가 發生하는 이른바 社會現象 에 對해 硏究하는 社會科學 의 範疇에 屬한다고 볼 수 있다. [2]

特性 [ 編輯 ]

經營學의 學問的 特性은 크게 '理論科學인가 實踐科學인가'와 '科學인가 技術인가'로 論할 수 있다.

于先 經營學은 經營現象에 對해 理論的 硏究方法을 통하여 事實的으로 分析해 原理를 論理的으로 세워나가면서 하나의 原則으로 完成시키는 特性을 갖고 있는 理論科學의 特性을 갖고 있는 反面 經營學은 目的을 達成하기 위해 여러 가지 方法이나, 手段들 中에서 어떤 것을 選擇하는 게 가장 좋을지, 理想的일지 그리고 最小限은 어떻게 하는게 좋은지에 對한 實踐原理에 對한 硏究를 하는 實踐科學이라는 點에서 一般的으로 經營學은 理論科學과 應用科學 兩面性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理論科學과 應用科學이 서로 相互補完的인 關係에 있다.

한便 어떤 學問이 科學으로 分類되려면 特定의 對象에 關해 經驗을 통해 얻은 法則이나 原理를 客觀化하고 普遍化하여 理論性 乃至 合理性과 實證性을 갖춘 知識의 體系性을 갖추고, 분명한 原則들을 理論으로 記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科學과 技術이 區分되어야 한다는 主張이 登場하면서, 經營學者들 사이에서 經營學이 科學인가 技術인가에 對한 論爭이 오랜 期間 동안 있어왔고, 實際로도 經營學은 技術的인 側面이 많이 浮刻되었다. 하지만 第2次 世界 大戰 以後 經營學은 學問的으로 科學性이 必要하다는 主張이 提起됨에 따라 이에 副應해 現在의 經營學은 科學的인 側面과 技術的 側面을 同時에 注目하게 되었다.

綜合하자면, 經營學은 經營活動을 硏究對象으로 하여 理論, 實踐, 科學과 技術 네 가지 側面을 모두 지니는 綜合 學問이라고 整理할 수 있다. [3]

目的 [ 編輯 ]

經營學의 目的은 于先 經營과 關聯된 여러 現象들을 說明해, 經營者가 實際 狀況에서 問題點들을 解決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窮極的으로는, 經營 現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問題點들을 完璧하게 科學的으로 分析 할 수는 없지만, 指導가 現實을 完璧하게 反映하지 못할 지라도 도움이 되듯, 經營學 또한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두 番째로는, 他人에게 왜 그렇게 經營을 해야하는지 理論的으로 說明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어떤 經營者가 다른 사람에게 用語가 不分明하거나 自身만 理解할 수 있는 論理를 說明한다면 意思 疏通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經營者는 이러한 問題點을 解消하기 위해 經營學的 素養이 반드시 必要하다.

세 番째로, 經營學은 人類의 삶의 質을 增進시킬 수 있는 直接的인 知識道具이기 때문이다. 經營學的 知識을 통해 成功的으로 企業을 運營할 수 있게 되면 社會에서 要求하는 製品과 서비스를 提供해 顧客의 삶의 質에 도움이 되며 勤務者의 職務 滿足까지 充足되어 企業이나 株主의 利益 뿐만이 아니라 人間의 生活上, 國家競爭力 向上 等, 生態系의 循環처럼 社會에 큰 寄與를 할 수 있다. [4]

歷史 [ 編輯 ]

經營學의 分類 [ 編輯 ]

마케팅 專攻 [ 編輯 ]

人事組織 [5] 專攻 [ 編輯 ]

生産運營 專攻 [ 編輯 ]

財務金融 [7] 專攻 [ 編輯 ]

會計 專攻 [ 編輯 ]

經營情報시스템 專攻 [ 編輯 ]

기타 [ 編輯 ]

類似科學 論爭 [ 編輯 ]

經營學에서 一般化하는 理論 및 槪念은 事實 學術的 條件의 嚴密性을 채우지 못한 것이다. 假令, 消費者 心理學에서 經營學은 이미 社長된 心理學 理論 또는 標本과 그 크기가 嚴密하지 못한 硏究를 無批判的으로 담는 境遇가 많다. 게다가, 經營學 自體의 學問的 方法論도 一般的인 社會科學과 差異가 甚하며, 儼然히 類似科學으로 分類될 수 있다는 批判이 提起되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학현사, 《經營學原論》. p.17
  2. 학현사, 《經營學原論》. p.19
  3. 학현사, 《經營學原論》. p.19~20
  4. 학현사, 《經營學原論》. p.21~22
  5. 國內의 經營學 專攻 體系에서 人事管理와 勞使關係를 單一專攻으로 다루고 있다.
  6. 大學校의 學制에 따라 人事組織과 分離 區分하기도 함
  7. 經營學의 財務管理 專攻에 金融産業 金融工學 이 包含됨으로써 學問體系가 擴張됨에 따라 財務金融으로 名稱이 變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