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靑年드림]中企 일자리를 굿잡으로 만들고… 知識基盤 創業에 인센티브 줘야|동아일보

[靑年드림]中企 일자리를 굿잡으로 만들고… 知識基盤 創業에 인센티브 줘야

  • Array
  • 入力 2012年 11月 7日 03時 00分


코멘트

大選候補에게 보내는 일자리 提案

박철우 한국산업기술대 교수(기계공학)·청년드림센터 자문위원
박철우 韓國産業技術大 敎授(機械工學)·靑年드림센터 諮問委員
요즘 大選 雰圍氣가 뜨겁다. 候補들은 國民의 마음을 얻기 위해 많은 사람을 만나 公約(公約)을 내놓는다. 그中 으뜸은 일자리 公約이다. “어떻게든 일자리를 만들겠다”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은 바로 나”라고 强調한다.

그러나 여러 番의 大選을 거치고 많은 公約이 나왔어도 問題는 解消되지 않았다. 如前히 靑年失業 問題는 深刻하며 오히려 各界各層의 일자리 問題가 더해져 社會 全般的인 일자리 葛藤이 惡化되고 있는 樣相이다.

只今까지 政府의 代表的인 靑年일자리 對策은 인턴십, 就業補助金, 創業·창직 等이다. 인턴십은 敎育的 目的으로는 奏效했지만 就業으로 이어진다는 保障이 없다. 또 企業들은 短期 就業補助金만으로 新規採用을 決定하지 않는다.

創業에도 問題가 적지 않다. ‘1인 創業·창직’李 한때 强調됐지만 統計를 보면 成功率이 낮아 失敗하고 挫折하는 사람이 더 많다. 그런데도 이番 大選候補들은 모두 靑年일자리 解消 方案 中 하나로 다시 創業을 이야기한다. 旣存 政策들과 다른 政策일까.

個人的으로 靑年일자리 問題는 3가지 方向으로 接近할 必要가 있다고 본다.

첫째, 旣存 創業과 다른 ‘準備된 知識基盤 創業’이 必要하다. 高校, 專門大, 地方大 卒業生 等 就業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누구나 할 수 있는 創業, 飽和된 市場 탓에 失敗할 確率이 큰 創業을 勸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이보다는 準備된 創業, 卽 知識基盤 비즈니스 모델로 未來 社會를 책임지는 創業이었으면 좋겠다. 優秀한 大學院, 大學 在學生들이 大企業 代身에 所屬 硏究室을 基盤으로 創業한다면 좀 더 成功한 創業이 될 것이다.

둘째, 中小企業 일자리를 ‘굿 잡’으로 만드는 것이다. 國內에도 ‘大企業 專屬型’이 아니라 獨自的인 비즈니스 모델로 世界市場을 先導하는 中小企業이 많다. 이런 企業은 成長速度가 빠르고 雇傭 創出도 劃期的이며 事業 持續性도 높다. 이들을 旣存 中小企業 分類에서 差別化해 ‘中核(中核)企業’으로 이름을 붙이고 中堅企業으로 成長할 수 있도록 集中 支援하자. 또 이런 企業들이 靑年들이 選好하는 勤務環境을 갖출 수 있도록 돕고 靑年들에게 情報를 提供하자.

셋째, 學生들과 最高經營者(CEO)들의 意識 變化다. 中小企業들은 靑年들의 낮은 職業意識을 탓한다. 하지만 靑年들의 要求가 무엇인지 알면서도 企業文化를 바꾸지 못하는 企業 CEO들의 變化가 必要하다. 職業觀이 뚜렷하지 않고, 職場生活에 對한 準備가 不足한 채로 就業했다가 잦은 移職, 職務 抛棄 等으로 企業에 負擔만 주는 靑年들의 意識도 올바른 職業敎育의 强化를 통해 解消할 必要가 있다.

이와 別途로 政府의 開放的, 統合的 思考가 必要하다. 일자리 問題는 複雜한 數學問題와 같아서 政策을 펴기도 어렵다. 政府 部處 間 壁을 넘어 國家的 觀點으로 問題를 봐야 한다. 일자리는 左右 理念의 問題가 아니라 生存의 問題다. 未來의 일자리를 만들고 보듬고 채우고 나누기 위해서는 統合的, 開放的 일자리 政策을 펼치는 ‘스마트 컨트롤타워’가 必要하다.

박철우 韓國産業技術大 敎授(機械工學)·靑年드림센터 諮問委員
#中小企業 #일자리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