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小說]오래된 庭園(93)|東亞日報

[小說]오래된 庭園(93)

  • 入力 1999年 4月 18日 19時 52分


우리는 그것을 打者로 찍어서 팜플렛으로 만들어 各 그룹들에게 普及했다. 이를테면 이런 式이었다고 記憶된다.

活動家가 地下에 들어간다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이제까지 낯익은 自身과 周邊을 一時에 끊고 얼굴없는 사람들의 삶 속으로 들어간다는 것을 뜻한다. 그에게는 이름도 없고 特徵도 없다. 다만 그는 普遍的인 民衆이 가지고 있는 生計手段을 獲得해야 한다. 언제 어느 곳에서나 就業을 할 수 있는 機能을 習得할 準備가 되어 있어야 한다. 職業이 없는 者는 그 瞬間부터 生存의 方式을 喪失한다. 그뿐 아니라 自身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많은 사람들로부터 信賴를 얻을 수가 없다. 職業을 가지고 自身이 들어선 낯선 世上에서 될 수 있는 限 빠른 時日 안에 脆弱한 自己를 둘러싸 줄 이웃을 만들어야 한다.

過去로 통하는 모든 通信 手段을 斷絶한다. 電報, 便紙, 鱗片은 勿論 特히 電話는 使用되어서는 안된다. 逃避者끼리의 連絡이 不可避할 境遇에는 兩者가 반드시 連結할 代理人을 통해야 하며 그 代理人은 두 段階로 處理해야 한다. 連結을 맡은 代理人은 事前에 반드시 安全 點檢을 해야 한다. 組織 中心은 外郭에서 逃避者의 身邊을 定期的으로 把握하며 期間 中에 어떠한 任務를 주거나 連結을 試圖해서는 안된다.

逃避者는 特히 都市의 中心街를 避해야 한다. 服裝과 말套는 平凡해야 한다. 都心地를 步行으로 移動하는 것은 좋지않다. 步道를 걸을 때에는 길의 안쪽으로 걷고 商家의 쇼윈도를 適切히 活用한다. 橫斷步道를 건널 때에는 信號燈이 켜질 때까지 待機하고 있는 群衆의 뒤에 서서 기다린다. 언제나 群衆 가운데 있을 때에는 너무 빨리 또는 너무 늦게 움직이지 않는다. 大衆交通 手段을 利用할 때에는 可及的이면 長距離 旅行을 하지 않는다. 긴 旅程이라면 몇番에 나누어서 갈아탄다. 都心地에서 버스를 탈 境遇에 安全 座席은 運轉席 뒤便 卽 車道로 向한 熱意 門과 가까운 地點의 座席에 앉는다. 報道쪽으로 있는 자리나 特히 窓가의 자리는 가장 危險한 場所가 된다. 이동은 되도록 夜間에 實行하고 그 다음은 새벽이며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러시아워는 避해야 한다. 그 누군가가 自身을 發見하거나 記憶하지 못하도록 미리 防備해야 할 것이다.

守則은 끝도 없이 繼續되었다. 特히 이런 말은 오랜 동안 腦裏에 남아 있었다.

逃避者는 檢擧되지 않는 것이 그의 同僚들에 對한 첫 番째의 義務이다. 逃避者는 逃避 그 自體가 가장 主要한 活動이다. 이를테면 그는 周圍에 危險을 傳播할 수 있는 傳染病의 保菌者와 같다. 그러므로 스스로를 隔離하여 危險이 가실 때까지 自身과 싸워야만 한다.

鍛鍊, 道德性, 獻身, 믿음, 勇氣… 온 몸을 옥죄는 그런 單語들이 文章의 틈새마다 보이지 않게 숨어 있었지. 그건 마치 뜨겁게 달아오른 마른 혓바닥 너머로 솟아오르는 가쁜 숨결 같았다. 바위틈에서 콸콸거리며 쏟아져 내리는 차가운 물을 가슴 시리게 끝없이 마시고 싶도록 渴症으로 가득찬 文章들.

安養은 예전의 葡萄밭이 모두 사라지고 작은 家內工場들과 接待婦가 득실거리는 술집들과 더러운 廢水가 검게 흘러가는 개川만 남아 있었다. 개川가에 茂盛해진 뱀 풀 덩굴조차 반가울 地境이었다. 이제는 그 언저리에 高層 아파트가 줄지어 섰겠지.

<글:황석영>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