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브버그’ 認識 바뀌었다…SNS서 肯定的 키워드 增加한 理由는?|동아일보

‘러브버그’ 認識 바뀌었다…SNS서 肯定的 키워드 增加한 理由는?

  • 東亞닷컴
  • 入力 2024年 6月 22日 17時 41分


코멘트
일명 ‘러브버그’로 알려진 붉은등우단털파리가 수도권 도심 곳곳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다. 사진은 20일 서울 도심에 출몰한 러브버그의 모습. 2024.6.20/뉴스1
一名 ‘러브버그’로 알려진 붉은등우단털파리가 首都圈 都心 곳곳에서 氣勝을 부리고 있다. 寫眞은 20日 서울 都心에 出沒한 러브버그의 모습. 2024.6.20/뉴스1
都心 곳곳에서 出沒하는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가 益蟲이라는 事實이 알려지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肯定的으로 認識하는 키워드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2日 서울디지털財團 硏究報告書에 따르면 最近 2年間 SNS 데이터를 分析한 結果, 2022年 對備 2023年에 ‘러브버그’에 對한 否定的 키워드는 61%에서 55%로 減少하고, 肯定的인 키워드는 29%에서 37%로 增加했다.

2022年 SNS 內容은 ‘不便하다(158건)’, ‘被害 준다(142건)’ 等 否定的인 키워드가 많은 反面, 2023年 SNS 內容은 ‘도움되다(144건)’, ‘좋아하다(134건)’ 等 러브버그의 特徵을 言及한 肯定的인 키워드의 順位가 높아 市民들의 認識 變化를 나타냈다.

이같은 變化는 러브버그가 益蟲으로 알려졌기 때문인 것으로 推定된다. 러브버그는 암수가 꼬리를 맞대고 移動하며 都心에 떼로 出沒한다. 建物 外壁에 다닥다닥 붙거나 사람에게 날아드는 特性 等 때문에 市民들에게 嫌惡感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러브버그는 外形과 달리 成蟲은 꽃의 水分을 도와 生態系의 도움을 주고 幼蟲은 落葉을 分解하여 土壤을 肥沃하게 만든다. 生態系에 도움을 주는 益蟲으로 區分되는 것이다.

財團은 “처음에는 러브버그가 市民들의 不便을 招來해 否定的인 認識이 剛했지만, 時間이 지나면서 害蟲이 아닌 益蟲으로 看做하는 認識이 增加했음을 確認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러브버그 幼蟲의 棲息地인 山과 숲에 殺蟲劑를 無分別하게 使用할 境遇, 다른 昆蟲들을 함께 죽이며 生態系를 攪亂시키고 人間 健康에도 害를 끼칠 수 있다"고 說明했다.

한便 서울 自治區 中 은평구가 러브버그 言及을 第一 많이 한 것으로 調査됐다.

2022年과 2023年 모두 西北圈(은평구, 西大門區, 麻浦區)에서 러브버그 言及量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反面 비(非)西北圈 比重이 20.0%(518件)에서 42.0%(1060件)로 높아져 서울 全域으로 言及量이 擴散된 것을 알 수 있다.

2年間 SNS 言及量이 가장 많은 自治區는 北漢山에 隣接한 恩平區(50.7%)이고, 그 다음 西大門區(9.7%), 麻浦區(8.8%) 順이다. 가장 적은 自治區는 中浪區(0.1%), 衿川區(0.2%), 廣津區(0.3%) 順으로 나타났다. 2023年에 全體對比 言及量 比重이 上昇한 自治區는 鍾路區(4.4%p↑), 城東區(2.3%p↑), 江南區(1.8%↑) 巡이다.

러브버그의 壽命은 1週日 程度로 짧은 것으로 알려졌다. SNS 言及量 또한 러브버그가 登場하는 初여름에 急增했다가 이내 急減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1年 前부터 北漢山을 中心으로 棲息해 오다가 2022年 初여름 서울에 大量 出沒했다. 장마, 熱섬 現象 等 氣候 變化가 主要 原因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예슬 東亞닷컴 記者 seul56@donga.com
#러브버그 #益蟲 #sns 認識 變化 #恩平區 러브버그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오늘의 推薦映像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