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國會議員 發言 公開되기 마련 좋은 言語 써야 한다는데 共感”|東亞日報

“國會議員 發言 公開되기 마련 좋은 言語 써야 한다는데 共感”

  • 東亞日報
  • 入力 2013年 9月 14日 03時 00分


코멘트

서영교 議員 ‘막말 基準’ 아쉬움 吐露
“脈絡上 誤解로 ‘當身’을 막말로 分類”

“國會議員의 發言 하나 하나는 言論뿐만 아니라 國民에게 언제든지 公開될 수 있기 때문에 精製된 言語, 語法을 쓰는 것이 重要하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민주당 서영교 議員(寫眞)은 13日 國會 議員會館에서 동아일보 記者를 만나 이렇게 말했다. 동아일보가 國會 會議錄 民間 檢索시스템 業體인 ‘오픈캉그레스’(대표 安在烘)와 共同으로 19代 國會 開院 以後 會議錄을 全數調査한 報道와 關聯한 所感을 털어놓은 것이다. 徐 議員은 ‘當身’ 等 不適切한 發言을 가장 많이 한 議員으로 調査됐다.

▶本報 12日子 A1面 參照
公式會議藏書 “닥쳐”… 부끄러운 막말 國會


하지만 徐 議員은 調査 基準에 對한 아쉬움도 吐露했다. 그는 “當身이라는 單語를 使用할 때는 ‘法務部 長官님, 當身이 생각하기에는요’처럼 앞뒤 文章에서 높임말을 恒常 붙였다”고 말했다. 높임말을 使用하면서 ‘當身’이라는 呼稱을 쓴 것은 相對를 尊重했기 때문이지 半말로 거칠게 下臺(下待)한 게 아니라는 主張이었다.

동아일보가 國會議員들의 ‘막말指數’를 開發하고 計量化해 選擧 때 有權者들이 參考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데 對해서는 “많은 有權者와 候補者가 共感할 수 있도록 基準을 보다 合理的으로 精巧하게 다듬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황승택 記者 hstneo@donga.com


#國會 #막말 #會議錄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