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니하오 베이징]‘톈안먼 事態’ 17周年|東亞日報

[니하오 베이징]‘톈안먼 事態’ 17周年

  • 入力 2006年 6月 5日 03時 00分


코멘트
1989年 톈안먼(天安門) 事件 當時 맨몸으로 탱크를 막아서 中國 民主化 抗爭의 象徵으로 떠올랐던 왕웨이린(王維林·假名)李 現在 臺灣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톈안먼 事件은 中國 政府가 그해 6月 5日 새벽 톈안먼 廣場에서 民主化를 要求하며 連坐示威를 벌이던 學生, 勞動者, 市民을 武力으로 强制 解散시킨 事件. 탱크를 動員해 100萬 名이 넘는 示威隊를 鎭壓하는 過程에서 最高 1400名의 死亡者와 1萬 名의 負傷者가 發生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왕웨이린은 當時 中國 當局의 逮捕望을 被害 臺灣으로 避身했으며, 現在 臺灣 南部에서 타이베이 九宮(故宮)博物館의 顧問으로 일하며 살고 있다고 홍콩 밍(明)洑가 4日 報道했다.

톈안먼 廣場에 進駐해 들어오던 탱크 4臺를 막아선 寫眞이 全 世界로 打電되면서 왕웨이린은 抗爭의 象徵的 人物로 떠올랐으나 以後 蹤跡을 감춰 生死가 不分明했다. 이番에 그의 行跡이 確認됨에 따라 中國 當局이 장쩌민(江澤民) 前 國家主席의 密令에 따라 왕웨이린을 찾아내 處刑했다는 所聞은 事實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그와 親舊 사이라는 홍콩의 한 敎授에 따르면 當時 後難(湖南) 姓 創社(長沙)에서 마왕퇴(馬王堆) 考古學發掘團 團長으로 일했던 왕웨이린은 톈안먼 廣場에서 民主化 示威가 벌어지자 다른 勞動者들과 함께 上京했다. 베이징(北京) 勞動者 自治聯合會 會員이 된 왕웨이린은 6月 4日 탱크를 막아선 뒤 다음 날 同僚들의 도움으로 베이징을 떠났다.

왕웨이린은 以後 홍콩을 거쳐 臺灣으로 건너간 뒤 結婚까지 했으나 나이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밍洑는 “왕웨이린은 現在 健康이 그다지 좋지 않지만 이番에 自身의 處地를 公開함으로써 當時 외쳤던 民主와 自由의 以上을 中國 人民들에게 傳하고 싶다는 뜻을 披瀝했다”고 傳했다.

▼젊은 世代 “톈안먼 事態? 그런 일 있었나요”▼

4日은 ‘톈안먼 事件’이 發生한 지 17周年이 되는 날이다. ‘피의 日曜日’로 불리는 이날이 올해는 공교롭게도 日曜日이다.

이날 톈안먼 廣場은 이를 全혀 感知할 수 없을 程度로 平穩했다. 中國 政府 亦是 한마디 論評이나 行事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再評價 要求가 17年째 繼續되고 있는 等 이 事態의 後遺症은 아직도 繼續되고 있다.

▽“오늘이 그날 맞아?”=4일 午前 中國 베이징의 톈안먼 廣場.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廣場은 觀光客들로 붐볐다. 廣場 구석구석에 서 있는 公安과 武裝警察, 私服警察의 數가 平素보다 若干 늘었지만 感知하기 어려울 程度에 不過했다.

사람들은 이날을 잊은 듯했다. 觀光客 于某(45) 氏는 “오늘이 무슨 날인지 아느냐”는 質問에 눈만 껌벅거렸다. 20代 中盤 以下 世代는 事件 自體를 잘 알지 못했다. 大學生 天某(23) 氏는 “學校에서 배우지 않아 모르겠다”고 한마디 던진 뒤 記念寫眞을 찍기에 바빴다.

中國 言論에도 關聯 報道는 單 한 줄도 없었다. 홍콩 言論만이 唯一하게 ‘톈안먼 어머니(天安門母親)’ 모임의 再評價 要求를 簡單히 報道했다.

▽머나먼 再評價의 길=大多數 韓國 言論은 ‘톈안먼 事態’ 또는 ‘톈안먼 事件’이라고 中立的으로 부르지만 中國 政府는 ‘反革命(反革命) 暴亂(暴亂)’이라고 부른다. 暴亂이란 暴動이나 叛亂과 비슷한 뜻이다. 反面 유럽의 西方國家는 ‘톈안먼 廣場 大虐殺’이라고 부른다. 臺灣이나 홍콩은 ‘6·4事件’이라고 指稱한다.

톈안먼 事件 犧牲者 遺族 모임인 ‘톈안먼 어머니’나 當時 示威 主導者들은 中國 政府의 評價에 絶對로 同意할 수 없다는 立場이다. 當時 示威는 民主化와 改革을 要求하는 市民들의 正當한 要求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톈안먼 事件에 對한 再評價 論難은 1997年 덩샤오핑(鄧小平)李 死亡했을 때와 第4世代 指導部가 出帆한 直後인 2004年에 比較的 活潑했다.

톈안먼 事件 直後 權座에 오른 장쩌민 前 國家主席이 權力에서 물러났기에 많은 사람이 再評價를 期待했지만 후진타오(胡錦濤) 主席은 이를 拒否했다.

그는 2004年 10月 프랑스를 訪問한 자리에서 記者들의 質問에 “(이는) 嚴重한 政治事件”이라고 말해 ‘反革命 暴亂’이라는 當初 立場에서 多少 後退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當時 措置는 正當했다”며 再評價 要求를 一蹴했다.

▽끝나지 않은 後遺症=中國人에게 톈안먼 事件은 言及하지 말아야 할 ‘禁忌(禁忌) 1號’이다. 文化大革命에 對해서는 意見을 말하다가도 톈안먼 事件이 나오면 입을 다문다.

當時 示威 主導者들은 大部分 亡命客 身世다. 學生運動의 幕後 指導者였던 枉斷(王丹)은 10年間의 收監生活을 마치고 1998年 美國으로 亡命했다. 當時 學生들의 示威를 ‘愛國活動’이라고 評價했다가 黨 總書記職에서 물러난 자오쯔양(趙紫陽)은 지난해 1月 死亡했지만 死後에도 復權이 되지 않고 있다.

베이징=하종대 特派員 orionh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