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天·地·人 다 가난해도 欲望은 넘쳐난다|신동아

한 글字로 본 中國 | 구이저우省

天·地·人 다 가난해도 欲望은 넘쳐난다

貴 마오타이酒의 故鄕

  • 글 · 寫眞 김용한 | yonghankim789@gmail.com

    入力 2016-02-04 11:34:24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구이저우는 中國에서 가장 가난한 곳이다. 그래서 觀光客들은 이곳 住民들이 ‘가난하지만 素朴한 삶에 滿足할 줄 아는 사람들’이라는 속 便한 結論을 내리곤 한다. 그러나 資本主義 烈風은 구이저우人에게 欲望을 膳物했다. 道路도 나기 前에 너나없이 自動車를 사들이는 바람에 聖徒(省都) 구이양은 베이징 다음으로 自動車 購買 制限 都市가 됐다.
    쓰촨(四川)省 청두(成都)에서 구이저우(貴州)省 구이양(貴陽)으로 가는 汽車를 탔다. 午後 5時에 出發, 다음 날 새벽 6時에 到着하는 밤汽車였다. 저녁을 못 먹어 도시락 販賣員이 지나가기를 기다렸지만 오지 않았다.
    저녁 6時쯤 되자 乘務員들이 도시락을 들고 지나다녔다. 한 女性 乘務員에게 “도시락을 어디서 사요?”라고 묻자 뭔가 말을 했는데 中國語가 아닌 듯했다. 내가 멍하게 있으니 標準語로 말했다. “이건 乘務員 도시락이에요.” 한 音節, 한 音節 힘주어 말하는 게 꼭 外國人이 驅使하는 中國語처럼 들렸다. 가무잡잡한 皮膚와 뚜렷한 耳目口鼻의 그女는 구이저우 少數民族 出身일까. 구이양에 가는 사람은 구이저우 사람밖에 없다고 여겨 그곳 方言을 썼을까.



    落伍者의 땅 ‘그레이저禹’

    구이저우省의 略稱은 ‘貴할 귀(貴)’字다. 그러나 이름과 달리 實際로는 아주 가난한 땅이다. 이곳에선 오히려 ‘모든 것이 貴하다’고 해야 할까. 구이저우엔 “하늘은 3日 맑은 날 없고, 땅은 3里 平坦한 곳이 없으며, 사람은 3푼 돈도 없다(天無三日晴,地無三里平,人無三分銀).” 千(天)·知(地)·因(人)이 모두 가난하다. 人口도, 面積도 보잘것없고 1人當 國內總生産(GDP)李 中國에서 가장 낮다. 奧地를 좋아하는 西洋 旅行者들조차 흐린 날씨에 넌덜머리가 나는지 ‘구이저우(Guizhou)’ 代身 ‘그레이저禹(Greyzhou, 잿빛의 株)’라고 한다.
    광시(廣西)의 濕한 空氣가 구이저우의 亞熱帶 高原에서 비와 구름으로 變해 이곳 날씨는 大體로 흐리다. 降水量은 많으나 땅속으로 사라지는 물이 많아 水利施設을 잘 갖추지 않으면 使用할 물이 豐足하지 않다. 무엇보다 平地가 3%밖에 안 된다. 農事짓기가 힘들다. 드넓게 펼쳐진 카르스트 地形은 자못 아름답지만 윈난(雲南)·광시의 名聲에 밀려 觀光客도 적다. 國境地帶가 아니라 交易의 利點도 없다. 그래서 오랫동안 버려진 땅이었다. 疏外된 땅은 疏外된 이들의 安息處가 됐다. 한족에게 내몰린 異民族들, 主流에게 밀려난 落伍者들이 이 땅에 모였다.
    구이저우는 중원의 黨·宋과 윈난의 南朝·代理 사이에 끼인 땅으로 힘의 空白地帶였다. 이 均衡은 元나라가 登場하며 무너진다. 元나라는 南宋과 代理를 征服하며 구이저우度 자연스럽게 吸收했다. 그러나 中央執權勢力이 있어 支配層만 交換하면 되는 윈난과 달리 구이저우엔 이렇다 할 中央執權勢力이 없었다. 征服하기는 쉬웠지만 管理하기는 까다로웠다. 원은 一旦 地域 有志들에게 官職을 주고 中央 調整으로 包攝하는 土沙(土司) 制度를 實施한다.
    원·明·靑 700餘 年에 걸쳐 구이저우는 中國에 消化된다. 土沙 制度로 어느 程度 中央集權化韓 後 土着 勢力인 土沙를 中央 朝廷에서 派遣한 乳管으로 바꿨다. 이를 改土歸流(改土歸流)라 한다. 親中國 土着勢力을 통한 間接支配에서 直接統治로 轉換한 것. 土沙 地域과 中國 內地의 交流가 擴大되면서 “韓人(漢人)은 境界를 넘지 않고, 만인(蠻人)은 洞窟 밖으로 나오지 않던” 地域에 韓人이 大擧 流入됐다. 改土歸流 前 구이저우에는 極少數의 韓人만 있었으나, 交流가 擴大되면서 結局 韓人이 主流 居住民으로 變했다. 오늘날 3000萬 구이저우 人口의 62%가 漢族이다.



    끈질긴 抵抗, 끝없는 叛亂

    말은 簡單해 보여도 統合의 過程은 順坦치 않았다. 먼저 大規模의 駐屯軍이 配置됐다. 오늘날 구이저우에서 比較的 有名한 都市 中에는 軍事都市로 出發한 곳이 많다. 後難과 윈난을 잇는 길목에 位置한 前위안(?遠), 칭옌구전(?岩古?), 안순(安順) 等이 代表的이다. 特히 안순의 天龍鈍步(天龍屯堡)는 明 太祖 朱元璋이 派遣한 30萬 屯田兵 가운데 現地에 눌러앉은 이들이 만든 마을이다. 툰바오인(屯堡人)이라고 불리는 이들은 漢族이기는 하지만, 600餘 年이나 明나라의 末과 옷, 生活方式을 維持하는 바람에 현대 中國人과 큰 差異를 보인다. 그래서 툰바오인은 中國의 ‘57番째 民族’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强壓的인 支配와 收奪에 抗拒하는 少數民族의 叛亂이 이어졌다. 큰 叛亂만 꼽아보자. 먀오족(苗族) 土沙 양응룡의 叛亂은 壬辰倭亂, 몽골族 步바이의 叛亂과 함께 名 萬曆帝의 3代 戰爭(萬曆三大征)으로 꼽힌다. 乾隆帝가 갓 卽位한 1735年의 叛亂 鎭壓 때 靑 朝廷의 集計로 1萬8000餘 地方民이 虐殺되고, 1224個 마을이 불에 탔다. 1795年의 먀오족 對叛亂은 淸의 相當한 全力을 消耗시켰고, 연달아 일어난 白蓮敎의 난 以後 淸은 衰退期에 접어들었다. 구이저우의 叛亂은 名·靑 兩大 帝國의 衰退期를 이끈 導火線이었다.
    호락호락하지 않고 團結力이 높은 먀오족은 大衆媒體에서 곧잘 戱畫化된다. 映畫 ‘쉬즈더源(非誠勿擾)’의 主人公 眞粉은 돈을 벌자 짝을 찾기 위해 연달아 인터넷 미팅을 한다. 그가 만나는 別의別 女子 中에서도 가장 稀罕하게 나오는 게 먀오족 女子다. 銀裝身具를 치렁치렁 단 傳統衣裳을 입고 나와서 結婚하면 진분이 無條件 데릴사위로 自己 집에서 살아야 한다고 말한다.
    “집에 어떻게 가요?”
    “一旦 飛行機로 쿤밍에 到着해서 버스로 24時間 距離인 蒙自에 간 다음 다시 車를 바꿔 타고 病變까지 가요. 거기서 다시 하루 終日 耕耘機와 소가 끄는 수레를 타고 가면 집이에요.”
    “或是 살다가 사이가 안 좋아지면 離婚은 可能하겠죠?”
    “오빠가 先生님 다리를 분질러놓고 말 거예요.”
    코믹 映畫라 惡意 없이 만든 場面이겠지만, 먀오족이 落後한 奧地에 살고, 稀罕한 傳統을 固執하며, 野蠻的이라는 典型的 이미지를 根據로 한 演出이다.
    그러나 한족이 먀오족의 習俗을 비웃는 건 不條理하다. 먀오족이 왜 奧地에 살까. 한족에게 쫓겨났기 때문이다. 왜 銀裝身具를 주렁주렁 매달까. 한족이 侵略할 때 쉽게 避難 가기 위해서다. 먀오족은 한족에게 밀려 繼續 避難을 가야 했다. 避難 때마다 짐을 챙기기 힘들어 먀오족은 全 財産을 銀裝身具로 만들어 늘 걸치고 다녔다. 언제 어디서든 제 한 몸만 건사해서 避難 가면 되니까.

    먀오족과 한족의 鬪爭 歷史는 長長 3000年에 達한다. 古代 神話에 따르면 중원의 皇帝(黃帝)는 東쪽의 癡愚(蚩尤)를 擊破하고 天下의 霸權을 차지한다. 중원의 한족이 東이(東夷) 勢力을 몰아냈음을 의미한다. 치우가 죽으며 피를 丹楓나무에 쏟아 每年 가을 丹楓나무가 붉게 물들게 된 後 먀오족은 기나긴 이週의 歷史를 始作한다. 東北쪽에서 正反對便인 西南쪽까지의 긴 旅程, 黃河와 長杠을 건너고 숱한 山을 넘었다. 定着해서 살 만하면 한족들이 와서 다시 밀려나고, 또 移住해서 살 만하면 다시 밀려나는 삶이 反復됐다.



    ‘딸’ 觀光業, ‘어머니’ 傳統文化

    2008年 디먼을 訪問한 美國 作家 에이미 탠은 두 10代 少女가 둥族 敍事詩를 배우기 싫어하는 것을 본다. “그 노래는 지루해요. 할 일도 많은데 싫어하는 것까지 어떻게 배워요?” 民族의 由來를 담은 敍事詩는 所重한 文化遺産이지만, 少女들의 觀點에선 試驗에도 안 나오고, 漫畫처럼 재밌지도 않고, 歌謠처럼 신나지도 않은 옛날 노래일 뿐이다. 當時 디먼 住民 2372名 中 折半이 넘는 1200名이 이미 外地에서 일하고 있었다. 少女들에게는 敍事詩를 외우는 것보다 外地에서 더 많은 月給을 받을 수 있는 知識이 더 必要했을 것이다.
    現地 文化는 地域 環境에서 가장 잘 살 수 있는 方法을 窮理해온 結晶體다. 現地人들이 그저 아름답기 때문에, 外部人들 보기 좋으라고 文化를 固守한 게 아니다. 그런데 時代가 變하고 環境이 變했다. 소를 치고 農事를 짓는 것보다 觀光客들을 相對로 장사하는 便이 훨씬 便하고 收入도 좋다.
    中世 天文學者 케플러가 “딸인 占星術이 빵을 벌어오지 않았다면 어머니인 天文學은 굶어 죽었을 것이다”라고 했듯, 現代社會에서는 딸인 觀光業이 돈을 벌지 않으면 어머니인 傳統文化는 굶어 죽을 危機에 處한 것이다.
    여기서 問題가 發生한다. 동도서기(東道西器) 運動은 當初 主唱者들의 豫想과 달리 單純히 西洋의 技術만을 輸入하는 데서 끝나지 않고, 西洋의 文化, 精神, 社會制度까지 받아들이는 結果를 가져왔다. 오늘날 少數民族 亦是 生活用品을 바꾸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外部人의 눈에는 色다른 傳統衣裳이지만, 現地 아이들은 촌스럽다고 여긴다. 人口 統制를 嚴格히 해온 盞리 마을에서는 成人이 될 때까지 理性의 손도 잡지 말라고 잔소리를 하지만, 靑少年들은 TV 드라마에서 본 것처럼 思春期 때부터 戀愛하고 싶어 한다.
    2007年 ‘오마이뉴스’ 記者는 12歲 둥族 少女를 만난다. 멋진 옷을 입고 尖端 電子機器를 갖고 다니는 觀光客을 부러워한 少女는 初等學校 4學年 때 家出해서 광둥省 食堂에서 일하다 아버지에게 끌려온 經驗이 있다. “來年에 初等學校를 卒業하면 다시 광둥에 가서 돈을 벌어 願하는 物件을 모두 살 것”이라던 少女는 이제 20代 處女가 됐으리라. 그女는 어디서 어떻게 살고 있을까. 願하던 대로 광둥에서 熱心히 돈을 벌어 멋쟁이 處女가 됐을까.



    가난하지만 비싼 都市

    많은 觀光客이 구이저우를 旅行하고서 이곳 住民들을 일컬어 ‘가난하지만 素朴한 삶에 滿足할 줄 아는 사람들’이라는 속 便한 結論을 내린다. 그러나 사람이란 그리 簡單하지 않다. 三國時代 吳나라의 마지막 君主 孫皓는 政治를 돌보지 않고 奢侈에 熱을 올렸다. 苛酷한 稅金 때문에 百姓들은 貧困에 시달리면서도 上流社會의 사치스러운 生活을 羨望했다. 火核은 當時의 亡國的 世態를 慨歎하는 上疏를 올렸다. “世上은 漸漸 더 貧困해져 가는데, 사람들은 더욱 富裕해지려는 欲望에 발버둥칩니다. 집에는 쌀 한 缸아리 없는데 밖에서는 緋緞옷을 입고 쓸모없는 裝飾을 하는 等 奢侈에 매달립니다.” 1800年 煎이나 現在나 사람의 欲望은 變하지 않는다.
    2014年 구이저우의 1人當 GDP는 4297달러. 南美의 파라과이, 몽골과 비슷한 水準이고, 太平洋의 작은 섬 통가 王國, 아프리카의 튀니지보다도 떨어지며, 톈진의 25%에 不過하다. ‘中國에서 가장 가난한 性’이라는 烙印은 구이저우人에게 큰 劣等感을 안긴다. 가난하기에 奢侈에 對한 欲望이 오히려 더욱 크고, 邊두리에 있기에 外地에 對한 羨望이 더욱 크다.
    聖徒 구이양 사람들은 ‘所得은 아프리카 水準, 消費는 유럽 水準’이라고 自嘲的으로 말한다. 3000위안의 月給을 받으면서도 30위안의 비싼 커피를 보란 듯이 마신다. 自動車, 名品백 같은 奢侈材 消費 烈風은 어디에도 뒤지지 않는다. 2010年 구찌(Gucci) 구이양 賣場이 첫 오픈한 날 400萬 慰安의 賣出을 올려 關係者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道路가 擴充되기도 前에 自動車 購買가 폭증해 交通量을 堪當할 수 없게 되자 구이양은 베이징에 이어 中國에서 두 番째로 自動車 購買 制限 都市가 됐다.
    스스로 ‘구이저우의 베이징’이라 여기는 구이양 사람들은 베이징과 같은 生活을 꿈꾼다. 2004年 월마트가 구이양에 門을 열었다. 當時 土着 商店인 多窓룽(大昌隆)은 월마트보다 價格도 쌌고 交通도 便利했지만, 월마트에만 사람이 몰리는 바람에 營業을 中止할 狀況에 이르렀다. 理由를 묻자 市民들은 答했다. “월마트는 世界的으로 有名한 브랜드라 베이징, 상하이 地域에 일찍이 들어왔다. 只今까진 구이양이 가난해서 들어오지 않았는데, 마침내 구이양에도 들어왔으니 物件을 안 사고 그냥 가서 둘러보는 것만으로도 充分히 價値 있다.”
    奢侈하지 않는다면 살림이 나아질까. 2015年 10月 구이양에 처음 와서 쇠고기면(牛肉麵)을 먹었을 때 多少 놀랐다. 싼 飮食의 平均價가 10위안 程度로 試案이나 청두 等 錚錚한 大都市와 差異가 없었다. 1人當 GDP가 낮으니까 物價가 쌀 거라는 豫想은 빗나갔다. 나중에 現地人에게 들으니 구이양은 所得은 적어도 物價는 決코 싸지 않았다. 이 食堂에서 만난 豁達한 從業員이 맘에 들어 SNS 웨이신 親舊를 맺었다. 그女는 얼마 뒤에 웨이신에 이런 글을 썼다. “며칠 뒤면 生日이다. 그렇지만 손안에 마오 할아버지가 없다.” ‘世宗大王님이 紙匣에 없다’는 말처럼 ‘돈이 없다’는 뜻이다. 그女는 한 달 내내 부지런히 일해봐야 맘에 드는 옷 한 벌 사기에도 빠듯하다며 삶의 苦衷을 털어놨다.
    구이저우의 底力은 뭘까. 山이 많은 만큼 鑛物資源이 豐富하다. 經濟開發이 늦은 탓에 自然과 少數民族의 傳統이 比較的 잘 남아 있어 觀光業에 유리하다. 구이양은 市內 公園에서도 원숭이를 볼 수 있을 만큼 森林이 豐富하고, 여름에 에어컨이 必要 없을 程度로 선선해서 中國 第1의 避暑都市로 손꼽힌다. ‘山林知性 避暑地度(森林地城 避暑之都)’라는 別名도 얻었다.
    黃果樹 瀑布는 일찍이 大旅行家 徐霞客이 “흰 물이 저절로 하얀 꽃으로 變하고, 아름다운 무지개가 織布機度 없이 繡놓아지네”라고 讚歎한 아시아 最大의 瀑布다. 南美의 이과수, 北美의 나이애가라, 아프리카의 빅토리아와 함께 世界 4代 瀑布의 班列에 든다.
    75km의 魔링下 大峽谷은 너비 50~150m, 絶壁 높이 150~200m의 雄壯한 威容을 자랑한다. 두 봉우리가 乳房 같은 雙乳棒(雙乳峰)은 ‘大地의 어머니’ ‘世上에서 가장 아름다운 乳房’이라는 別名을 지녔다. 거리와 角度에 따라 模樣이 달라져 “道路邊 관봉情에서 보면 20代 女人의 乳房처럼 단단해 보이고, 300m 距離에서 보면 30~40代 有夫女의 成熟한 乳房처럼 보이고, 500m 距離에서 보면 60代 할머니의 乳房처럼 보인다.” 每年 9月에 가슴王 選拔大會度 연다.



    마오타이酒 닮은 運命

    다양한 民族文化와 祝祭로 이벤트 달曆도 豐盛하다. 랑더(?德) 먀오족 마을은 ‘1年 中 100日이 祝祭’로 有名하며, 抛義足은 腸卓然(長?宴)을 벌인다. 짧게는 몇 m, 길게는 200m에 이르는 긴 卓子에 모여 飮食을 나눠 먹는 祝祭다. 개를 즐겨 먹어 “布衣族의 말소리가 들리면 개가 逃亡간다”는 俗談도 있다. 둥族 마을은 ‘詩의 故鄕, 노래의 바다(詩之?,歌之海)’로 有名하다. “말할 줄 알면 노래하고, 걸을 줄 알면 춤을 춘다”고 할 만큼 춤과 노래를 즐긴다. 젊은 男女들의 목소리가 淸凉하고 높아 ‘하늘의 퉁소 소리처럼 들린다(天?之音)’는 名聲을 얻었다.
    구이저우의 가장 有名한 特産物은 斷然 마오타이週(茅台酒)다. 1972年 마오쩌둥이 닉슨과 中美修交條約을 맺을 때 마신 ‘國主(國酒)’로 有名하다. 마오쩌둥은 大長程 때 마신 마오타이酒를 못 잊어 國家 行事에서 마오타이酒를 쓰게 했다. 宣祖가 壬辰倭亂 避難길에 먹은 도루묵을 못 잊었다는 이야기와 비슷하다. 그가 마오타이酒를 즐긴 건 그저 술맛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마오쩌둥은 大長程 中 구이저우의 쭌이(遵義)에서 비로소 黨權을 掌握했으니, 그에게 마오타이酒를 마시는 것은 人生에서 가장 빛나는 勝利의 瞬間을 돌이켜보는 것이었을 게다.
    속事情이야 어쨌건 마오쩌둥 德分에 마오타이酒는 名聲을 얻게 됐으며, 비싼 값에도 없어서 못 팔 地境이 됐다. 손호철 서강대 敎授는 구이저우의 마오타이 販賣店에서 80年産 한 甁이 12萬 위안人 것을 보고 反問한다. “한 甁에 1700萬 원짜리 술, 누가 마시는 것일까?”
    마오타이酒는 賂物과 財테크 手段으로 變質됐다. 腐敗 剔抉 過程에 中國軍 將星의 집에서 1萬 病의 마오타이酒가 發見되자 시진핑은 瞋怒했다. “戰爭 準備에 이런 物資가 必要한가?” 2012年 以後 事情(司正)의 된서리를 맞아 마오타이 價格이 暴落했다. 周圍의 輿論에 따라 左之右之된 마오타이의 運命은 故鄕 구이저우와 妙하게 닮아 보인다.



    金 龍 한
    ●1976年 서울 出生
    ●연세대 物理學科, 카이스트 Techno-MBA 專攻
    ●前 하이닉스반도체, 國防技術品質院 硏究員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