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무 苦悶하지 말자, 於此彼 다 살아가게 될지니|신동아

너무 苦悶하지 말자, 於此彼 다 살아가게 될지니

[황승경의 Into the Arte] 映畫 ‘窓門 넘어 逃亡친 100歲 老人’

  • 황승경 公演칼럼니스트·公演藝術學 博士

    lunapiena7@naver.com

    入力 2022-12-13 10:00: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갓난아기 때를 벗자마자 ‘正答’을 배운다. 이 사람은 ‘엄마’고, 저것은 ‘ㄱ(기역)’이며, 그것은 ‘謝過’라는 式으로. 主觀式보다는 客觀式이 더 便하다. ‘正誤表’로 생각을 갈음하는 게 익숙하다. ‘맞지 않으면 틀리다’는 思考方式이 자리 잡는다. 틀린 삶을 살지 않으려 발버둥치다 힘이 다 빠져서야 알게 된다. 애當初 삶에 正答은 없었다는 것을.
    영화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의 주인공 알랭은 100세 나이가 무색할 만큼 능동적이고 진취적이다. [㈜영화사 빅]

    映畫 ‘窓門 넘어 逃亡친 100歲 老人’의 主人公 알랭은 100歲 나이가 無色할 만큼 能動的이고 進取的이다. [㈜映畫社 빅]

    多事多端한 2022年이 지나간다. 올해도 어김없이 繼續되던 늦더위가 無色할 만큼 零下圈 體感 추위가 氣勝을 부린다. 날이 추워지면 憂鬱하고 無氣力해진다. 萬事 귀찮아 마냥 누워 있고 싶지만 門 밖으로 나와 暫時 걸어보자. 떨어진 落葉으로 形形色色 물든 街路樹 길에 서면 萬感이 交叉한다. 밟을수록 바스락거리는 落葉 소리가 마치 오케스트라 演奏처럼 느껴진다. 머릿속에 華麗했던 落葉의 봄날과 여름이 그려진다.

    華奢한 봄날, 푸른 錄音, 丹楓 滿發한 가을, 그리고 설레는 겨울. 反復되는 四季節이 恰似 우리네 人生 같다. 人間은 좋은 學校, 남부럽지 않은 職場, 번듯한 집, 폼 나는 車 等 各自의 正答을 定한다. 正答에 다다르기 위해 이리 뛰고 저리 뛰며 산다. 하지만 世上엔 無數한 ‘解答’만 存在할 뿐. 애當初 ‘正答’은 存在하지 않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虛無하게 느낄 必要도, 複雜하게 생각할 必要도 없다. 끙끙 앓는다고 좋은 생각이 떠오르진 않으니까. 愉快한 映畫 한 篇 보며 쓸쓸함을 떨쳐버리자. 그러다 보면 불현듯 또 다른 나만의 解答이 떠오를 수도 있을 테니.

    가까이서 보면 悲劇, 멀리서 보면 喜劇

    영화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포스터. [㈜영화사 빅]

    映畫 ‘窓門 넘어 逃亡친 100歲 老人’ 포스터. [㈜映畫社 빅]

    映畫 ‘窓門 넘어 逃亡친 100歲 老人’은 2014年 開封된 스웨덴 映畫다. 同名 小說이 原作이다. 原作은 베스트셀러다. 41個 나라에서 飜譯되고 800萬 部 以上 팔렸다. 映畫도 45個國에서 開封돼 世界的으로 注目받았다. 韓國에선 觀客 24萬 名을 모았다. 興行에서 大舶을 거둔 건 아니지만 作品性만큼은 認定받았다. 大槪 ‘스웨덴 映畫界’라고 하면 不世出 女俳優로 손꼽히는 잉그리드 버그먼과 그레타 가르보만 떠올린다. 본디 스웨덴은 ‘映畫의 나라’다. 無聲映畫 時代부터 黃金期를 걸었다. 特히 1930年代엔 斬新한 人物과 시나리오, 監督을 찾던 할리우드 製作者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窓門 넘어 逃亡친 100歲 老人’의 監督 펠릭스 헤른그렌(55)은 스웨덴人으로 喜劇俳優 出身이다. 스웨덴 監督이 메가폰을 잡았다는 消息에 많은 이들은 ‘期待 半 걱정 半’이었다. 第2次 世界大戰 以後 스웨덴 映畫는 暗鬱하고 冷笑的인 人間 心理를 集中 描寫하는 風潮를 띠었는데, 愉快한 小說이 딱딱한 ‘다큐멘터리 映畫’로 變質될까 하는 걱정 때문이다. 映畫가 開封하자 이러한 憂慮는 말끔히 사라졌다. 헤른그렌 監督은 스웨덴의 傳統的 映畫 技法을 維持하면서도 喜劇俳優 出身답게 原作의 愉快함을 몇 倍로 키워냈다. 主演을 맡은 貫祿의 스웨덴 喜劇俳優 로베르트 구스타프손(58)의 演技도 壓卷이다. 20代부터 100歲까지 一貫性 있게 人物을 消化해 냈다. 구스타프손은 左衝右突 狀況에도 始終一貫 대수롭지 않은 듯 무덤덤함 表情을 짓는다. 利點이 觀客에게 獨特한 재미를 膳賜하며 悲劇을 喜劇으로 승화시킨다. 映畫는 ‘삶이란 가까이서 보면 悲劇, 멀리서 보면 喜劇’이라는 찰리 채플린의 말을 떠오르게 한다. 삶에 對한 洞察을 얻는 건 덤이다.



    過去·現在 오가는 豫測不許 冒險談

    題目에서 알 수 있듯 映畫의 主人公은 100歲 老人 알랭이다. 1905年 스웨덴 플렌視(市) 隣近의 시골 마을 윅스홀트에서 태어났다. 알랭은 젊은 사람에 비해 行動만 느릴 뿐 精神的으론 아무런 問題가 없다. 어느 날, 野生 여우가 알랭의 唯一한 親舊 伴侶猫를 죽이는 일이 벌어진다. 알랭은 野生 여우를 산 채로 爆破해 報復하고, 福祉局은 그가 癡呆에 걸렸다고 判斷한다.

    알랭은 福祉局 傘下 療養院에서 관리받는다. 平生 自由롭게 全 世界를 떠돌며 살아온 그로선 답답할 노릇. 療養院 窓門이 높지 않다는 것을 看破하고 脫出을 꾀한다. 生日을 맞이한 날 窓門을 넘어 計劃을 實行한다.

    映畫는 알랭의 過去와 現在를 오가며 豫測不許 冒險談을 담는다. 알랭이 어릴 적 그의 父親은 家庭을 돌볼 생각도 않고 어린이날 廣場에서 콘돔을 弘報하다가 神聖冒瀆罪로 逮捕된다. 表現의 自由를 찾아 러시아로 가더니 러시아軍에게 살해당하고 만다. 살림을 꾸리기 위해 홀로 東奔西走하던 알랭의 母親은 기침을 달고 살다가 제대로 된 治療조차 받지 못하고 死亡했다. “世上은 於此彼 살아가게 돼 있으니 너무 苦悶하지 말라”는 母親의 遺言이 알랭의 人生觀이 됐다. 남겨진 어린 알랭은 危險하게도 ‘爆彈’에 心醉한다. 그것도 爆竹 水準이 아닌, 다이너마이트級 爆發力을 가진 爆彈. 알랭의 繼續되는 爆彈實驗으로 結局 犧牲者가 發生하고, 알랭은 精神病院에 入所하게 된다.

    偶然이 만들어낸 必然

    알랭은 역사 속 굵직굵직한 사건에 ‘우연히’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영화사 빅]

    알랭은 歷史 속 굵직굵직한 事件에 ‘偶然히’ 至大한 影響을 미친다. [㈜映畫社 빅]

    精神病院에서 精管手術을 받지만 알랭은 오히려 人生 逆轉의 機會가 됐다고 慰安한다. 手術 部位가 아파 쉬려고 들어간 武器 工場에서 反(反)파시스트 에스트班을 만났기 때문이다. 알랭은 그를 따라 스페인內戰(1936~1939)에 參戰한다. “共和國 旗발을 드높이고 革命을 完遂하자”던 에스트半은 첫 銃알에 虛無하게 죽지만 별다른 召命 意識 없이 그저 ‘親舊 따라 江南 간’ 알랭은 爆彈 製造 能力으로 眞價를 發揮하게 된다. 그에게 戰爭은 그저 즐거운 놀이였다.

    戰爭 過程에서 알랭은 偶然히 赤軍 首長인 獨裁者 프란시스코 프랑코 總統(1982~1975)의 목숨을 救한다. 프랑코가 膳物로 준 銃으로 美國行 비자를 받아 美國으로 向한다. 이때부터 알랭은 20世紀 現代史의 重要한 瞬間마다 登場해 世上의 變革에 一助하게 된다.

    알랭은 美國의 한 科學硏究所에서 일한다. 硏究所의 物理學者 로버트 오펜하이머(1904~1967)는 第2次 世界大戰 當時 美國의 原子爆彈 製造를 總指揮했는데, 플루토늄 配合 問題로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옆에서 커피를 나르던 알랭이 偶然히 그에게 決定的 힌트를 주게 되고, 核實驗은 成功을 거둔다.

    해리 트루먼(1884~1972) 當時 副統領은 무척 鼓舞돼 “地球에 平和를 정착시킨 英雄”이라며 알랭을 치켜세운다. 美國이 核武器 開發에 成功하자 이오시프 스탈린(1879~1953) 蘇聯共産黨 書記長은 애가 탄다. 물불 안 가리고 美國의 技術을 빼내려 한다. 알랭은 그를 著名한 物理學者로 誤解한 KGB에 依해 蘇聯으로 拉致된다. 當時 蘇聯의 原子力硏究所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으로 誤認돼 拉致된 그의 동생 허버트 아인슈타인도 있었다. 前날 過飮으로 술이 덜 깬 알랭은 스탈린 앞에서 弄談을 서슴지 않다가 勞動收容所로 쫓겨난다.

    그동안 주어진 與件에 크게 不滿이 없던 알랭에게도 勞動收容所 生活은 견디기 어려웠다. 허버트를 만난 알랭은 그와 함께 脫出을 謀議한다. 脫出은 ‘엉겁결’에 이뤄진다. 어느 날 알랭은 허버트가 洗濯室에서 몰래 가져온 手榴彈을 보자 놀란 마음에 急히 던져버린다. 手榴彈은 武器를 싣고 있던 트럭에 떨어지고, 霎時間에 收容所는 불바다가 된다. 混亂을 틈타 알랭과 허버트는 收容所를 悠悠히 脫出한다.

    알랭의 迂餘曲折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서슬 퍼런 冷戰時代에 二重間諜이 된다. 여러 次例 죽을 고비를 넘기며 東西를 오간다. 그의 情報 하나하나에 世上은 요동친다. 미하일 고르바초프(1931~2022) 蘇聯共産黨 書記長은 알랭이 蒐集한 도널드 레이건(1911~2004) 大統領의 私的 對話 內容을 混同해 誤判하고, 이로 因해 1393㎞에 達하는 ‘鐵의 帳幕’李 하루아침에 무너진다.

    所重한 건 一旦 누려라

    영화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은 기발한 발상과 설정으로 관객에게 웃음을 준다. [㈜영화사 빅]

    映畫 ‘窓門 넘어 逃亡친 100歲 老人’은 奇拔한 發想과 設定으로 觀客에게 웃음을 준다. [㈜映畫社 빅]

    原作을 探究하면 映畫의 奇拔한 設定이 理解된다. 原作은 作家 요나스 요나손(61)의 데뷔作이다. 2009年 作品. 以後 요나손은 後續作 ‘核을 들고 逃亡친 101歲 老人’을 비롯해 ‘셈을 할 줄 아는 까막눈이 女子’ 等 여러 作品을 執筆했다. 그는 言論人 出身으로 15年 記者 生活을 거쳐 미디어 會社를 創業해 乘勝長驅했다.

    그러던 어느 날 갑작스럽게 健康에 深刻한 問題가 생겼다. 모든 業務를 멈추고 空氣 좋고 물 좋은 곳으로 療養을 가야 했다. 스위스의 루가노 湖水 近郊로 移住한 그는 모처럼 많은 생각에 잠겨 마음껏 空想에 빠질 수 있었다. 이탈리아와 맞닿은 루가노 地域은 ‘스위스 안 작은 이탈리아’라고 불릴 程度로 溫和한 地中海性 氣候를 가지고 있다. 다른 스위스 地域은 白葡萄酒를 生産하지만 特히 이곳은 메를로 델 티치노(Melot del Ticino)라는 赤葡萄酒 生産地로 有名하다. 날씨 德分인지 住民 性向도 스위스보다는 이탈리아에 가까울 程度로 포실하고 多情하다. 스산한 스웨덴의 氣候와는 正反對라고 볼 수 있다.

    强烈한 햇살과 湖水가의 韻致가 요나손의 筆力을 刺戟했는지도 모르겠다. 그間 빡빡한 社會規範에 抑壓됐던 응어리가 터진 걸까. 그의 奇拔한 發想은 讀者에게 카타르시스를 膳賜했다. 아이러니하게도 讀者는 알랭의 獵奇的 逸脫行爲를 통해 마음의 安定을 찾게 된 셈이다.

    小說에서 알랭은 映畫보다 더 縱橫無盡한다. 映畫엔 省略됐지만 原作에선 알랭이 平壤에 들러 김일성·김정일 富者를 만나 총살당할 危機에 處해졌다가 마오쩌둥의 도움을 받아 목숨을 扶持하는 逸話도 登場한다. 荒唐無稽하게 짜 맞춘 티가 多分하지만 觀客에게 事實인지 거짓인지는 重要치 않다. 限껏 爆笑하다 보면 日常의 스트레스는 散散조각 날아간다.

    다시 映畫로 돌아가 보자. 波瀾萬丈한 過去를 보냈기 때문일까. 療養院을 脫出한 2005年의 100歲 알랭이 겪는 죽을 고비는 深刻하게 보이지도 않는다. 알랭에겐 自身의 幸福이 優先이다. 어떤 問題에 맞닥뜨려도 그다지 苦悶하지 않는다. 映畫 末尾에 알랭은 혼잣말로 “所重한 瞬間이 오면 따지지 말고 누리고 보라”고 중얼거린다. 쉬운 것을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어려운 것을 쉽게 생각하면 오히려 解答에 가까워질 수 있다는 助言 아닐까.


    황승경
    ● 1976年 서울 出生
    ● 이탈리아 레被逮國立音樂院 디플럼, 韓國藝術綜合學校 專門士,  成均館大 公演藝術學 博士
    ● 國際오페라團 團長
    ● 前 이탈리아 盧베 放送局 리포터, 月刊 ‘英카페’ 編輯長
    ● 著書 : ‘3S 보컬트레이닝’ ‘無限한 想像과 놀이의 變奏’ 外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