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神話가 있는 곳 그리스 아테네 市場|新東亞

神話가 있는 곳 그리스 아테네 市場

  • 寫眞·글/최상운(旅行作家, goodluckchoi@naver.com)

    入力 2010-10-05 14:48: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신화가 있는 곳 그리스 아테네 시장

    오래된 家具와 物件을 파는 市場에는 神奇한 것이 많다.

    그리스 아테네의 市場을 찾아가는 길은 世界史의 現場을 찾아가는 旅行도 된다. 歷史가 없는 市場이 어디 있으랴마는 아테네의 市場은 좀 더 특별하다. 무엇보다 古代 그리스의 市長이었던 아고라(Agora)가 있기 때문이다. 紀元前 5~6世紀에 民主主義의 꽃을 피웠던 都市國家 아테네에선 住民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政治에 參與했는데 이 過程에서 自然스레 市場이 생겨났다. 아고라는 아테네 市場의 뿌리인 셈이다.

    當然한 일이겠지만, 아고라가 있는 곳 바로 옆에는 只今도 市場이 열리고 있다. 不過 몇 걸음 만에 數千 年 歲月을 건너는 야릇한 經驗은 若干의 眩氣症을 同伴하는 짜릿함을 준다. 아고라는 거의 市內 中心部에 있는데 예부터 이곳이 아테네의 心臟 구실을 톡톡히 했음을 알 수 있다. 예전에 사람들로 북적거렸을 市場터는 이제 부러진 大理石 기둥들, 무너진 돌무더기만 남아 있다. 그 周圍에 몇 個의 彫刻像이 쓸쓸히 서 있다.

    그러나 바로 옆 야트막한 언덕 위에 壯大한 建物이 서 있으니 바로 그리스 神話에 나오는 申 中 하나인 헤파이스토스의 神殿이다. 神殿은 꽤 良好한 狀態로 남아 있고 여기서 아래로는 아고라가, 저 멀리 높은 언덕 위에는 파르테논 神殿이 있는 아크로폴리스가 보인다.

    아고라에서 나오면 市場 골목이 펼쳐지고 初入에는 食堂들이 있는데 主로 數블라키(souvlaki)를 팔고 있다. 터키의 代表的인 傳統飮食인 케밥과도 닮은 이 料理는 外國人의 입맛에도 잘 맞는다. 特異하게 洋鐵지붕이 여기저기 있어서 韓國의 市場을 떠올리게 하는 이 市場은 觀光客이 많이 오는 곳이라 그런지 主로 記念品들을 판다. 거기에는 목이 꺾인 模樣의 옛날 其他가 있고 끈으로 操縱하는 마리오네트 人形이 있는가 하면,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祝祭 때 나올 법한 假面도 있다. 그리고 주사위 놀이판이 많은데 市場 여기저기에선 只今도 이 놀이를 즐기는 사람이 꽤 있다.

    신화가 있는 곳 그리스 아테네 시장
    1. 온통 검은 옷차림의 마리오네트와 그리스式 女子 人形이 特異하다.



    2. 목이 꺾인 기타에는 사람의 얼굴 形象으로 文樣이 새겨져 있다.

    3. 華麗한 色彩의 옷들이 市場 雰圍氣를 밝게 만든다.

    신화가 있는 곳 그리스 아테네 시장

    市場 골목에서 한가롭게 쉬고 있는 사람들.

    신화가 있는 곳 그리스 아테네 시장
    신화가 있는 곳 그리스 아테네 시장
    1. 數千年 前 市場이 열리던 아고라 언덕 위에 헤파이스토스 神殿이 서 있다.

    2. 몸짱 靑年과 할아버지가 사뭇 신나게 주사위 놀이를 하고 있다.

    3. 아고라 안의 博物館에는 古代 그리스의 멋진 彫刻品들이 展示돼 있다.

    4. 市場 食堂에서는 구운 고기와 菜蔬가 들어가는 수블라키를 많이 판다.

    5. 아크로폴리스가 보이는 廣場의 露店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