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너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바다소 에서 넘어옴)

매너티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哺乳岡
목: 바다小目
과: 매너티과
(Trichechidae)
Gill, 1873
속: 매너티속
( Trichechus )
Linnaeus , 1758
  • 本文 參照
매너티의 分布

매너티의 分布 地域.
아마존매너티 (赤色),
아프리카매너티 (오렌지色),
西印度諸島매너티 (綠色)

매너티 ( manatee )는 바다小目 에 屬하는 哺乳動物의 總稱이며, 分類學的으로는 매너티과 에 屬한다.

槪要 [ 編輯 ]

몸길이는 5m 程度이고 몸무게가 650kg쯤 나간다. 草食動物 熱帶 亞熱帶 珊瑚礁 가 있는 沿岸에서 生活하며 바닷말 을 主食으로 한다. 윗입술은 半씩 갈라져 있어 植物을 먹을 때 집게처럼 使用한다. 매너티는 하루에 45kg 以上의 水草를 먹어치운다. 皮膚는 엷거나 짙은 灰色이며, 짧고 뻣뻣한 털이 온몸에 흩어져 있다. 앞다리는 盧처럼 생겼고, 꼬리는 둥그스름하며, 뒷다리는 없다. 입 밖으로 나온 엄니는 송곳니가 아니고 앞니이다. 입은 돼지 와 비슷하고 몸은 토실토실 살쪘으며, 꼬리에 큰 꼬리지느러미가 있다. 怯이 많으며, 다른 動物로부터의 攻擊을 避하기 위해 바다生活을 하게 된 것으로 斟酌된다. 1時間 以上潛水하여 바다 밑바닥에 靜止해 있기도 하다. 動作은 鈍하여 유영速力도 時速 6km 程度이며, 밤에는 드물게 海邊가에 上陸할 때도 있다. 水面에서 새끼를 안고 젖을 먹이는 習性이 있어 뱃사람들로부터 人魚 로 誤認되기도 하며, '바다의 人魚'라는 別名이 붙여졌다.

下位分類로는 매너티속 ( Trichechus ) 하나밖에 없다. 英語의 ‘sea cow’를 直譯하여 바다소 或은 해우 라고도 불린다. 매너티과와 듀공과 는 頭蓋骨과 꼬리의 모습에서 差異를 보이는데, 듀공은 고래처럼 꼬리가 갈라진 反面 매너티의 꼬리에는 물갈퀴가 있다. 또한, 듀공보다 짧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매너티 聖體와 새끼의 뼈대, 오클라호마 自然史 博物館
西印度諸島매너티의 頭蓋骨, 오클라호마 自然史 博物館

下位 種 [ 編輯 ]

鐘으로는 아프리카 西海岸에 棲息하는 鉏아프리카매너티 ( Trichechus senegalensis ), 南아메리카 東海岸에 棲息하는 아마존메너티

( T. inunguis ), 그리고 카리브海에 棲息하는 西印度諸島매너티 ( T. manatus )가 있다. 한때는 플로리다매너티 ( T. latirostris )를 獨立된 種으로 分類했었으나 ITIS 에서는 이를 西印度諸島매너티의 亞種( T. m. latirostris )으로 分類하여 이것이 一般化되었다.

系統 分類 [ 編輯 ]

다음은 아프로테리아상목의 系統 分類이다. [1] [2]

아프로테리아上木
아프리카好蟲類
官治목

땅돼지과

아프리카식충류
코끼리땃쥐목

코끼리땃쥐과

아프리카땃쥐목

黃金두더지과

고슴도치붙이과

謹製類
바위너구리목

바위너구리과

테티스水流
長鼻目

코끼리科

바다小目

듀공과

매너티과

行動 [ 編輯 ]

滅種危機에 處한 플로리다 매너티( Trichechus manatus )


새끼를 가진 어미나 受容的인 암컷을 따르는 수컷을 除外하고 매너티는 一般的으로 홀로 살아가는 動物이다. [3] 매너티는 하루의 折半 가까이 잠을 자고, 20分 未滿의 間隔으로 規則的으로 空氣를 마시기 위해 水面 위로 떠오른다. 나머지 時間은 大部分 1~2 m 깊이의 얕은 물에서 풀을 뜯으며 보낸다. 플로리다 亞種( T. m. latrostris )은 60年까지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移動 [ 編輯 ]

一般的으로 매너티는 5~8 km/h(3~5 mph) 程度에서 헤엄친다. 하지만, 最高 時速 30킬로미터(20 mph)까지 水泳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知能과 學習 [ 編輯 ]

捕獲된 매너티의 姿勢


매너티는 辨別 課題를 理解할 수 있고 複雜한 聯想學習 의 徵候를 보인다. 또한 그들은 長期 記憶力 이 좋다. [5] 이들은 聽覺 , , 時刻 硏究에서 돌고래 와 類似한 辨別 및 課題 學習 能力을 立證한다. [6]

繁殖 [ 編輯 ]

매너티는 普通 2年에 한 番 새끼를 낳는다. 一般的으로 새끼 한 마리만 태어난다. 孕胎 期間은 約 12個月이며 [3] 암컷은 1年에 한 番 理想 發情 週期 가 있을 수 있지만 새끼에게 젖을 떼는 데는 12個月에서 18個月이 더 걸린다. [7]

意思疏通 [ 編輯 ]

매너티는 特히 어미와 새끼 사이에서의 意思疏通에 使用되는 다양한 소리를 낸다. 그들의 귀는 內部的으로는 크지만 外部 開口部는 작으며, 兩쪽 눈 뒤에 各各 10 cm씩 位置한다. [8] 聖體들은 性的인 行動과 놀이를 하는 동안 接觸을 維持하기 위해 意思疏通을 한다. 맛과 냄새는 視角, 소리, 觸感 外에도 醫師疏通의 形態일 수도 있다. [9]

먹이 [ 編輯 ]

매너티는 草食 動物로 60種 以上의 민물 (예: 떠다니는 히아신스, 물玉簪科의 數秒 , 鰐魚 雜草, 물상추, 검정말 , 미나리 , 麝香 풀, 맹그로브 잎 )과 鹽水 植物 (예: 바다 풀, 모래 풀, 매너티 풀, 거북 풀, 줄말, 바다 클로버, 海藻類)을 먹는다. 그들의 갈라진 윗 입술을 利用해서, 成體는 普通 하루에 몸무게의 10~15%(藥 50 kg)까지 攝取한다. 이런 孃을 消費하려면 매너티는 하루에 最大 7時間 동안 풀을 뜯어야 한다. [10] 植物에 기초한 食單에서 셀룰로오스의 높은 濃度의 消化 過程을 돕기 爲해 매너티는 後場 發效를 利用한다. [11] 매너티는 그물에서 적은 數의 물고기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攝食活動 [ 編輯 ]

매너티 揷畵


매너티는 지느러미를 利用하여 器質에 있는 植物과 뿌리를 캐는 동안 바닥을 따라 걷는다. 植物을 發見하면 지느러미를 利用해 本人의 입술 쪽으로 草木을 퍼낸다. 매너티는 物件을 잡을 수 있는 입술을 가지고 있고, 윗입술 패드는 左右로 갈라져 獨立的으로 움직일 수 있다. 입술은 일곱 個의 筋肉을 利用해 植物을 다루고 찢는다. 매너티는 自身들의 입술과 앞 지느러미를 使用해서 植物을 입으로 옮긴다. 매너티는 앞니가 없지만 입술 뒤, 입 天障에는 촘촘하고 屈曲이 있는 패드가 있다. 이 뿔 같은 屈曲과 매너티의 아래턱은 攝取한 植物 物質을 찢는다. [10]

이빨의 狀態 [ 編輯 ]

매너티는 4줄의 이빨을 가지고 있다. 위턱과 아래턱의 兩옆을 따라 6~8個의 股關節 어금니가 位置하여 總 24~32個의 납작하고 質感이 거친 齒牙가 있다. 거친 草木을 먹으면 齒牙가 磨耗되고, 特히 에나멜 치觀이 損傷되지만, 硏究 結果에 따르면 매너티 어금니의 에나멜 構造가 弱하다고 한다. 이를 補完하기 위해 매너티는 齒牙를 持續的으로 交替한다. 앞 어금니가 닳으면 交替되는 것이다. 어금니 뒷줄에서 어금니가 뽑히고 천천히 앞으로 나아가서 코끼리 와 비슷하게 컨베이어 벨트의 에나멜 治棺처럼 代替한다. 이 過程은 매너티의 一生 동안 繼續된다. 齒牙가 앞으로 移動하는 速度는 앞니가 얼마나 빨리 磨耗되느냐에 달려 있다. 다른 硏究에서는 0.1 cm/個月로 나타나지만, 一部 硏究에서는 그 比率이 約 1 cm/個月로 나타나기도 한다. [10]

滅種危機 [ 編輯 ]

한때는 기름과 고기와 가죽 때문에 狩獵,18世紀 스텔라 매너티가 멸종당하는 일도 있었으나 現在는 法으로 保護받고 있다. 現在 西印度諸島매너티 滅種危機 에 處해 있다. 動物保護德分에 매너티의 天敵은 없지만, 開發로 인해 棲息地를 잃어가고 있으며, 많은 個體가 모터보트의 프로펠러에 등이나 다리에 負傷을 입고 있다. 매너티는 가끔 먹이를 먹다가, 周邊의 낚시道具를 삼키기도 한다. 낚시바늘과 낚시錘보다 낚시줄이 매너티에게 더 致命的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매너티의 消化能力을 떨어뜨려 徐徐히 죽이는 것이다.

1998年에 救助된 매너티.

매너티는 發電所의 따듯해진 冷却水를 찾아 모이기도 한다. 그 環境에 適應하여 겨울에 따뜻한 곳으로 移住하지 않고 눌러앉아서 사는 境遇도 있다. 美國 南部의 마이애미 에서도 따뜻한 날씨에 適應한 매너티들이 繁殖을 위해서 찾아오는데, 現地住民들은 비디오 撮影等으로 그들의 訪問을 歡迎한다. 最近에 發電所가 門을 닫게 되면서 매너티에게 주는 環境 變化가 알려지면서 U.S. Fish and Wildlife Service는 매너티를 위하여 물을 덥히는 方案을 摸索하고 있다. 野生動物保護團體中에는 매너티에게 後援者를 定해주어서 保護하는 團體도 있다.

各州 [ 編輯 ]

  1. Prasad, A. B.; Allard, M. W.; Green, E. D. (2008). “Confirming the Phylogeny of Mammals by Use of Large Comparative Sequence Data Sets” .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5 (9): 1795?1808. doi : 10.1093/molbev/msn104 . PMC   2515873 . PMID   18453548 .  
  2. Erdal, O.; Antoine, P.-O.; Sen, S.; Smith, A. (2016). “New material of Palaeoamasia kansui (Embrithopoda, Mammalia) from the Eocene of Turkey and a phylogenetic analysis of Embrithopoda at the species level”. 《Palaeontology》 59 (5): 631?655. doi : 10.1111/pala.12247 .  
  3. Best, Robin. Macdonald, D. (ed.). (1984). 《The Encyclopedia of mammals》 . New York: Facts on File. 292-298쪽. ISBN   0-87196-871-1 .  
  4. " Manatee FAQ: Behavior " (美國 英語) . 2021年 4月 5日에 確認함 .  
  5. Gerstein, E. R. (1994). "The manatee mind: Discrimination training for sensory perception testing of West Indian manatees ( Trichechus manatus )". Marine Mammals . 1 : 10?21.
  6. (Marine Mammal Medicine, 2001, Leslie Dierauf & Frances Gulland, CRC Press)
  7. Jeff Ripple (1999). 《Manatees and Dugongs of the World. Voyageur Press.》. ISBN   978-1-61060-443-7 .  
  8. Martin, Graham R. “Manatee Ears Cause for Alarm? | Bird's underwater” . 《Oxford Scholarship Online》.  
  9. 《Animal Info Book: Manatee》. Seaworld Parks & Entertainment.  
  10. "Manatee". Journey North.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9, 2014. Retrieved April 29, 2014.
  11. 《Marine mammal physiology : requisites for ocean living》 . Boca Raton. 2016. ISBN   978-1-4822-4267-6 .  
  12. Powell, James (1978). "Evidence for carnivory in manatee ( Trichechus manatus )". Journal of Mammalogy . 59 (2): 442. doi:10.2307/1379938. JSTOR 1379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