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텐베르크 不連續面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구텐베르크面 에서 넘어옴)

地球의 內部 構造
  1.    上部 맨틀
  2.    下部 맨틀
  3.     外核
  4.     耐核

구텐베르크 不連續面 ( 英語 : Gutenberg discontinuity, core-mantle boundary )은 巖石型 下部 맨틀 과 金屬性 有체인 外核 사이의 境界를 이루는 面으로, 指標 아래 約 2,891 km 아래에 位置해 있다. 구텐베르크-비헤르트 不連續面 또는 구텐베르크面이라고도 한다. [1] 不連續面에서는 固體인 맨틀과 液體인 外核에서의 音響 임피던스 差異로 인해 地震波 의 速度에 不連續性이 發生한다. P派 는 外核보다 下部 맨틀에서 速度가 훨씬 느려지는 反面, S派 는 液體인 外核을 通過하지 못한다. 最近 硏究에 依하면, 不連續面 위의 下部 맨틀이 下部 맨틀의 7~80%를 이루는 鑛物 페로브스카이트 의 決定 構造가 바뀐 '포스트 페로브스카이트'로 構成되어 있는 것으로 推測된다. 또한 地震波 斷層撮影 硏究에 依하면 境界面 近處에서는 아프리카와 太平洋의 LLSVP(large low-shear-velocity provinces)와 같은 非對稱的인 構造가 存在한다. [2]

不連續面 아래의 外核은 下部 맨틀보다 約 500~1800 K 더 뜨겁다. [3] 境界面에서의 溫度 差異는 鐵과 니켈로 이루어진 外核의 對流에 影響을 주어, 窮極的으로 地球 磁氣場 에도 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豫想된다.

發見 [ 編輯 ]

1914年 獨逸 의 地球科學者 베노 구텐베르크 震央 에서 角距離 103度 內에서는 P波와 S派가 모두 觀測되지만, 103度에서 142度 사이에서는 P波와 S派가 到達하지 않고 微弱한 P派만 觀測된다는 事實을 發見하였다. [4] 이때 103度에서 142度 사이의 地域을 特定 震央에 對해 暗營대 라 한다. 暗影臺는 地下 2900 km 깊이에 不連續面이 存在하기 때문에 P派가 크게 屈折하여 角距離 142度 以上인 地域으로는 傳播되고 S파는 傳播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구텐베르크는 이 事實에서 이 不連續面 아래의 物質은 S派가 通過하지 못하는 液體 狀態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1]

D" 層 [ 編輯 ]

구텐베르크 不連續面 바로 위의 下部 맨틀에는 約 200 km 두께의 D" 層('디 더블 프라임'이라고 부른다.)이 存在한다. [5] 이 領域은 1950年에 뉴질랜드 地球 物理學者 키스 불린(Keith Bullen)이 처음 發見하였다. 그는 地球의 各 層을 知覺은 A, 內核은 G처럼 알파벳 順序대로 이름 붙였는데, 이 中 下部 맨틀에 屬했던 D 領域이 以後 두 個의 서로 다른 層으로 나뉜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上部의 1800 km 領域을 D', 下部의 200 km 領域을 D"으로 명명했다. [6] 追後에 D" 層이 求刑이 아니라는 事實이 發見된다. [7]

各州 [ 編輯 ]

  1. “구텐베르크不連續面” . 두산百科 . 2024年 3月 22日에 確認함 .  
  2. Lekic, V.; Cottaar, S.; Dziewonski, A.; Romanowicz, B. (2012). “Cluster analysis of global lower mantl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357-358 (1?3): 68?77. Bibcode : 2012E&PSL.357...68L . doi : 10.1016/j.epsl.2012.09.014 .  
  3. Lay, Thorne; Hernlund, John; Buffett, Bruce A. (2008). “Core?mantle boundary heat flow”. 《Nature Geoscience》 1 (1): 25?32. Bibcode : 2008NatGe...1...25L . doi : 10.1038/ngeo.2007.44 . ISSN   1752-0894 .  
  4. Dziewonski, Adam M.; Anderson, Don L. (1981年 6月 1日). “Preliminary reference Earth model”.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英語) 25 (4): 297?356. Bibcode : 1981PEPI...25..297D . doi : 10.1016/0031-9201(81)90046-7 . ISSN   0031-9201 .  
  5. WR Peltier (2007). 〈Mantle Dynamics and the D" Layer: Impacts of the Post Perovskite Phase〉. Kei Hirose; John Brodholt; Thome Lay; David Yuen. 《Post-Perovskite: The Last Mantle Phase Transition》 (PDF) . 《Volume 174 in AGU Geophysical Monographs》 (American Geophysical Union). 217?227쪽. ISBN   978-0-87590-439-9 .  
  6. Bullen K., Compressibility-pressure hypothesis and the Earth’s interior.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Geophysical Supplements, 5, 355?368., 1949
  7. Creager, K.C. and Jordan, T.H. (1986). Asperical structure of the core-mantle boundary. Geophys. Res. Lett. 13, 1497-1500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