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獨逸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獨逸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獨逸語
Deutsch( IPA : [?d??t?] )
使用 國家 獨逸 , 룩셈부르크 , 리히텐슈타인 , 벨기에 , 스위스 , 오스트리아
使用 地域 西유럽 , 東유럽 , 南아메리카
言語 人口 第1言語: 約 9500萬餘 名
第2言語: 約 3000萬餘 名
總合: 約 1億 2千萬餘 名
文字 로마字
言語 系統 인도유럽어족
  게르만語派
   서게르만語軍
    獨逸語
公用語 및 標準
公用語로 쓰는 나라 독일의 기 獨逸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스위스의 기 스위스
리히텐슈타인의 기 리히텐슈타인
벨기에의 기 벨기에
룩셈부르크의 기 룩셈부르크
유럽 연합의 기 유럽 聯合
言語 富豪
ISO 639-1 de
ISO 639-2 ger
ISO 639-3 deu 獨逸語

獨逸語 (獨逸語, 獨逸語 : deutsche Sprache , Deutsch, 文化語 : 도이췰란드어, 도이취어)는 게르만語派 서게르만語軍 에 屬하는 言語 로, 獨逸 , 오스트리아 , 스위스 西유럽 에서 使用된다.

獨逸語는 學術語로서 그 重要性이 크며 世界 出版業界에서 英語 다음으로 가장 많이 使用되는 言語이다. [ 出處 必要 ] 母國語 로서의 使用者數는 約 1億 2千萬 餘名으로 世界 10位 水準이며, 유럽 聯合 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母國語 로 使用하는 言語이다. 全 世界에서 第2言語 로 俳優는 使用者의 數가 英語 , 스페인語 , 그리고 프랑스語 다음으로 많아, 世界의 主要言語 中 하나로 여겨진다. [1]

系統 [ 編輯 ]

獨逸語는 서게르만語系의 言語이며, 인도유럽어족 系統의 一部이다. 參考로 獨逸語와 英語는 같은 系統인 게르만어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서로 다른 發達過程을 겪어왔다.

使用 現況 [ 編輯 ]

獨逸語의 代表的 使用國인 獨逸, 오스트리아, 스위스

獨逸語는 中西部 유럽에서 母國語로써 가장 많이 使用되는 言語로, 유럽 聯合 의 公用語이자 公式 實務 言語이기도 하다. 獨逸 , 오스트리아 , 리히텐슈타인 의 國語이며, 스위스 , 벨기에 , 룩셈부르크 , 루마니아 에서 公用語로 使用하고 아프리카 西部 나미비아 에서도 公認地域語로 獨逸語를 採擇하고 있다. 이탈리아 의 남티롤 (트렌티노알토아디제 州 ), 프랑스의 알자스 로렌 , 헝가리 , 체코 , 슬로바키아 等과 東유럽 國家들의 國民, 特히 中壯年層은 第2外國語로 獨逸語를 자유롭게 驅使할 수 있다. 美國은 獨逸에서 移住한 사람들의 後孫이 約 500萬 名 程度로 英語와 混合한 特殊한 獨逸語를 驅使할 수 있다.

19世紀에 獨逸과 오스트리아, 스위스 等에서 남아메리카로 移住했던 사람들의 後孫이 사는 아르헨티나 , 브라질 (特히 히우그란地두술酒 , 산타카타리나州 , 파라나 州 , 이스피리투산渝州 )에 少數의 獨逸語 使用者가 있고, 第2次 世界 大戰 以後에 蘇聯 當局에 依해 强制로 移住당한 獨逸人들의 後孫들이 사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에도 少數의 獨逸語 使用者가 있다.

獨逸은 1871年 프랑스 와의 戰爭에서 勝利하여 統一을 이룬 뒤에 獨逸 帝國 의 皇帝로 卽位한 빌헬름 1歲 의 膨脹 政策으로 인해 뒤늦게 絶對多數의 植民地 를 開拓했다. 이 때 獨逸語는 카메룬 , 부룬디 , 나미비아 , 탄자니아 , 르완다 아프리카 國家와 파푸아뉴기니 , 마셜 諸島 , 미크로네시아 聯邦 , 사모아 , 팔라우 오세아니아 國家에 傳播됐다. 그러나 獨逸이 第1次 世界 大戰 에서 敗北한 結果, 모든 海外 植民地를 잃으면서 짧은 占領 期間 탓에 獨逸語를 쓰는 나라는 줄어들었다.

反對로 벨기에 의 境遇 獨逸의 第1次 世界 大戰의 敗戰 結果 獨逸 라인 地方의 一部 를 割讓받으면서 獨逸語가 公用語로 追加 指定되었다. 루마니아 의 境遇는 1989年 까지 한동안 使用이 禁止되었지만 共産主義 體制의 崩壞로 使用이 合法化되었으며, 最近에는 地方 言語로 指定되었다.

文字 體系 [ 編輯 ]

獨逸語는 로마 文字 를 使用한다. 英語에서 쓰는 26個의 標準 文字에 3個의 움라우트 , 卽 a , o 그리고 u , 또 "ss"를 나타내는 特殊한 文字인 ß(에스體트) 가 追加되어 있다.

獨逸語는 얼마 前까지만 해도 프落투어 슈바바허 ( de ) 等의 黑字體 로 印刷되고 쥐테를린 이라는 獨特한 글씨體로 씌었는데 訓鍊 없이는 이들을 읽기 힘들다. 오늘날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세리프體 산세리프체 가 使用되고 있다.

獨逸에서는 에스체트의 表記 問題로 1996年 獨逸語 正書法 改正 當時 論難이 있었다. 그러나 오래前부터 獨逸 以外 卽 오스트리아,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等에서는 에스체트를 公文書나 웹사이트에서 모두 "ss"로 表記하여 不便함을 없애 두었다. 이들 나라에서 獨逸語 出版物이 나올 때는 獨逸語圈 全體를 對象으로 하기 때문에 에스체트를 使用하는 境遇도 있다.

알파벳과 發音 說明 [ 編輯 ]

文字 名稱 發音
a a a
b be b, p [發音 1] [發音 2]
c ce c
d de d, t [發音 1] [發音 2]
e e e
f ef(f) f
g ge g
h ha h, 묵음 [發音 3]
i i i
j jot j
k ka k
l el l
m em m
n en n
o o o
文字 名稱 發音
p pe p
q qu 반드시 뒤에 u가 함께 쓰임 [發音 4]
r er r
s es(s) z, s [發音 1]
t te t
u u u
v vau f, v(外國語)
w we v
x ix ks
y ypsilon y
z zet(t) ts
a a, a-Umlaut ?,æ
o o, o-Umlaut œ
u u, u-Umlaut ?
ß Eszett s
二重子母音 發音
eu, au ???
ie
ei, ey, ai, ay a??
ch x (a,o,u 앞에서)
c (나머지)
k (고어)
sp, st ?p , ?t [發音 5]
sch ?
pf p?f [發音 6]
qu kv

各州:

  1. 單語 끝에 올 때의 發音
  2. 뒤에 母音이 올 때의 發音
  3. 앞에 母音이 올 때의 發音
  4. 二重子母音 參照
  5. 單語 앞에 올 때의 發音
  6. p와 f를 同時에 發音

長音 [ 編輯 ]

  • aa, ee, oo는 中母音이 되어 長吟으로 발음된다. (예: H aa r, T ee , B oo t)
  • 母音 뒤에 온 h는 默音이 되고, 앞의 母音은 長吟이 된다. (예: f ah ren, g eh en)
  • ie는 大部分 長吟이 된다. 單 Famil ie , As ie n, Ital ie n, Fer ie n 等은 例外이다.
  • 單子音(모음 + 子音)은 長吟이 된다. (예: T ag , W eg , g ut , Ab end, N am e, Bl um e, V at er)

文法 [ 編輯 ]

名詞의 變化 [ 編輯 ]

屈折과 官舍 [ 編輯 ]

獨逸語 名士 (German noun)는 格(case), 性(gender), 數(number)에 따라 屈折한다.

  • 4個의 格(case) : 主格 (nominative case), 待擊 (accusative case), 俗格 (genitive case), 與格 (dative case)
  • 3個의 性(gender) : 男性(masculine), 女性(feminine), 中性(neuter). 語尾(word ending)는 文法的 性을 드러내기도 한다. 例를 들어,
    • 女性 : -ung (-ing), -schaft (-ship), -keit , heit (-hood, -ness)
    • 中性 : -chen , -lein ( 指小辭 diminutive form)
    • 男性 : -ismus ( -ism )

다른 것들은 더욱 다양한 것들도 있다. 甚至於 言語가 通用되는 地域에 따라 바뀌기도 한다. 또한 一部 어미는 한 性에만 局限되지 않는다.

    • -er ( -er )
      • Feier (女性), 儀禮(celebration), 파티(party)
      • Arbeiter (男性), 勞動者(labourer);
      • Gewitter (中性), 천둥(thunderstorm)
  • 2個의 數(number) : 斷水(singular), 復讐(plural)

屈折 程度는 古代 高地帶 獨逸語 (Old High German)와 라틴語 (Latin), 古代 그리스어 (Ancient Greek), 산스크리트語 (Sanskrit)와 같은 其他 古代 印度-유럽制御 (old Indo-European languages)보다는 덜하다. 또한 古代 英語 (Old English), 現代 아이슬란드語(Icelandic), 러시아語(Russian)보다도 덜하다. 3個의 性 區分은 復讐일 境遇 崩壞된다. 4個의 格과 3個의 性+1個의 複數型이 어우러져, 總 16個의 官舍(article)의 格과 性/數 置換이 있다. 그러나 定冠詞 (definite article)는 6個만 있다. 이는 16個의 官舍를 모두 커버한다. 名詞에서, 格의 屈折은 剛한 男性型(strong masculine)의 斷水型에서만 屈折한다. 中性型은 俗格과 與格에서만 屈折한다(그것도 慣用句나 고어型에서만 屈折). 이조차도 非公式的인 對話體에서는 다른 代替物로 轉換되고 있다. [2] 弱한 男性型(weak masculine) 名詞는 단수일 境遇 俗格, 與格, 對格이 모두 같은 格語尾(case ending)를 갖는다. 女性型 名詞는 斷水型에서는 格變化를 일으키지 않는다. 複數型은 與格에서 屈折한다. 結局, 獨逸語에서는 -s, -es, -n, -ns, -en, -ens, -e 7個의 屈折語尾(inflectional ending)(複數型은 不包含)를 갖는다.

標準 獨逸語 定冠詞 屈折
男性 中性 女性 復讐
主格 der das die die
待擊 den das die die
與格 dem dem der den
俗格 des des der der

合成語 [ 編輯 ]

다른 게르만어(Germanic language) 系統 言語처럼 獨逸語도 名詞 合成語 (noun compound)가 있다. 이 境遇 앞의 名詞는 뒤의 名詞가 定하는 範疇를 限定한다.

  • Hundehutte (文字的으로는 "개 오두幕(dog hut)"이지만 限定되어 "개집(dog kennel)"李 됨)

英語에서는 긴 名詞의 새로운 合成이나 結合은 名詞 사이에 칸을 띄우고서 '열린' 채로 쓰지만, 獨逸語 或은 다른 게르만어들은 거의 大部分 띄어쓰기 없이 '닫힌' 形態로 使用한다.

  • Baumhaus ("tree house")

英語처럼 獨逸語는 理論的으로 긴 合成語를 갖는다. 實際 使用되고 있는 가장 긴 合成語는 Rindfleischetikettierungsuberwachungsaufgabenubertragungsgesetz 이다. 逐字的으로 解釋하면 "소고기 라벨링 監督 任務 讓渡 法(beef labelling supervision duties assignment law)" Rind (cattle), Fleisch (meat), Etikettierung(s) (labelling), Uberwachung(s) (supervision), Aufgaben (duties), Ubertragung(s) (assignment), Gesetz (law)이다. 그러나 이런 事例는 實際 獨逸語 使用者들에게 있어 지나치게 官僚的인 느낌이고 樣式상으로도 異常하며 甚至於는 비꼬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官舍의 變化 [ 編輯 ]

獨逸語의 名詞는 男性, 女性, 中性의 3個의 性別과 主格 (Werfall; Nominativ), 所有格 (Wes[sen]fall; Genitiv), 與格 (Wemfall; Dativ), 目的格 (Wenfall; Akkusativ)에 따라 다른 官舍가 使用된다. (各各을 便宜上 1格, 2格, 3格, 4格 이라고도 부른다) 特히 Dativ와 Akkusativ의 境遇 文章 內에서 目的語에 該當하며 各各이 우리말로 (~에게), (~을/를)로 解釋되는 境遇가 많으나 恒常 그런 것이 아니므로 注意해야 한다. 또한 특정한 動詞 或은 前置詞는 特定한 格을 반드시 必要로 하므로 이 關係는 반드시 熟知하여야 한다.

例示

  • haben: Ich habe ein Auto. (나는 自動車 한 臺를 가지고 있다) haben 動詞는 目的語로 4格 (Akkusativ)을 要求하여 中性 4格 ein Auto를 써야한다.
  • helfen: Ich helfe dir. (나는 너를 돕는다) helfen 動詞의 境遇 우리말로는 (~를 돕다) 라고 解釋이 되기 때문에 4格을 必要로 할 것처럼 보이나 3格을 써야 한다.
  • fragen: Er fragt mich. (그가 나에게 물었다) fragen 動詞의 境遇 우리말로는 (~에게 묻다) 라고 解釋 되기 때문에 3格을 必要로 할 것처럼 보이나 4格을 써야 한다.
獨逸語의 定冠詞
男性型 女性型 中性 複數型
主格 der die das die
所有格(俗格) des der des der
與格 dem der dem den
目的格(待擊) den die das die
獨逸語의 不定冠詞
男性型 女性型 中性 複數型
主格 ein eine ein -
所有格(俗格) eines einer eines -
與格 einem einer einem -
目的格(待擊) einen eine ein -

動詞의 變化 [ 編輯 ]

標準 獨逸語 動詞의 屈折은 다음과 같다.

  • 두 가지 主要 動詞活用 部類(conjugation class)
    • 約凍死 (weak verb) : 英語 動詞 中 過去型 및 過去分詞型이 動詞原形에 接尾辭 '-(e)d'가 붙는 것들은 大部分 藥動詞에 屬한다.
    • 江東社 (strong verb) : 英語 動詞 中 過去型 및 過去分詞型이 原形과는 다른 形態로 不規則하게 變하는 것들은 大部分 江東社에 屬한다.
    • 混合凍死 (mixed verb) : 江東사와 約動詞의 動詞活用 特徵을 모두 가지고 있다.
  • 人稱(person) 3個 : 1人稱(first person), 2人稱(second person), 3人稱(third person)
  • 수(number) 2個 : 斷水(singular), 復讐(plural)
  • 書法(mood) 3個 : 指示法(indicative mood), 命令法(imperative mood), 接續法(subjunctive mood)(不定法infinitive에 追加하여)
  • 태(voice) 2個
    • 能動態(active voice)
    • 受動態(passive voice) : 助動詞(auxiliary verb)를 使用하고 政敵(static) 受動態와 動的(dynamic) 受動態로 나뉜다.
      • 政敵 受動態 : 持續的 狀態(constant state)를 보여주고 凍死 'sein'(英語의 be)을 使用한다.
      • 動的 受動態 : 動作(action)을 보여주고 凍死 'werden'(英語의 become)을 使用한다.
  • 時祭(tense)
    • 助動詞 없는 것 2個 : 現在形(present), 單純過去型(preterite)
    • 助動詞 있는 것 4個 : 現在完了型(perfect), 過去完了型(pluperfect), 未來形(future), 未來完了型(future perfect).
  • 上(aspect) : 여러 像 사이의 區分은 接續形(subjunctive)이나 單純過去型(preterite) 表紙를 利用, 평서 指示태(plain indicative voice)는 이 두가지 모두 使用하지 않는다. 接續兄은 그 自體로 間接話法(reported speech)을 갖는다. 接續型과 單純過去型은 朝鮮 狀態를 보여준다. 單純過去型은 (過去의) 평서 指示法(plain indicative)에 쓰거나, 明瞭하게 使用하고자 할 때 間接話法이나 動詞의 條件的 狀態의 (直說法) 代替物로서 기능한다.
  • 發展의 모든 段階에 있어, 現在完了와 進行形 (progressive aspect) 사이의 區分은 移轉 言語의 生産的 範疇(productive category)였고 只今도 그러하며, 거의 모든 文書化된 方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아주 特異하게도 現在에는 文語體에서는 現在 統一된 綴字法 形態로는 嚴格히 排除되어 있다.
  • 完了型(completed form)과 未然型(uncompleted form) 間의 嚴格한 區分이 보이며, 規則的으로 共通된 接頭辭(prefix)를 통해 만든다.
    • blicken(英語 look) -> erblicken(英語 see) 無關型(unrelated form) : sehen


獨逸語의 動詞는 英語와 같이 時制에 따라 形態가 變하며, 主語에 對해서도 變化한다. 例를 들어 "오다"라는 뜻을 가진 動詞 "kommen" (英語의 come)을 보면,

主語 凍死(變化)
ich komm e
du komm st
er/sie/es komm t
wir komm en
ihr komm t
Sie komm en

와 같이 動詞의 語尾가 變化한다. 單, 不規則的으로 變化하는 動詞도 存在한다. 英語의 can에 該當하는 助動詞 "konnen"을 例示로 들자면,

主語 凍死(變化)
ich kann
du kannst
er/sie/es kann
wir konnen
ihr konnt
Sie konnen

이와 같이 不規則的으로 變化한다.

다시 위의 凍死 "kommen"으로 돌아가, 이番에는 時祭에 依한 動詞變化를 살펴보자. 獨逸語에는 總 6個의 時祭가 存在한다. 各各 現在形(Prasens), 單純過去(Prateritum), 現在完了(Perfekt), 過去完了(Plusquamperfekt), 未來形 (Futur I), 未來完了型(Futur II)이다.

單純 過去의 境遇 主로 文學 作品이나 新聞 等 文語體로 쓰인다.

主語 凍死(變化)
ich kam
du kamst
er/sie/es kam
wir kamen
ihr kamt
Sie kamen

動詞 語尾에서는 ich 와 er/sie/es에서 뒤의 e가 없어진 것을 注意하자. 例를 들어,

  • Peter kam endlich zum Bahnhof. (피터는 마침내 汽車驛에 왔다.)에서 元來 動詞인 "kommen" 이 單純 過去 兄으로 變化, "kam"李 되었다.


現在完了 [ 編輯 ]

獨逸語에서는 現在完了型과 單純過去形의 意味 差異가 크지 않다. 口語體를 써야 할 狀況에서는 現在完了型을 가장 많이 使用한다.

英語에서는 現在完了 試題로 主語 + has/have + 過去分詞 兄을 使用한다. 獨逸語에서도 많은 單語들이 主語 + haben + 過去分詞型을 쓰지만, 特定 單語들은 主語 + sein + 過去分詞型을 使用한다. kommen도 그 中 하나이다.

主語 凍死(變化)
ich bin gekommen
du bist gekommen
er/sie/es ist gekommen
wir sind gekommen
ihr seid gekommen
Sie sind gekommen

單純過去型과는 달리, sein 動詞에 簡單한 變形을 加한 凍死만 더해주면 되기 때문에 便利하다. 例를 들어,

  • Anna ist wutend, weil Peter nicht zu ihrer Geburtstagsfeier gekommen ist. (안나는 피터가 그女의 生日 파티에 오지 않아 火가 났다.)


凍死 接頭辭 [ 編輯 ]

基本 動詞의 意味는 擴張될 수 있고 많은 接頭辭의 使用을 통해 急激하게 變할 수도 있다. 一部 接頭辭는 특별한 意味를 갖는다. 例를 들어 接頭辭 zer- 는 破壞(destruction)를 意味한다.

  • zer reißen 解體하다(tear apart)
  • zer brechen 分離하다(break apart)
  • zer schneiden 切開하다(cut apart)

다른 接尾辭는 그 自體로 가장 模糊한 意味만을 갖는다. ver- 는 많은 動詞들 가운데에서 發見되며 많은 意味를 갖는다.

  • suchen (찾다 seek) < ver suchen (示導하다 try)
  • nehmen (取하다 take) < ver nehmen (審問하다 interrogate)
  • teilen (共有하다 share) < ver teilen (分配하다 distribute)
  • stehen (서다 stand) < ver stehen (理解하다 understand)

다른 事例로는 다음과 같다.

  • haften (to stick), ver haften (to detain)
  • kaufen (to buy), ver kaufen (to sell)
  • horen (to hear), auf horen (to cease)
  • fahren (to drive), er fahren (to experience)

많은 獨逸語 動詞들은 分離 可能한 接頭辭를 가지며 副詞的 機能을 갖기도 한다. 定動詞 (finite verb)에서, 動詞는 分離되고 接頭辭는 節(clause)의 뒤로 가기에 一部는 '歸結 分社(resultative particle)'로 看做하기도 한다. 例를 들어 '繫束하다(go along)'라는 뜻의 'mitgehen'은 'mit'와 'gehen'으로 分離되어 'Gehen Sie mit?'라고 使用한다. 이는 英文으로 轉換하여 그대로 表現하면 "Go you with?"이지만, 慣用的으로는 'Are you going along?('繼續하고 있니?')'라는 뜻이 된다.

事實 一部 揷入節(parenthetical clause)은 定動詞의 接頭辭와 보어(complement) 사이에 들어간다.

  • 예) ankommen = 到着하다(arrive), er kam an = 그는 到着했다(he arrived), er ist angekommen = 그는 到着했었다(he has arrived)
  • Er kam am Freitagabend nach einem harten Arbeitstag und dem ublichen Arger, der ihn schon seit Jahren immer wieder an seinem Arbeitsplatz plagt, mit fraglicher Freude auf ein Mahl, das seine Frau ihm, wie er hoffte, bereits aufgetischt hatte, endlich zu Hause an .

이를 立證하고자 使用한 例示를 選擇的으로 英文 直譯한 文章은 다음과 같다.

  • He came on Friday evening, after a hard day at work and the usual annoyances that had time and again been troubling him for years now at his workplace, with questionable joy, to a meal which, as he hoped, his wife had already put on the table, finally home to .

語順 [ 編輯 ]

獨逸語 語順(word order)는 V2 語順 (V2 word order) 制限이며 또한 주절(main clause)에는 SOV 語順 (SOV word order) 制限이 있다. 是非疑問文 (yes-no questions), 感歎, 希望, 定動詞는 첫番째 자리(first position)를 갖는다. 從屬節(subordinate clause)에서 動詞는 가장 마지막에 놓는다.

獨逸語는 文章 내 두 番째를 나타내기 위하여 言語的 要素(verbal element, 主動詞 或은 助動詞)가 必要하다. 動詞는 文章의 主題(topic) 뒤에 나온다. 焦點을 두는 要素는 文章 가장 마지막에 나타난다. 助動詞 없는 文章에서는 다음의 것들이 可能하다.

  • Der alte Mann gab mir gestern das Buch. (The old man gave me yesterday the book.)(正常的인 語順)
  • Das Buch gab mir gestern der alte Mann. (The book gave [to] me yesterday the old man.)
  • Das Buch gab der alte Mann mir gestern. (The book gave the old man [to] me yesterday.)
  • Das Buch gab mir der alte Mann gestern. (The book gave [to] me the old man yesterday.)
  • Gestern gab mir der alte Mann das Buch. (Yesterday gave [to] me the old man the book.)(正常的인 語順)
  • Mir gab der alte Mann das Buch gestern. ([To] me gave the old man the book yesterday.) (다른 누군가에 對하여 다른 날짜이다.)

英語에서는 各 書法(mood)에 따라 名詞가 敍述語(predicate)의 앞에 오냐 뒤에 오냐에 따라 主語가 되거나 目的語 或은 보어가 된다. 이와 달리, 獨逸語에서는 名詞의 位置에 따라 主語나 目的語 等이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獨逸語의 柔軟한 語順은 特定 單語를 强調하게 한다.

  • 正常的인 語順
    • Der Direktor betrat gestern um 10 Uhr mit einem Schirm in der Hand sein Buro.
    • The manager entered yesterday at 10 o'clock with an umbrella in the hand his office.
  • 正常的인 語順의 두番째 變形
    • Der Direktor betrat sein Buro gestern um 10 Uhr mit einem Schirm in der Hand.
    • The manager entered his office yesterday at 10 o'clock with an umbrella in the hand.

-> 이는 時間을 仔細히 說明한 것을 强調하고, 그가 雨傘을 가져갔다는 것을 强調한다.

  • 目的語를 앞으로
    • Sein Buro betrat der Direktor gestern um 10 Uhr mit einem Schirm in der Hand.
    • His office entered the manager yesterday at 10 o'clock with an umbrella in the hand.

-> 目的語 'Sein Buro'(그의 事務室)은 强調되면서, 또한 다음 文章의 主題가 될 수 있다.

  • 時間副詞를 앞으로
    • Gestern betrat der Direktor um 10 Uhr mit einem Schirm in der Hand sein Buro. (aber heute ohne Schirm)
    • Yesterday entered the manager at 10 o'clock with an umbrella in the hand his office. (but today without umbrella)

-> 오늘은 雨傘이 없다는 語感

  • 두 가지 時間 表現을 앞으로
    • Gestern um 10 Uhr betrat der Direktor mit einem Schirm in der Hand sein Buro .
    • Yesterday at 10 o'clock entered the manager with an umbrella in the hand his office.

-> 풀타임 情報인 10詩라는 視角이 强調된다.

  • 기타
    • Gestern um 10 Uhr betrat der Direktor sein Buro mit einem Schirm in der Hand .
    • Yesterday at 10 o'clock entered the manager his office with an umbrella in the hand.

-> 時間 情報와 그가 雨傘을 가져왔다는 事實이 强調된다.

  • 交替된 府使
    • Der Direktor betrat mit einem Schirm in der Hand gestern um 10 Uhr sein Buro.
    • The manager entered with an umbrella in the hand yesterday at 10 o'clock his office.
    • 副詞句 'mit einem Schirm in der Hand'가 强調된다.
  • 交替된 目的語
    • Der Direktor betrat gestern um 10 Uhr sein Buro mit einem Schirm in der Hand.
    • The manager entered yesterday at 10 o'clock his office with an umbrella in the hand.

-> 時間 情報와 目的語'sein Buro'가 가볍게 强調된다.

柔軟한 語順은 詩의 韻律이나 比喩的 表現 等에 따라 보다 자유롭게 言語 道具를 使用하게 한다.


助動詞 [ 編輯 ]

助動詞(auxiliary verb)는 두 番째 자리에 오고, 主動詞는 文章 끝에 온다. 特히 完了 時祭 (perfect tense)를 만들 때 두드러진다. 여러 語順이 可能하다.

  • Der alte Mann hat mir heute das Buch gegeben. (The old man has me today the book given.)
  • Das Buch hat der alte Mann mir heute gegeben. ( The book has the old man me today given.)
  • Heute hat der alte Mann mir das Buch gegeben. ( Today has the old man me the book given.)

主動詞는 첫 番째 자리에 나타나 動作 自體를 强調한다. 助動詞는 두 番째 자리에 온다.

  • Gegeben hat mir der alte Mann das Buch heute. ( Given has me the old man the book today .)

-> 冊이 주어졌다는 事實이 强調되며 또한 오늘(heute)李 强調된다.

法曹凍死 [ 編輯 ]

法曹凍死 (modal verb)를 使用한 文章은 不定詞(infinitive)를 文章 끝에 둔다. 例를 들어 英語 文章 "Should he go home?"은 獨逸語로는 "Should he (to) home go?" (Soll er nach Hause gehen?)라고 쓴다. 따라서 從屬節이나 關係절이 있는 文章에서 不正社는 마지막에 모인다. 다음의 英語 文章은 獨逸語 式으로 羅列한 것으로, 여기에는 類似한 前置詞 모임이 있다. “What did you bring that book that I do not like to be read to out of up for?”

複合 不定詞 [ 編輯 ]

獨逸語 從屬節은 끝에 모든 動詞들이 모인다. 助動詞가 未來, 手動, 書法(modality), 完了型을 符號化한다면, 文章 끝에 놓인 매우 긴 凍死 集團이 올 수 있다. 이런 構造에서 ‘ge-’와 함께 쓰인 過去分詞는 不定詞로 代替되기도 한다.

  • Man nimmt an, dass der Deserteur wohl erschossen V worden psv sein perf soll mod
  • One suspects that the deserter probably shot become be should.

-> ‘아마도 脫營兵은 銃에 맞은 듯 하다’는 뜻

  • Er wusste nicht, dass der Agent einen Nachschlussel hatte machen lassen.
  • He knew not that the agent a picklock had make let
  • Er wusste nicht, dass der Agent einen Nachschlussel machen lassen hatte.
  • He knew not that the agent a picklock make let had

-> ‘그는 代理人이 자물쇠를 여는 道具를 만들게 했다는 것을 몰랐다’는 뜻

이러한 語順의 끝에 있는 語順은 變形되기 쉽지만 마지막 例示의 두 番째 것은 흔치 않다.

예제 [ 編輯 ]

달曆의 曜日 [ 編輯 ]

發音 練習 [ 編輯 ]

  • (tsch) Deu tsch land 獨逸 [?d???t?lant]
  • (z) Mo z art 모차르트
  • (g) g ut 좋은 [guːt]
  • (m) M orgen 아침 [?m??g?n]
  • (d) Aben d 저녁, Gel d
  • (ch) Ba ch 실개川
  • (qu) Qu elle 샘, 源泉
  • (sch) sch wer 무거운, 어려운, Sch uler 學生
  • (w) w er 누구, w as 무엇, w arum 왜
  • (ng) entla ng (~을) 따라서 (예: diese Straße entlang; 이 길을 따라)
  • (g) Ber g 언덕, 산
  • (v) v ergessen 잊어버리다

簡單한 文章 [ 編輯 ]

  • 人事: "안녕."
    • Guten Morgen. (아침 人事)
    • Guten Tag. (낮 人事)
    • Guten Abend. (저녁 人事)
    • Gute Nacht. (잠 自己 前 人事)
    • Hallo (언제나 使用할 수 있지만 大槪 親舊사이나 一定 以上 面識이 있는 사이에서 使用한다)
  • Entschuldigung. / Entschuldigen Sie. / Entschuldigen Sie bitte. 失禮합니다.
  • Mein Name ist Suni./Ich heiße Suni./ Ich bin Suni. 내 이름은 순이입니다. (참고: Mein Name ist...라는 表現이 가장 恭遜한 表現이다)
  • Wie geht es Ihnen? 어떻게 지내십니까? Wie geht es dir? 어떻게 지내니? (이 境遇 簡單히 줄여서 Wie geht's? 라고 말할 수 있다)
  • Es geht mir gut. / Mir geht es gut. Danke. 잘지내요. / 잘 지냅니다. 感謝합니다.
  • Ich habe einen Euro. 나에게 1 유로가 있습니다.
  • Was meinst du? "그게 무슨 말이야?" (意味를 묻는 것이 아니라 相對方의 말뜻을 물음) 或은 "어떻게 생각해?"
  • Danke! 感謝합니다.
  • Vielen Dank! / Herzlichen Dank! 대단히 感謝합니다.
  • Bitte! / Gerne 천만에요.
  • Tschuss!(또는 Tschus!) / Bis dann 안녕!
  • Auf Wiedersehen! 또 봬요!
  • Auf Wiederhoren! 다음에 또 通話 합시다!

有名한 例文 [ 編輯 ]

談話 文章 [ 編輯 ]

食堂에서 注文하기
  • 職員: Hallo. Geben Sie bitte Ihre Bestellung auf. →安寧하세요. 注文하시겠습니까?
  • 손님: Einen Augenblick, ich muss erst nachdenken. →暫時만요, 생각 좀 할게요.
  • 職員: Naturlich, nehmen Sie sich Zeit. →當然히 기다리겠습니다.
  • 손님: Ich nehme Steak mit Pommes. Empfehlen Sie mir einen guten Wein. →감자튀김과 같이 나오는 스테이크 注文할게요. 좋은 와인 推薦해주세요.
  • 職員: Ich empfehle Ihnen Valpolicella. →Valpolicella를 推薦해드립니다.
  • 손님: Okay, Ich nehme das. →네, 그걸로 시킬게요.
  • 職員: Wie soll ich das Fleisch braten? →고기는 어떻게 구워드릴까요?
  • 손님: Braten Sie das Fleisch ein bisschen! →조금만 구워주세요!
  • 職員: Darf ich Ihnen noch etwas bringen? →다른 것 必要하신 거 있으신가요?
  • 손님: Ich mochte Gulaschsuppe. →굴라시수프요.
  • 職員: Das waren also Steak mit Pommes, Wein Valpolicella, und Gulaschsuppe. Ist das alles? →注文하신 것은 감자튀김과 나오는 스테이크, 와인 Valpolicella, 굴라시수프입니다. 全部입니까?
  • 손님: Ja. Soll man vorausbezahlen? →네. 先拂입니까?
  • 職員: Ja. Das macht 12,50 € (12 Euro 50 Cent). →네. 12.50유로입니다.
  • 손님: Die Rechnung ist irgendwie nicht korrekt. Ich denke, das macht 11,50 €. →計算이 잘못된 것 같네요. 제 생각에는 11,50유로입니다.
  • 職員: Ah! Entschuldigung! Das macht 11,50 €. Verzeihen Sie bitte meinen Fehler. →아! 罪悚합니다. 11.50유로 맞군요. 失手를 容恕해주세요.
  • 손님: Keine Ursache. Kann ich mit Karte zahlen? →괜찮습니다. 카드로 計算할 수 있나요?
  • 職員: Es tut mir leid, dass Sie bar zahlen mussen. →罪悚합니다만, 現金으로 計算하셔야 합니다.
  • 손님: Ah, hier. Das stimmt so. →아, 여기요. 잔돈은 됐습니다.
  • 職員: Vielen Dank. Guten Appetit. →感謝합니다. 좋은 食事되세요.

다른 言語 呼稱法 [ 編輯 ]

一般的으로 다른 言語에서 獨逸語를 이르는 名稱은 語源에 따라 6個의 그룹으로 나뉜다.

1. 初期 獨逸語 單語인 "民族"에서 나옴: 2. 게르만족의 名稱에서 나옴: 3. 색슨족의 이름에서 나옴:
4. 슬라브語 系統의 古語인 "벙어리"에서 나옴: 5. 알레摩尼族 의 이름에서 나옴: 6. 기타:

試驗 [ 編輯 ]

獨逸의 獨逸語 關聯 機關 Goethe-Institut(괴테-인스티투트) 는 全 世界의 支部에서 獨逸語 能力 認證 試驗인 Goethe-Zertifikat(괴테-체어티피카트)를 實施하고 있다. 韓國에서는 Goethe-Institut Seoul(괴테-인스티투트 서울), 卽 駐韓獨逸文化院에서 試驗을 볼 수 있으며, 試驗 等級은 유럽 標準에 따라 A1부터 C2까지 나뉜다. 이 試驗은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能力을 모두 評價하지만, TOEFL 等의 試驗과는 달리 CBT 方式으로 치러지지는 않았었다. 2019年 B2 試驗이 改定되며 B2의 境遇 읽기, 듣기, 그리고 쓰기를 노트북으로 試驗볼 수 있게 되었다.

大韓民國 社會 속 獨逸語 [ 編輯 ]

大韓民國의 獨逸語 敎育 [ 編輯 ]

  • 1990年代까지 獨逸語는 프랑스語 와 함께 高等敎育 定期過程의 第2外國語 科目 中 가장 많이 選擇하는 言語의 하나였으나, 2000年代에 들어와서는 中國語 日本語 의 急增하는 需要에 밀려 減少하였다.
  • 2000年부터 大學修學能力試驗 에 獨逸語 科目도 選擇할 수 있게 되었다.
  • 現在 韓國에서 가르치는 獨逸語는 中部 獨逸語 를 基礎로 한 標準 獨逸語 이다.

大韓民國의 言語 生活 속의 獨逸語 [ 編輯 ]

아르바이트 (Arbeit, 勞動 . 勞動者 는 Arbeiter. [6] ), 테마(Thema), 이데올로기 (Ideologie), 마하 (Mach), 아우토반(Autobahn), 알레르기 (Allergie), 킨더가르텐(Kindergarten, 幼稚園 . 어린이를 뜻하는 킨더와 定員을 뜻하는 가르텐을 더하여 만듦.), 비어 (Bier), 벤츠(Benz), 아스피린 (Aspirin), 분데스리가(Bundesliga), 에델바이스(Edelweiß), 카테고리(Kategorie), 마이스터 (Meister), 호프(Hof), 로렐라이(Loreley), 비타민 (Vitamin), 파밀리에(Familie) 프레첼(Brezel), 도플갱어(Doppelganger) 等

參考 文獻 [ 編輯 ]

  • George O. Curme, 獨逸語의 文法 (A Grammar of the German Language) (1904, 1922)
  • 高等學校 獨逸語圈 文化 1 (敎育部, 2015)
  • 서울外國語高等學校 會話授業 - 예제 談話文章 部分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George Weber: “Top Languages: The World's 10 Most Influential Languages” in Language Today (Vol. 2, Dec 1997)
  2. Barbour & Stevenson 1990 , 160?3쪽.
  3. Sie sind das essen도 많이 쓰임
  4. Ich bin Berliner가 文法的으로 맞으며, 普通 ein은 固有名詞에 쓰인다
  5. 루마니아語는 슬라브 系統의 單語인 " nem?e?te "를 썼으나, 現在는 " german? " 이 廣範圍하게 使用된다.
  6. 韓國 에서는 아르바이트가 勞動, 勞動者임을 認識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은데, 아르바이트도 時急이나 一黨을 經濟的 補償으로 받는 非正規職 勞動者를 뜻하며, 勤勞基準法 의 保護를 받는다. 當然히 勞動3卷 이 있으므로 非正規職 勞組인 알바勞組 가 있다.

外部 링크 [ 編輯 ]

배우기 [ 編輯 ]

文章, 單語 飜譯 [ 編輯 ]

기타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