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化洽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化洽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化洽 (和洽, ? ~ ?)은 中國 後漢 , 의 官僚로, 兩社 (陽士)며 여남군 서평현(西平縣) 사람이다. [1]

行跡 [ 編輯 ]

젊어서는 허자장 , 番字素(樊子昭)와 함께 名聲이 있었다. [2] 後漢 末, 孝廉 으로 薦擧되었고 또 大將軍 에게 碧霄를 받았으나, 모두 應하지 않았으며, 故鄕 군 사람 元素 가 여남군의 士大夫를 불러모으자 오히려 이를 避하고, 형주自社 遊標 가 野心은 없고 선비를 아낀다고 여겨 집안 食口들과 함께 遊標에게 依託했다. 遊標에게서는 上客으로 禮遇받았으나, 化洽은 유표는 讖言을 들으면 自身을 지켜줄 수 없으리라고 여기고 武陵으로 避했다. [1] 建安 13年( 208年 ), 曹操 가 형주를 쳐 형주自社 油種 의 降伏을 받아내고, 化洽을 불러 丞相連續으로 삼았다. 當時 모개 최염 이 人士를 主管하면서 節儉을 第一로 삼는 것을 批判하여 이로 인해 發生할 수 있는 弊端을 指摘했다. [1] 建安 18年(213年) 11月에 上書와 市中, 6景이 設置되면서 [3] 王粲 , 危機 , 두습 과 함께 侍中이 되었다. [4] [1] 나중에 모개가 曹操가 최염을 誅殺한 일에 不滿을 品字 [5] 曹操는 이에 對한 告發을 받고 大怒하여 臣下들로 하여금 모개에 對해 論하는 것을 막으려 혔다. 化洽은 환系 와 함께 모개를 求할 것을 請했고, [5] 또 告發한 者를 밝히고 分明히 일을 處決할 것을 救했으나, [1] 曹操는 結局 모개를 罷免시켰다. [5] 建安 20年( 215年 ), 曹操가 長老 를 무찌르고 韓中을 손에 넣자, 韓中 땅을 버리고 住民들을 移駐시켜 守備 費用을 節約하자고 主張했다. [1] 曹操는 이때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建安 24年( 219年 ) 韓中 百姓들을 北方으로 이주시켰다. 낭중령이 되었다. [1]

조비 가 위나라 皇帝가 되자, 光祿勳이 되었고 안성정後에 封해졌다. 命題 가 卽位하고서는 西陵向後로 封爵이 올랐으며 2百 號를 받았다. [1] 後에는 太上으로 前任했으나, 淸貧을 지켜 밭과 집을 팔아 生活을 維持했고, 命題가 이를 듣고 穀食과 緋緞을 하사했다. [1] 죽어 諡號를 간후 (簡侯)라 했고, 아들 화리(和?)가 뒤를 이었다. [1]

家計 [ 編輯 ]

各州 [ 編輯 ]

  1. 진수, 《三國志》 卷23 畫像양두조配電
  2. 범엽, 《後漢書》 卷68 熱前提58
  3. 진수, 《三國志》 無祭器
  4. 손성, 《位氏春秋》 (眞髓, 《三國志》 卷1 無祭器에 註釋으로 引用)
  5. 진수, 《三國志》 卷12 崔某서하형포사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