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해시태그 運動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해시태그 運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月 가를 占據하라 의 示威는 온라인 SNS의 해시태그 #occupywallstreet 로부터 始作되었다.

해시태그 運動 ( 英語 : Hashtag activism , 해시태그 活動主義 )는 單純히 弘報 手段이나 가벼운 主題를 묶어 보여주는 役割에서 擴大되어 政治·社會 이슈를 만들어내는 해시태그 社會運動 役割을 말한다. 初期엔 놀이文化로만 利用되던 해시태그가 一種의 콘텐츠를 生産하는 役割을 맡았고, 社會運動 役割로 擴張된 것이다. 해시태그를 中心으로 한 市民들의 勇氣 있는 告白이 모이고 모여 變化의 물꼬를 텄으며, 이게 오프라인으로 結集이 이어지면서 ' 集團 知性 '으로써 힘을 證明한 것이다. 言論 에 依해 形成된 輿論 아니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依해 市民들 스스로가 主導하는 輿論이다.

事例 [ 編輯 ]

#occupywallstreet [ 編輯 ]

代表的으로는 2011年 世界의 金融 市場의 核心인 月 가 에 對한 抗議의 意味로 始作된 ' #occupywallstreet '(月 가를 占據하라)가 있다. 이 示威를 企劃한 캐나다의 온라인雜誌 <애드버스터>가 7月 13日 發表한 첫 聲明書의 題目부터' #occupywallstreet'였다. 本來 數萬 名을 目標로 했으나 9月 17日 示威 當日 1,000餘 名이 모이는 데 그쳤다. 그러나 9月 24日 이들에 對한 美國 警察의 强制鎭壓 事實이 알려졌고 示威에 對한 共感帶가 擴散되는 契機가 된다. 漸次 參與 人員이 늘어 示威가 커졌으며, 世界 各國에서도 示威가 열리게 된다. 美國 뉴욕 市立 大學校 言論學과 敎授인 '제프 자비스'는 自身의 블로그에서 월街 占領 示威를 이렇게 規定했다. “해시태그는 主人도, 階級도, 規律이나 信念도 없다. 이것은 누군가가 挫折, 不平, 要求, 所願 等으로 채워 나가야 하는 빈 空間이다”. 타임지는 이 示威를 아랍의 봄 과 함께 '示威者'로 명명해 '2011年 타임 올해의 人物 '로 選定했다. [1] [2]

#MeToo [ 編輯 ]

2018年 미투 運動 에서 #MeToo #WithYou 라는 해시태그가 登場하여 話題가 되었고, 해시태그를 通해 쉬쉬해 오던 痼疾的인 病弊에 對한 實質的인 對策이 마련되는 事例가 登場하는 等 해시태그의 熱氣는 식을 줄 모르고 있다. [1] [3]

그 外 [ 編輯 ]

' 2015年 11月 파리 테러 ' 直後 해시태그 '#prayforparis' (파리를 위한 祈禱)를 붙여서 世界 各國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利用者 들이 該當 事件의 被害者들을 哀悼한 일이 있었다. 2017年에는 해시태그 '# MeToo ' (나도 當했다)를 달아 하비 와인스타인 性暴力 性戱弄 行爲를 批判한 것을 始作으로, 나아가 全 世界에서 女性들이 性暴力 經驗을 숨기지 않고 勇氣 있게 告發하는 켐페인으로 擴張하기도 했다. 타임誌 는 캠페인에 參與해 性戱弄, 性醜行, 性暴行 被害 經驗을 알린 女性들을 '沈默을 깬 사람들(The Silence Breakers)'로 명명하여 이들을 '2017年 타임 올해의 人物 '로 選定했다. 2020年에는 홍콩, 타이완, 泰國의 네티즌들이 SNS에서 登場하는 중국의 인터넷 트롤, 民族主義 性向을 드러내는 中國의 네티즌들에 對한 存在感의 增加에 對應하기 위해 온라인 民主主義 連帶 運動인 밀크티 同盟 을 結成하고 #MilkTeaAlliance 해시태그 運動을 展開했다.

大韓民國에서는 2016年 朴槿惠-최순실 게이트 에서 비롯된 ' #그런데_최순실은? '李 代表的이다. 國政 壟斷의 主要 人物들에 對한 關心의 끈을 놓지 말자는 뜻에서 이뤄진 試圖가 一種의 놀이처럼 SNS上에서 瞬息間에 퍼져갔고, 結局 오프라인 運動인 ' 朴槿惠 大統領 退陣 運動 '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 2015年 '#나는 페미니스트 입니다' 해시태그는 特定 主題에 對한 門턱을 낮추는 役割을 한 事例로 看做된다. [1]

2020年 3月에는 大韓民國에서 텔레그램 을 利用하여 未成年者 等을 脅迫하여 性搾取物을 찍게 하고 이를 流逋한 디지털 性犯罪, 性 搾取 事件인 n番房 事件 을 契機로 大韓民國의 네티즌들이 SNS를 통한 國際的 連帶를 위한 次元에서 '#NthRoomCase', '#n番房_博士_포토라인', '#n番房_텔레그램_脫退銃공' 等의 릴레이 해시태그 運動을 展開했다. [4]

2020年 7月에는 MBC 《 探査企劃 스트레이트 》가 文在寅 政府 의 不動産 政策을 批判했던 朱豪英 未來統合黨 議員이 2014年에 國會에서 通過된 《不動産 3法》에 贊成票를 던지면서 不動産 時勢差益 23億원을 챙겼다는 事實을 指摘하면서 大韓民國의 인터넷에서는 '#朱豪英23億' 해시태그 運動이 展開되었다. [5] [6] 2020年 8月에는 全光焄 사랑第一敎會 牧師가 主導한 8·15 光化門 廣場 集會를 契機로 大韓民國의 코로나19 汎流行 이 急速度로 擴散되면서 더불어民主黨 支持 陣營이 '#未統黨度_共犯이다" 해시태그 運動을 展開했다. [7]

各州 [ 編輯 ]

  1. 윤여진 (2016年 11月 27日). “#묶어서 풀자. 작은 속삭임 엮어 큰 喊聲 만들다.” . 《釜山日報》.  
  2. 이형섭 (2011年 10月 5日). ““해시태그 叛亂이다”” . 《한겨례》.  
  3. 이슈팀 (2017年 12月 7日). “타임誌 選定 올해의 人物 '沈默을 깬 사람들', 性暴力 沈默 깬 'ME TOO' 캠페인은?” . 《데일리韓國》.  
  4. 안승진 (2020年 3月 23日). ““韓國 n番房 事件, 世界 알려야” SNS서 릴레이 해시태그 運動” . 《世界日報》 . 2020年 8月 27日에 確認함 .  
  5. 老智旻 (2020年 7月 29日). ““技士가 한 줄도 없다” ‘#朱豪英23億’ 해시태그 運動” . 《미디어오늘》 . 2020年 8月 27日에 確認함 .  
  6. 박고은 (2020年 7月 30日). ' #朱豪英23億' 해시태그 運動 擴散 왜?” . 《노컷뉴스》 . 2020年 8月 27日에 確認함 .  
  7. 김준일 (2020年 8月 26日). “光復節 集會, 全光焄 뒤에는 敎會 長老들이 있었다” . 《뉴스톱》 . 2020年 8月 27日에 確認함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