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語의 系統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韓國語의 系統 韓半島 와 韓半島의 周邊 島嶼, 그리고 延邊 朝鮮族 自治州 等에서 쓰이는 言語인 韓國語 의 言語學的 系統에 對한 것이다.

핀란드 의 言語學者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 가 〈韓國語에 對한 管見〉(1928)에서 韓國語는 알타이語族 의 初期에 奮起한 言語임을 主張한 以來 [1] , 20世紀에는 主로 韓國語 알타이語族 說이 有力하게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알타이語族을 재구할 資料가 不足하여 그 信賴性을 疑心하는 側에서는 孤立語 說이나 韓國語族 설을 主張한다. 그 밖에 非알타이語 基層說, 인도유럽어족설 等이 存在한다.

알타이語族說 [ 編輯 ]

알타이語族說은 韓國語가 알타이語族에 屬하는 言語들과 文法的 特徵을 共有하고 있다는 것에서 같은 語族으로 分類한 學說이다. 알타이語族이란 19世紀부터 硏究가 이루어져 왔다. 이 알타이語族說을 支持하는 學者로는 言語學의 大家라고 불리는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 (Gustaf John Ramstedt, 1873~1950)와 예프게니 폴리바노프 그리고 現代 言語學者인 로이 앤드류 밀러가 있다.

람스테트는 論文 〈韓國語에 對한 管見〉(1928)에서 우랄알타이어족 을 廢棄하는 代身 알타이語族 을 分離해냈으며 [2] , 韓國語는 東아시아의 여러 言語 가운데 일찍이 奮起한 言語라고 主張하였다. [1] 以後 그는 《韓國語의 文法》(1939)에서 音韻 對應에 注目하여 韓國語가 알타이語族에 屬하는 言語임을 더욱 剛하게 主張하였다. 그는 《韓國語 語源硏究》(1949), 《알타이語學 開設》(1952/57/66)에서도 韓國語와 알타이語族의 洞契를 立證할 만한 資料를 提示하였다. [3]

람스테트 以後, 러시아의 言語學者 니콜라스 포페 는 韓國語와 알타이諸語가 共有하는 特性을 여러 가지 밝혀냈으나, 그러면서도 《알타이 言語學으로의 初代》(1965)에서 “韓國語의 位置는 그다지 確實하지 않다”라며 아래의 세 가지 可能性을 提示하였다.

  1. 韓國語는 알타이諸語와 親近 關係가 있을 수 있다.
  2. 遠視 韓國語는 알타이 統一體가 만들어지기 前, 매우 이른 時期에 分裂하였을 수 있다.
  3. 韓國語는 비알타이어로 古代 알타이語를 基層言語로 吸收하였거나, 基層言語人 알타이語 위에 얹혔을 수 있다.

言語系統의 重要性에 있어서는 文法的인 要素가 가장 많이 浮刻되는 것이 事實이며 韓國語와 알타이語族의 古代言語의 類似性에 對해서도 20世紀에 言語學者들에 依해 수많은 硏究가 이루어지고 있다. [4] 大韓民國의 正規 敎育課程에서 韓國語를 알타이語族說이라는 것 爲主로 가르쳤기 때문에 [5] [6] 많은 사람들이 韓國語가 알타이語族에 屬한다고 알고 있다. 大韓民國의 言語學者 이기문 은 韓國語가 알타이語族과 共有하는 性質이 많기는 하나, 알타이語族에 屬하는 퉁구스 魚群, 몽골 語群, 투르크 魚群들이 서로 같은 單語가 많은 한便 韓國語에는 借用語로 因해 알타이語族의 單語가 많이 사라졌다고 主張하였다. [7]

孤立語설 [ 編輯 ]

韓國語를 比較言語學的으로 孤立語(language isolate)로 보는 主張도 있다. 맨체스터 大學校 의 알렉스 버라타 [8] , 케임브리지 大學校 의 스테판 게오르크 [9] , 유타 大學校 의 마우리시오 믹스코 [10] 等이 孤立語說을 支持한다.

濟州 方言 이 韓國語와 크게 差異나는 點에 注目하여 濟州 方言을 祭主語 라는 別途의 言語로 分離하고, 두 言語를 韓國語族 으로 分類하기도 한다.

中國티베트語族 설 [ 編輯 ]

中國티베트語族說은 支持받고 있지 않다. [11] 스타로스틴 에 따르면 古代 中國語에서 江은 *kraŋ이라 推測했는데 이는 韓國 固有語의 伽藍과 類似하다는 意見도 있으나 古代 中國語 發音 自體가 現存하지 않기 때문에 確實히 알 수 없어 廢棄된 說이다. 이 말고도 一部 *pr?m과 바람을 包含해서 基礎 搜査에서는 *ka(孤立되다)와 *kajs(各自)가 하나의 古代 韓國語인 *kat?na [12] [13] 類似하다고 主張하거나 *s?m과 셋이 類似性을 보이는 主張이 있으나 極히 一部 單語가 類似하며 古代 中國語 發音 自體가 不確實하기 때문에 支持받는 설이 아니다. 스타로스틴 은 古代 中國語의 一部 語彙가 알타이語적 影響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特히 韓國語와 中國語의 文法 構造와 音韻 構造가 그리고 基礎 語彙가 完全히 다르기 때문에 中國티베트語族이 아니라는 설이 支持받는다. 이런 極히 一部 基礎 語彙의 類似性으로 인해 一部 民族主義者들은 韓民族이 漢字를 만들었다고 하지만 [14] 이 主張에는 根據가 不足하다.

韓日語族說 [ 編輯 ]

韓國語와 日本語는 基礎語彙와 文法的으로 類似하다는 點에 根據하여 韓國語族 日本語族 과 統合한 主張이다.

各州 [ 編輯 ]

  1. Ramstedt, Gustaf John (2016) [1928]. 〈Remarks on the Korean language〉 [韓國語에 對한 管見]. 《알타이 假說과 韓國語》. 아시아學術飜譯叢書 1. 飜譯 도재학. 서울: 역락. 30, 49쪽. ISBN   9791156867296 . The result of etymological researches will, as far as I can see, once for all fix the Korean language in its proper place as an old branch of a large East-Asiatic group, from which the Mongoloturcicum seperated earlier, while another group, the Tungusian, remained closer to the Korean, from which it also got Chinese loanwords.   [ Ramstedt, Gustaf John (1928). “Remarks on the Korean language”. 《Memoires de la Societe Finno-ougrienne》 (英語) 58 : 441-453.   에서 再引用.]
  2. Ramstedt, Gustaf John (2016) [1928]. 위의 冊. 30-31, 49쪽. “The traditional and unconvincing ≪Uraloaltaic≫ theory must be removed far away, as the center of the Altaic world locates itself on the Western and Eastern slopes of the Hingan mountain range.”
  3. “韓國語硏究의 泰斗 「람스테트」 博士-김방한<서울대 文理大敎授>” . 中央日報. 1970年 11月 20日 . 2019年 9月 23日에 確認함 .  
  4. eg Vovin 2008: 1
  5. 서울대학교 國語敎育硏究所 (2002). 《高等學校 國語(下)》. 서울: 두산동아. 16쪽. 여러 資料들을 볼 때, 몽골 語群(語群), 滿洲·퉁구스 魚群, 튀르크 語群 等과 함께 國語가 알타이 語族(語族)에 屬할 可能性이 높지만, 아직은 분명한 證據가 確保되지 않아 假說 段階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6. 國史 編纂 委員會; 國政 圖書 編纂 委員會 (2006年 3月 2日). 《高等學校 局社》. 서울: (週)교학사. 19쪽. 우리 民族은 人種上으로는 黃人種에 屬하고, 言語學上으로는 알타이 語族과 가까운 關係에 있다고 본다.  
  7. 李基文 (1972). 《國語史槪說》 改訂판. 서울: 塔出版社. 14-15, 28쪽. ISBN   8934200421 .  
  8. Baratta, Alex (2012年 3月 8日). “Is the Korean language really an orphan?” (英語). The Korean Herald . 2019年 9月 22日에 確認함 .  
  9. Georg, Stefan; Michalove, Peter A.; Ramer, Alexis Manaster; Sidwell, Paul J. (1999年 3月). “Telling general linguists about Altaic” 35 (1).  
  10. Campbell, Lyle; Mixco, Mauricio J. 《A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Salt Lake C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7, 90-91쪽. ISBN   9780874808933 . While ‘Altaic’ is repeated in encyclopedias and handbooks most specialists in these languages no longer believe that the three traditional supposed Altaic groups, Turkic, Mongolianand Tungusic, are related.[p=7] Korean, A language isolate [...] Korean is often said to belong with the Altaic hypothesis, often also with Japanese, though this is not widely supported.[p=90-91]  
  11. 우리말과 中國語,뿌리가 같다? | 시사저널
  12. 河屯 | 鷄林類事
  13. 河屯 | ??-?win | Starling
  14. 漢字는 우리글이다 | 傾向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