下 (五胡 十六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夏, 407年 ~ 431年 )는 五胡十六國時代 南匈奴 (南匈奴)의 後裔인 赫連勃勃 (赫連勃勃)에 依해 建國된 나라이다. 歷史上 마지막으로 鮮于 (單于)를 稱했던 匈奴 國家이다. 匈奴의 宣祖가 古代 하나라 의 後孫이라는 傳說을 바탕으로 하여 下를 國號로 定하였다.

歷史 [ 編輯 ]

407年 誘發發은 옛 鐵불匈奴 및 선비의 여러 不足을 糾合하여 後進에게서 獨立하고 대선우 大河天王(大單于 大夏天王)이라 自稱하여 夏나라를 建國하였다. 하나라는 오르도스 全域을 平定하였으며, 413年 에는 本來 匈奴의 姓氏인 혁련氏 로 性을 바꾸고 통만성(統萬城)을 築成하며 勢力을 키웠다. 當時 선비足 國家 北魏에 對抗하기 위해 414年 에는 北燕 (北燕)과 同盟을 맺고 북위를 攻擊하여 415年 까지 산서 (山西) 一帶를 占領하였다. 한便 415年 에는 北凉 (北凉)과 同盟하여 後進 및 西進 (西秦)과 對立하였다. 417年 , 觀衆(關中)의 後進이 東進 (東晉)의 유유 (劉裕)에 依해 滅亡당하자, 하나라 軍은 南下하여 동진의 後方 守備隊를 擊破하고 418年 , 長安 (長安) 等 觀衆의 여러 城을 占領했다. 赫連勃勃은 帝位에 올라 통만성을 首都로 하고, 長安을 南道(南都)로 定하였으며 419年 에 振興(眞興)이라 開院하였다. 夏나라의 領域은 觀衆, 오르도스, 산서 南部에 이르렀고, 吐谷渾 (吐谷渾), 北凉(北凉)을 服屬시켜, 華北 西쪽에서 大勢力을 構築하였다. 424年 赫連勃勃은 長安에의 兵力을 指揮하고 있던 次男 皇太子 혁련怪(赫連?)를 廢하고 사남 혁련尹(赫連倫)을 太子로 삼았다. 이에 혁련괴는 長安에서 叛亂을 일으켜 통만성을 攻擊하였다. 혁련괴는 혁련潤을 殺害하였으나 三南 혁련窓 (赫連昌)에게 敗하여 죽었으며 이에 赫連勃勃은 혁련窓을 太子로 삼았다. 425年 赫連勃勃이 죽고 혁련창이 卽位하였다.

426年 , 혁련窓은 西進을 攻擊하여 수도 抱恨(?罕)을 陷落하고 書評(西平)까지 進擊하였으나, 本國이 비어있는 틈을 타 쳐들어온 北緯에게 觀衆의 여러 城을 빼앗겼다. 427年 에는 북위의 2次 遠征軍이 首都 통만성을 陷落시켰다. 혁련窓은 통만성을 脫出해 安定(安定)을 首都로 삼아 抵抗을 繼續했으나, 各地에서 北緯에게 敗北하였으며 428年 혁련窓은 북위군에 사로잡혔다.

혁련創意 동생 赫連挺 (赫連定)은 秤量(平?)으로 도망쳐 대선우에 卽位하고, 各地의 敗殘兵을 糾合해 觀衆을 回復하고 통만성을 除外한 오르도스 여러 城을 奪還하였다. 430年 , 赫連挺은 (宋)과 同盟을 맺고 통만성 奪還에 나섰으나, 北魏는 3次 遠征軍을 派遣해 이를 擊破하고 秤量까지 陷落시켰다. 하는 다시 瓦解되어 赫連挺은 敗殘兵을 이끌고 상규(上?)로 도망쳐서 首都로 삼았다. 431年 1月, 赫連挺은 再起를 위해 西쪽으로 進擊하여 南岸(南安)의 西進을 攻擊해 멸망시키고, 이어서 全軍을 이끌고 北凉 遠征에 나섰다. 6月, 下軍은 黃河을 건너는 途中 服屬했던 吐谷渾 에게 襲擊을 받아 壞滅당하고, 赫連挺度 사로잡혀 하는 滅亡했다. 赫連挺은 432年 , 혁련窓은 434年 北魏에 依해 殺害당했다.

歷代 君主 [ 編輯 ]

하나라 君主 目錄 [ 編輯 ]

하나라 皇帝와 年號
臺數 廟號 시호 聲明 年號 在位 期間
- - 元皇帝
(元皇帝)
(武列第 追崇)
혁련고승원 (赫連誥升爰) - -
- - 警皇帝
(景皇帝)
(武列第 追崇)
혁련號 (赫連虎) - -
- - 先皇帝
(宣皇帝)
(武列第 追崇)
혁련무港 (赫連務恒) - -
- 下 太祖
(夏太祖)
환皇帝
(桓皇帝)
(武列第 追崇)
혁련위진 (赫連衛辰) - -
第1代 下 世祖
(夏世祖)
武列皇帝
(武烈皇帝)
赫連勃勃 (赫連勃勃) 湧昇 (龍昇) 407年 ~ 413年
棒狀 (鳳祥) 413年 ~ 418年
暢茂 (昌武) 418年 ~ 419年
振興 (眞興) 419年 ~ 425年
407年 ~ 425年
第2代 - 社皇帝
(嗣皇帝)
(辰王<秦王>)
혁련窓 (赫連昌) 승광 (承光) 425年 ~ 428年 425年 ~ 428年
第3代 - 말皇帝
(末皇帝)
(平原王<平原王>)
赫連挺 (赫連定) 승광 (勝光) 428年 ~ 431年 428年 ~ 431年

夏나라의 文物 [ 編輯 ]

現存하는 夏나라의 門물로써는 통만성 遺跡地, 대래성(代來城) 遺跡地, 태하진흥展(太夏眞興錢)(419年), 戰區墓地(田口墓誌)(420年), 大河石馬(大夏石馬)(424年), 詩文祖上(施文造像)(429年), 朞年文書로써 敦煌 , 투르판 文書 수點이 있다. 또한 現存하지 않는 것 中에는 大河龍勺도(大夏龍雀刀)(413년) 및 통만성 남비 (統万城南碑頌)(419年)等이 알려져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