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풍산 류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풍산 류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풍산 류氏
豊山柳氏
나라 韓國
貫鄕 慶尙北道 安東市 풍산읍
時調 類節(柳節)
中始祖 類백(柳伯)
集姓村 慶尙北道 安東市 풍천면
忠淸北道 永同郡 황간면 우천리
慶尙北道 義城郡 점곡면 사촌리
慶尙北道 聞慶市 산양면 존도리
主要 人物 류중영 , 류빈, 류경심 , 류운룡 , 류성룡 , 류종個 , 類세철 , 류심춘 , 類胎座 , 留後兆 , 類醫목 , 유도발 , 유신영 , 流蘇禹, 류찬우 , 류돈우 , 류종하 , 류시열 , 류승우 , 류우익 , 유시춘 , 留陣 , 柳時敏 , 유재하 , 柳榮夏 , 유명우 , 류시훈 , 류시원 , 유시주
人口(2015年) 8,817名

풍산 류氏 (豊山柳氏)는 慶尙北道 安東市 풍산읍 을 本館으로 하는 韓國의 姓氏 이다.

歷史 [ 編輯 ]

《풍산류氏世譜(豊山柳氏世譜)》에 따르면, 時調 類節 (柳節)은 高麗 秒에 受注(樹州 : 京畿道 부평군 )에서 戶長(戶長)을 지냈다고 한다. 類절의 曾孫子 類백(柳伯)李 1290年( 충렬왕 16年) 恩師(恩賜)로 及第하여 戰서(典書)를 歷任하였다. [1] 7歲 류종혜(柳從惠)가 朝鮮 初에 工曹典書(工曹典書)를 歷任하고 落鄕해 하회동(河回洞)에 定着하였다고 한다.

起源 [ 編輯 ]

文化 류氏 時調 類차달 의 10歲인 類自省(柳資成)의 後孫 中 14歲 類節(柳節)의 後孫이 풍산 류氏로 分的했다는 說이 있으나, 풍산 류氏와 文化 류氏 世界에는 疑問點이 많아 現在에는 否定하는 趨勢이다.

풍산류氏 時調 類절의 曾孫子인 類白은 1290年(忠烈王 16年) 恩師(恩賜)로 及第했다. 文化 류氏 分的설에 따르면 流蘇는 類百의 6代祖가 되는데 流蘇는 高麗 高宗朝(1214~1259)에 官職에 있었다. 7代에 걸치는 活動 期間이 50餘年 前後에 걸쳐 있다는 것은 疑問이 간다.

類차달은 880年 胎生으로 나오는데, 類차달을 880年生으로 家庭(假定)하고, 한 世代를 30±5年으로 이들의 連帶(年代)를 計算해 본다면, 類차달의 10世孫이었던 류자姓은 大略 類차달보다 300(±50)年 以後의 1180±50年쯤 태어난 人物로 推定된다. 이 類自省의 4歲손이 類절이므로 類절은 1300±70年頃 태어난 사람이 된다. 이 類절의 4歲손이 類百으로 忠烈王(忠烈王) 때 出仕(出仕)하였다고 하는데 忠烈王 때가 바로 1274~1308年이다. 그런데, 類白은 類절의 4世孫이므로, 적어도 1420±90年에 태어난 사람이어야 하는데, 連帶가 맞지 않게 된다. 世代(世代)를 거듭하여 20歲때 繼續해서 子孫을 보았다고 하면, 類차달과 類白間의 나이 次(差)는 18世孫이므로 예전의 婚禮 慣習에 따라 20歲 前後로 計算하여 360年을 더하면 1240年이 되어 可能하다고 볼 수 있다.

人物 [ 編輯 ]

  • 류중영 (柳仲?, 1515年 ~ 1573年) : 자는 言禹(彦遇), 號는 입암(立巖). 소(沼)의 曾孫으로, 할아버지는 自溫(子溫)이고, 아버지는 간성군수 工作(公綽)이며, 어머니는 增 吏曹參議 이형례(李亨禮)의 딸이다. 1540年(中宗 35) 式年文科에 丙科로 及第하고, 知成均敎授(知成均敎授)가 되었다. 이어 黃州·尙州·楊州·安東의 訓導(訓導)를 歷任하면서 地方敎育에 큰 힘을 기울였다. 1546年(明宗 1) 養賢庫職場(養賢庫直長)을 겸하였으며, 이듬해 博士가 되었으나 罷職되었다. 1549年에 全的(典籍)·監察·共助佐郞을 거쳐, 1553年에는 掌令(掌令)·私服市井·使間·掌樂院正이 되었다. 이듬해 義州牧師로 나가 國境地方의 密輸行爲를 調節하고 生産을 勸奬하였다. 1564年에 黃海道觀察使, 1560年에 井州牧師로 赴任해서도 敎育의 振興과 民生의 安定에 힘썼다. 1572年(宣祖 5)에 承旨를 거쳐 禮曹參議·經筵官 等을 歷任하였다. 著書로는 《입암집》이 있다.
  • 류빈((柳贇, 1520年 ~ 1591年) : 1554年(明宗 9) 生員初試(生員初試), 1561年에 進士初試에 合格하였으나 벼슬하지 못하고 學問에만 專念하였다. 特히 易學(易學)에 造詣가 깊었으며 當時의 政治에도 關心이 깊어 均田法(均田法)의 施行을 主張했다. 著書에 詩文集인 『권옹先生文集(倦翁先生文集)』과 『力道(易圖)』가 있는데 여기에는 하도(河圖)와 落書(洛書), 伏羲八卦(伏羲八卦)와 文王八卦(文王八卦)를 圖表로 說明하여 52個 圖表가 作成되어 있다. 이 冊은 朱子(朱子)의 『力道(易圖)』를 基本으로 하고 邵雍(邵雍)의 說과, 瑞山菜氏(西山蔡氏), 半間董氏(盤澗董氏), 私財邕氏(思齋翁氏) 等 여러 學者의 說을 參考·引用하였다. 이 가운데 『後天卦違背千樂서(後天卦位配天洛書)』와 『分配時房(分配時方)』 두 圖表는 매우 獨創的인 것으로 評價되었다. 外鄕人 瘞安(禮安)에서 居住하였다. 綠錢(祿田) 麻谷서원(磨谷書院)에 祭享되었으며, 文集으로 『권옹집(倦翁集)』이 있다. 류중영 의 6寸 아우이자 류운룡 , 류성룡 兄弟의 7寸 叔父 卽 再從叔部이며 壬辰倭亂 때의 義兵將 류종個의 아버지이다. [2]
  • 류경심 (柳景深, 1516年 ~ 1571年) : 者는 태호(太浩). 號는 歸村(龜村)이다. 祖父는 류자온(柳子溫)이며 아버지는 情5品 正郞을 지낸 류공圈이다. 어머니는 營養南氏 남八駿(南八俊)의 딸이다. 류중영, 類中嚴과는 사촌지간이며 原州牧師 류운룡, 議政府領議政 류성룡 兄弟의 堂叔(5寸)이다. 1537年(中宗 32年) 司馬試에 合格하였고, 1544年 別試文科에 乙科로 及第하여 藝文館檢閱·弘文館正字等을 지냈다. 1546年(明宗 1年) 文科 重視에 壯元하였다. 丁未士禍 때 罷職되었다가 1551年 6月 다시 회인현感에 起用되었다. 1553年 유신縣監으로 選定을 베풀었다하여 王으로부터 香表裏(鄕表裏) 1襲(襲)을 下賜받았다. 그 後 光州牧使, 咸鏡道 兵馬節度使 等 外職을 繼續 歷任하였다. 1568年(宣祖1年) 好調參判이 되어 聖節使로 明나라에 다녀온 後, 禮曹參判, 大司憲을 거쳐 1571年에는 兵曹參判, 平安道觀察使가 되었다. 그러나 平安道觀察使 任期中 病을 얻어 서울로 돌아오는 途中 장단에서 졸하였다. 朝鮮 宣祖는 류경심의 訃音 消息을 듣고 哀悼하고 特別히 賻儀를 내렸다. 著書로는 《歸村집》이 있다.
  • 류운룡 (柳雲龍, 1539年 ~ 1601年) : 字는 응견(應見), 號는 겸암(謙唵). 류중영 의 長男이자 류성룡 의 親兄. 李滉(李滉)의 文人이다. 蔭官으로 出仕하여 宣祖 때 典艦司 別坐를 지냈으며, 地方官을 지내면서 百姓들을 어질게 다스렸으므로 尊敬을 받았다. 인동현感으로 있을 때는 冶隱 吉再의 忠節과 學德을 기려 墓域을 修理하고 祠堂과 持株中流費라는 碑石을 세웠다. 1592年 司僕寺僉正이 되었고, 1593年 풍기郡守로 在任하면서 도둑떼를 掃蕩하였으며, 原州牧師에 이르렀다.
  • 류성룡 (柳成龍, 1542年 ~ 1607年) : 者는 耳峴(而見), 號는 西厓(西厓). 義城 出生. 아버지는 黃海道觀察使 류중영 (仲?)이고, 어머니는 眞사 金光守(金光粹)의 딸이다. 李滉(李滉)의 文人이다. 1564年(明宗 19) 生員·進士가 되고, 1566年 別試 文科에 丙科로 及第해 承文院權知副正字가 되었다. 1568年(宣祖 1) 大橋, 다음 해 全的·共助佐郞을 거쳐 監察로서 聖節使(聖節使)의 書狀官(書狀官)이 되어 明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돌아왔다. 1588年 兩館大提學에 올랐으며, 다음해 大司憲·兵曹判書·知中樞府事를 歷任하고, 1590年 右議政에 昇進, 光國功臣(光國功臣) 3等에 錄勳되고 풍원府院君(豊原府院君)에 封해졌다. 1591年 右議政으로 吏曹判書를 겸하고 이어 左議政에 昇進해 亦是 吏曹判書를 겸하였다. 1592年 4月 13日 壬辰倭亂이 일어나자 兵曹判書를 겸하고 都體察使로 群舞(軍務)를 總括하였으며 明나라 救援兵과 함께 平壤城을 奪還하는 데 功을 세웠다. 이어 領議政에 올라 4度의 都體察使를 겸해 軍事를 總指揮했다. 1604年 扈聖功臣(扈聖功臣) 2等에 책록되고 다시 풍원府院君에 封해졌다. 著書로 《懲毖錄》 等이 있다.
  • 留後兆 (柳厚祚, 1798年 ~ 1876 ) : 者는 裁可(載可), 號는 매산(梅山)·낙파(洛坡)·靈媒(嶺梅). 류성룡의 8代孫이자 留陣의 7代孫. 돈녕부 道政(都正) 심춘(尋春)의 아들이다. 1858年(哲宗 9) 庭試文科에 及第한 뒤 1864年(高宗 1)에 吏曹參判, 이듬해 工曹判書를 지냈으며, 興宣大院君의 南人系 人士 重用冊에 따라 1866年 右議政, 1867年 左議政, 1872年 判中樞府事에 올랐다.
  • 류돈우 (柳惇佑, 1933年 ~ 2021 ) : 第13·14代 國會議員. 한국주택은행 銀行長을 지냈다.
  • 류종하 (柳宗夏, 1936年 ~ ) : 第26代 外務部 長官을 지냈다.
  • 류우익 (柳佑益, 1950年 ~ ) : 第36代 統一部 長官을 지냈다.
  • 류시민 (柳時敏, 1959年 ~ ) : 第16·17代 國會議員. 第44代 保健福祉部 長官을 지냈다.

科擧 及第者 [ 編輯 ]

풍산 류氏는 朝鮮時代 文科 及第者 22名을 輩出하였다.

文科

류경심 (柳景深) 류경심(柳景深) 류공卷(柳公權) 류광목(柳光睦) 流光億(柳光?) 留都位(柳道緯) 유도창(柳道昌) 유도해(柳道海) 유도휘(柳道彙) 類碧潮(柳璧祚) 류상조(柳相祚) 류성룡 (柳成龍) 류세명(柳世鳴) 類歲빈(柳世賓) 류양춘(柳陽春) 류종個(柳宗介) 류중영 (柳仲?) 류지영(柳芝榮) 류진한(柳進翰) 류치목(柳致睦) 類胎座(柳台佐) 留後兆 (柳厚祚)

生員試

류강(柳强) 류공卷(柳公權) 類喬木(柳敎睦) 류교兆(柳敎祚) 류기목(柳祈睦) 류기영(柳驥榮) 類道具(柳道龜) 留都機(柳道夔) 類逃亡(柳道望) 留都韻(柳道運) 留都種(柳道宗) 留都筆(柳道弼) 류도흥(柳道興) 류동규(柳東奎) 류만조(柳晩祚) 類몽서(柳夢瑞) 류상춘(柳象春) 類石造(柳奭祚) 류성룡(柳成龍) 類歲빈(柳世賓) 類歲回(柳世晦) 류시춘(柳時春) 류심춘(柳尋春) 류영우(柳永佑) 流寓목(柳宇睦) 류원기(柳元起) 류원輛(柳元亮) 류인목(柳寅睦) 류재춘(柳載春) 류진규(柳進奎) 류진명(柳進明) 류창윤(柳昌潤) 류창조(柳昶祚) 류철兆(柳喆祚) 類初(柳??) 류현(柳??) 類梟木(柳孝睦) 留後江(柳後康) 留後狂(柳後光) 류휘兆(柳徽祚) 류희尹(柳喜潤)

進士試

류團(柳??) 留都職(柳道直) 類碧潮(柳璧祚) 류상우(柳相佑) 류성룡(柳成龍) 流星雨(柳聖雨) 流星回(柳聖會) 류세명(柳世鳴) 類세익(柳世翊) 類세철(柳世哲) 류시원(柳時元) 류시일(柳時一) 류엽춘(柳燁春) 類응목(柳膺睦) 類의남(柳義男) 류일상(柳日祥) 류종個(柳宗介) 류지정(柳志鼎) 류지호(柳之湖) 留陣(柳袗) 류진봉(柳進鳳) 류진한(柳進翰) 류진휘(柳進徽) 류항尹(柳恒潤) 류홍식(柳泓植) 留後兆 (柳厚祚)

行列字 [ 編輯 ]

24歲 25歲 26歲 27歲 28歲 29歲 30歲 31歲 32歲 33歲 34歲 35歲 36歲 37歲 38歲 39歲 40歲
영(榮)
式(植)
桐(東)
口優(佑)
口묵(默)
口勳(勳)
時(時)
수(壽)
再(在)
口下(夏)
口신(信)
口文(文)
한(漢)
號(浩)
해(海)
口斤(根)
口上(相)
口圜(桓)
病(炳)
응(應)
極(克)
口지(志)
口情(正)
口기(基)
勝(升)
건(建)
陳(珍)
口樂(洛)
口修(洙)
口區(求)
病(秉)
內(來)
窓(昌)
口喜(希)
口勳(薰)
口노(魯)
규(奎)
곤(坤)
龍(容)
口回(會)
口욱(旭)
口性(星)
수(守)
第(濟)
口職(直)
口樂(樂)
兄(炯)
年(然)
兄(亨)

集姓村 [ 編輯 ]

慶尙北道 安東市 풍산읍 修理 50番地에 풍산류氏 手動才士(豊山柳氏 水洞齋舍)가 位置한다. 풍산 류氏 中 安東 하회마을 에 世居하는 後孫들은 下廻 류氏 (河回 柳氏)라고도 한다.

人口 [ 編輯 ]

  • 1985年 풍산 류氏 (2,946家口 11,657名) + 下廻 류氏 ( 764家口 3,374名) = 15,031名
  • 2000年 풍산 류氏 (4,181家口 13,341名) + 下廻 류氏 (1,114家口 3,897名) = 17,238名
  • 2015年 풍산 류氏 10,664名 + 풍산 劉氏 12,153名 = 22,817名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類백 - 韓國學中央硏究院
  2. 宣城誌?安東하회마을(徐守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