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폴리카르포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폴리카르포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性 폴리카르포스

폴리카르포스 或은 폴리캅 ( 그리스어 : Πολ?καρπο?, Polykarpos, 69 ~ 155年)는 初期 基督敎 時代 스미르나 主敎 利子 神學者 이다. 使徒 요한 의 弟子이다. 로마 가톨릭교회 東方 正敎會 , 오리엔트 正敎會 等에서 成人으로 恭敬하며, 丑日은 2月 23日 이다. [1] 이름의 意味는 그리스어로 '많은 열매'이다.

生涯 [ 編輯 ]

폴리카르포스의 生涯에 對해서는 《폴리카르포스 殉敎錄》, 《異端 反駁》, 《플로리누스에게 보내는 書信》, 《이냐시오의 書信》, 《필립보에 보내는 書信》을 參考할 수 있다. [2] 使徒 요한 을 爲始하여 예수님을 直接 본 弟子들과 많은 接觸을 통해서 正統 初代敎會의 信仰의 가르침을 받은 人物이다. 使徒 時代와 그 以後를 잇는 뛰어난 著述家로, 初期 그리스도교 歷史에 重要한 人物이다.

職責과 性向 [ 編輯 ]

폴리카르포스는 로마의 敎皇 클레멘스 1歲 와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오스 와 함께 1~2世紀 3名의 偉大한 主敎로 불린다. [3] 폴리카르포스의 說敎를 들으면서 자라난 이레네誤 에 依하면 폴리카르포스는 異端인 발렌티누스注意 마르키온注意 와 다른 異端에 激烈히 反對하였고, 初代敎會 眞理에 對하여 熱誠的으로 證據했다고 한다. [4] 大部分의 使徒들이 죽고난 以後에 活動했다. 그의 주된 役割은 使徒 요한과 連絡을 주고 받으며, 참된 眞理를 傳播하는 役割이었다. [5]

로마 訪問과 復活節 論爭 [ 編輯 ]

A.D. 155年 폴리카르포스는 로마 敎會를 訪問한다. 이레네誤 에 依하면, 폴리카르포스는 敎皇 亞니체土 를 訪問하였다. 訪問 當時 아시아의 敎會와 로마를 爲始한 西方 敎會의 差異點에 對하여 論議하였다. 두 主敎는 特定 部分은 빠른 意見 一致를 했다. 하지만, 復活節 날짜와 關聯해서는 意見 一致를 보지 못하였다. 아시아의 敎會들은 東方 敎會의 가르침대로 니산월 14日에 逾越節 以後에 復活節 을 지키고 있고, 西方 敎會들은 逾越節을 計算하는 유대敎에게 從屬되는 것을 막고 當時 달曆 計算이 不正確하기에 가장 正確한 로마의 달曆으로 春分 滿月 뒤에 오는 日曜日 復活節 을 지키고 있었기에 이것에 對하여 意見을 좁히지 못하였으나 서로의 敎會의 가르침을 尊重하고 같이 日曜日에 미사 를 드렸다. [6]

이레네誤 는 나중에 이 일을 書信에 이렇게 記錄하였다.

“亞니체土價 로마敎會의 主敎로 있을 때, 폴리카르포스가 로마를 訪問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여러 가지 問題에 關해 意見의 差異가 있었으나 곧 서로 和解했으며, 이 主題로 서로 論爭하지도 않았습니다. 亞니체토는 폴리카르포스에게 그 慣習을 지키지 말라고 勸勉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폴리카르포스는 注意 弟子 요한, 그리고 그와 交際한 나머지 使徒들과 함께 그것을 지켜왔기 때문입니다. 폴리카르포스度 亞니체吐에게 그 慣習을 지키라고 勸勉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亞니체토는 前任 主敎들의 慣習을 保全해야 한다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폴리카르포스의 殉敎 [ 編輯 ]

敎皇 亞니체土 와의 만남 以後 스미르나로 돌아온 그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皇帝의 그리스도교 迫害 로 因해 逮捕되었다. 異敎徒의 神에게 祭祀 드리기를 拒否하여 火刑 을 當하였다.

《폴리카르포스 殉敎錄》李 傳하는 원 記錄은 다음과 같다: [7]

"86年間 하느님을 섬겼다. 하느님은 나에게 어떤 것도 틀린 것을 주신 일이 없다. 그런데, 어떻게 내가 하느님이자 나의 救援者를 冒瀆할 수 있단 말인가? 當身은 一瞬間 나를 태울 불로 나를 威脅하고 있다. 나는 곧 타 없어지겠지. 하지만, 當身은 惡人들을 위해 永遠히 타는 地獄불에 對하여 모르는구나"

? 폴리카르포스의 殉敎錄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ttp://mobile.catholic.or.kr/web/saint/s_basic.asp?conn_gubun=&saintid=2832
  2. “Polycarp” (英語). 2020年 3月 2日.  
  3. “Polycarp” (英語). 2020年 3月 2日.  
  4. 이레니우스. 《異端 反駁 III.3.4》.  
  5. “Henry Wace: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and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A.D., with an Account of the Principal Sects and Heresie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2020年 3月 7日에 確認함 .  
  6.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Polycarp》 .  
  7. Fr. Paolo O. Pirlo, SHMI (1997). 《St. Polycarp》. My First Book of Saints. Sons of Holy Mary Immaculate - Quality Catholic Publications. pp. 58?59.쪽. ISBN   971-91595-4-5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