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폴라리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폴라리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폴라리스 Aa/Ab/B
Polaris Aa/Ab/B
폴라리스 항성계의 사진. 허블 우주 망원경 촬영.
폴라리스 恒星系의 寫眞. 허블 宇宙 望遠鏡 撮影.
名稱
바이어 命名法 작은곰자리 알파 (α UMi)
플램스티드 命名法 작은곰자리 1
밝은 별 目錄 HR 424
헨리 드레이퍼 目錄 HD 8890
스미소니언 天文臺 恒星目錄 SAO 308
小천성표 BD +88°8
히파르코스 目錄 HIP 11767
다른 이름 北쪽 별(North Star), FK5 907, GC 2243, ADS 1477, CCDM 02319+8915, 사이老슈라, 알루카바흐, Phoenice, Navigatoria, 아카디의 별, 일두즈, 미스마르
觀測 情報
(逆起點 J2000)
별자리 작은곰자리
敵境 (α) 02 h  31 m  49.09 s / /02 h  30 m  41.63 s
赤緯 (δ) +89° 15′ 50.8″/ /+89° 15′ 38.1″
겉보기等級 (m) 1.98/9.2/8.7 [1]
絶對等級 (M) -3.6 [1] /3.6 [1] /3.1 [1]
位置天文學
年周視差 7.54 ± 0.11 밀리秒角 [2]
거리 325 [3] ~ 425 [4] 光年(99 [3] ~ 129.5 [4] 파섹)
性質
광도 2500 [5] /3 [1] /3.9 [6] L
나이 7千萬 年 [7]
分光型 F7Ib [8] /F6V [1] /F3V [1]
追加 事項
質量 4.5 [1] /1.26 [1] /1.39 [1] M ?
半지름 46±3 [1] /1.04 [1] /1.38 [6] R
表面溫度 6015 [6] / /6900 [6] K
表面 重力 (log g) 2.2 [9] / /4.3 [6]
自轉 速度 14 [8] / /110 [6]
恒星 目錄

겉보기等級順   · 絶對等級順
거리順   · 質量順   · 半지름順

폴라리스 ( 작은곰자리 알파 , α UMi, 普通 北極星 으로 부른다.)는 작은곰자리 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 全體에서는 50番째로 큰 별이다. 이 별은 天球 北極 과 매우 가까워서 現 時點에서 北極星으로 불리고 있다.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事實 多重星界 이다. 가장 크고 밝은 主人別 폴라리스 Aa는 超巨星 이며 同伴天體 폴라리스 B, 폴라리스 Ab를 거느리고 있다. 이들로부터 떨어진 곳에 同伴天體 폴라리스 C, 폴라리스 D가 있는데 이 둘은 1780年 윌리엄 허셜 이 發見하였다.

히파르코스 改正 星表에는 폴라리스 界까지의 距離를 434 光年(133 파섹)으로 收錄했다. 그런데 最近 發表된 여러 論文에는 旣存의 脈動現象을 假定할 境遇 폴라리스 系가 상기 距離보다 30 퍼센트 더 가깝다고 結論내리고 있다. 폴라리스에 對한 正確한 模型을 樹立하는 것은 特히 重要한데 그 理由는 이 별이 地球에서 가장 가까운 歲페이드 變光星 利器 때문이다. 폴라리스의 物理的 媒介變數는 宇宙 거리 사다리 體系를 確固히 樹立한다는 次元에서 매우 重要하다. [3]

觀測 歷史 [ 編輯 ]

年鑑 및 성표상 폴라리스의 수록 與否

出處 收錄與否
프톨레마이오스 (~169)
알-수피 (964)
알-비루니 (~1030)
카얌 (~1100)
알-투시 (1272) 아니요
울루그 베그 (1437)
코페르니쿠스 (1543)
쇠너 (1551)
브라헤 (1598)
브라헤 (1602)
바이어 (1603)
더 好우트만 (1603) 아니요
케플러 (1627)
실러 (1627)
핼리 (1679) 아니요
헤벨리우스 (1690)
플램스티드 (1725)
플램스티드 (1729)
보데 (1801a)
보데 (1801b)

恒星系 [ 編輯 ]

폴라리스 恒星系를 天體 藝術家가 想像하여 表現한 그림. 中央 아래에 크고 밝은 별이 超巨星 폴라리스 A이고 바로 위에 있는 작은 별이 폴라리스 Ab로 나오고,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폴라리스 B로 나타났다.

폴라리스 A 太陽 보다 4.5倍 무겁고 구름이 가려서 分光型 上 F7의 黃白色 超巨星(Ib)이다. 이 별은 公轉軌道 로부터 運動學 敵 原理를 利用해 質量을 救한 最初의 歲페이드 變光星 이다. Aa는 同伴天體 둘을 거느리고 있다. 첫 番째 폴라리스 B 는 太陽 質量의 1.39倍에 分光型 F3의 主系列星 으로 Aa로부터 約 2400 千門單位 떨어져 있다. 두 番째 同伴天體 폴라리스 Ab ( 폴라리스 P )는 太陽 質量의 1.26倍에 分光型 F6의 主系列星으로 Aa와 約 18.8 千門單位 떨어져 있다. 이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다시 폴라리스 C 폴라리스 D 가 있다. [7]

폴라리스 B는 작은 望遠鏡으로도 볼 수 있다. 1780年 윌리엄 허셜 銀 手製 反射 望遠鏡 을 利用하여 짝별 B를 發見하였다.(그의 望遠鏡은 當代 가장 性能이 좋았다.) 以後 1929年 폴라리스 A의 스펙트럼 을 調査하던 中 A와 매우 가까이 붙어 있는 第3의 天體 폴라리스 Ab(폴라리스 P)를 發見했다. 다만 무어·콜로도프스키는 이보다 前에 Ab의 存在를 豫測한바 있다. 2006年 1月 NASA는 허블 宇宙 望遠鏡 으로 폴라리스를 찍었는데, 여기에는 앞에 記述한 成鷄 構成員 셋이 分離되어 찍혀 나왔다. 허블 望遠鏡의 資料商 Aa와 Ab는 고작 18.5 千門單位 떨어져 있었는데(폴라리스 A로부터 約 28億 킬로미터 거리로 太陽~ 天王星 間隔 程度이다. [10] ) 이렇게 가깝기 때문에 짝별의 빛은 훨씬 밝은 主人別에 묻혀 觀測하기 힘들었던 것이다. [4] [11]

變光星 [ 編輯 ]

폴라리스 A는 契에서 가장 무겁고 구름이 가려진 超巨星 이며 恒星種族 I에 屬하는 古典 歲페이드 變光星 이기도 하다. 다만 예전에는 이 별의 銀緯 (銀緯)가 컸기 때문에 II型 歲페이드 變光星으로 分類한 적도 있다. 歲페이드 變光星은 天體까지의 거리를 決定하는 데 緊要하게 쓰이는 標準촛불 인데 폴라리스 A는 地球에서 第一 가까운 歲페이드 變光星이기 때문에 硏究가 仔細히 이루어졌다. 폴라리스의 변광 패턴은 1852年부터 分析에 들어갔으며 1911年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 이 변광形態를 整理 確立했다. [12]

폴라리스의 밝기는 1.86 - 2.13 範圍에서 脈動하나 [13] 그 振幅은 觀測歷史上 繼續하여 變해 왔다. 1963年 移轉 振幅은 0.1 等級 以上이었고 밝기의 減少 速度는 매우 緩慢했다. 1966年 以後 振幅의 크기는 0.05 等級까지 빠르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以後 상기 幅 範圍에서 不規則하게 밝기가 變하고 있다. 다른 歲페이드 變光星과는 달리 폴라리스의 밝기 振幅이 다시 커지고 있다는 硏究結果가 나오고 있다. [8]

변광 週期는 大略 4日이지만 歷史的으로 이 間隔은 繼續 變化가 있었다. 1963年부터 1965年 期間을 除外하고 변광週期는 每年 4.5秒씩 꾸준히 增加해 왔다. 이 現象의 原因은 恒星이 歲페이드 不安定띠 段階를 거치면서 恒星이 부풀어 오르고 붉게 變하는 現象 때문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日次 脈動 狀態(primary overtone pulsation mode)와 最初 背音 脈動 狀態(first overtone pulsation mode) 狀態 사이에 干涉이 일어나기 때문에 생긴 結果일 수도 있다. [4] [14] [15] 現在 폴라리스가 基本 背音 脈動天體(fundermental overtone pulsator)인지 最初 背音 脈動天體(first overtone pulsator)인지 天文學界 내 見解가 一致하고 있지 않다. 또한 이 별이 不安定띠 段階에 처음 進入한 것인지 아니면 移轉에 進入한 적이 있는지도 意見統一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15]

폴라리스의 表面溫度는 脈動期間 中 아주 조금만 바뀌나, 그 振幅은 繼續 變化하며 豫測하기 어렵다. 有效溫度 는 脈動 週期마다 最小 50 ~ 最大 170 켈빈만큼 오르내리는데 이는 폴라리스 Ab의 軌道에 影響을 받았기 때문일 것이다. [9]

사이언스에 실린 論文에 따르면 폴라리스는 프톨레마이오스 時節 3等級보다 2.5倍 밝아져 現在 2等級이 되었다고 한다. [16]

이름 [ 編輯 ]

폴라리스는 天測 航法 에서의 重要性 때문에 많은 이름으로 불려 왔다. 現在 西歐圈에서 불리는 이름 폴라리스(Polaris)는 르네상스 以後 普遍化된 名稱으로 語源은 라틴語 polaris (北極 近處)이다. 英國에서 Polaris 를 使用한 時期는 17世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 語源은 라틴語 stella polaris (北쪽 별)로 英語로 Star 卽 '별'을 省略하여 불렀다. [17]

古代 폴라리스를 불렀던 이름 中 하나로 Cynos?ra 가 있는데 이는 그리스어 "κυν?σουρα"(개 꼬리)에서 온 말이다. 이는 現 작은곰자리가 當時에는 개를 象徵하는 별자리로 認識되었음을 뜻한다. 이 名稱은 英語 單語 cynosure 의 語源이 되었다. [18] [19] 以外에 붙은 大部分 이름들은 北極星이라는 屬性과 密接하게 聯關되어 있다. 英國에서는 폴라리스를 "pole star"(極盛) 또는 "north star"(北쪽 별)로 불렀다. 한便 에드먼드 스펜서의 作品에서는 "steadfast star"(한결같은 별)로 登場한다. 이보다 오래되고 14世紀부터 쓰인 呼稱으로 "lodestar"(引導하는 별)가 있는데 이는 古代 노르웨이語 leiðarstjarna , 中古 獨逸語 leitsterne 와 뿌리가 같다. 폴라리스 外에 또다른 라틴語 이름은 stella maris (바다別)인데 이 名稱은 聖母 마리아의 別稱으로 쓰였으며 8世紀 讚頌歌 Ave Maris Stella 로 有名해졌다. [20]

中國 天文學에서는 丘疹(勾陳)에 屬한다. 폴라리스는 丘疹의 첫 番째 별로 九眞일(勾陳一, 병음 :G?ucheny?)이라 불린다.

印度 天文學에서는 이 별을 산스크리트語 dhruva t?ra (붙박이별)라고 불렀다. 中世 이슬람圈에서는 여러 이름으로 불렀는데 代表的인 名稱으로 '미스마르'(바늘, 손톱), '알-쿠트브 알-샤말리이'(북쪽의 軸), '알-카우카브 알-샤말리이'(북쪽 별) 等이 있다. [21]

北極星으로서의 役割 [ 編輯 ]

北半球 별들이 天球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追跡하면 寫眞과 같은 典型的인 原形 軌道들을 그린다. 中心部 거의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별이 폴라리스.

現 時點에서 폴라리스는 假想의 地球 自轉軸이 延長되어 天球 北極과 만나는 地點에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22] 따라서 폴라리스는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고, 나머지 모든 별들은 폴라리스를 中心에 두고 回轉하는 것처럼 보인다. 다만 폴라리스는 하늘의 어느 한 點에 固定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移動하고 있는데 漸漸 天球북극에 接近하고 있으며 未來에는 다시 天球북극으로부터 멀어질 것이다. 이는 地球 自轉軸이 洗車 運動을 하기 때문이다. [23] 天球북극은 21世紀 以後 폴라리스로부터 멀어질 것이며 41世紀 頃 세페우스자리 감마 옆을 스쳐 지나갈 것이다. 歷史的으로 紀元前 2500年 頃 天球북극은 투반 과 가까웠고 [23] 古典 古代 期間에는 코카브 가 天球북극에 폴라리스보다 가까웠다. 古代 後記 코카브와 폴라리스는 天球북극으로부터 거의 비슷한 角距離만큼 떨어져 있었다. 그리스 航海가 피테아스 는 紀元前 320年 天球북극에는 아무 별도 없다고 記錄했다. 그러나 유럽人들은 古代 後記 부터 폴라리스를 天球북극에 가까운 밝은 별들 中 하나로써 航海에 利用했던 것으로 보인다. 以後 5世紀 스토바에右스가 폴라리스를 ?ε? φαν?? (아에이 파네스, '恒常 보인다') 라고 記錄한 것으로 보아 폴라리스는 적어도 中世 性器 부터는 北極星( stella polaris )으로 불리기 始作했던 것으로 推定할 수 있다.

나사니얼 바우디値는 1802年 咀嚼 American Practical Navigator 에서 폴라리스를 引用했는데 이 冊에서 폴라리스는 航海別 中 하나로 나온다. [24]

폴라리스는 天球의 北極에 近接해 있는 屬性 때문에 地平線과 이 별이 이루는 角度를 재면 觀測者 居住地의 緯度가 나온다. 例를 들어 北緯 38度 居住者가 바라본 폴라리스는 地平線으로부터 38度 角度를 이룬다. 같은 原理로, 古代人들은 北쪽으로 올라갈수록 北極星의 高度가 커지는 것으로부터 地球가 둥글다는 事實을 알아냈다. [25]

거리 [ 編輯 ]

時差 를 利用하여 地球와 별 사이 거리를 求하는 原理를 表現한 그림. 1파섹은 1初刻의 年周視差 를 보이는 天體가 地球와 떨어진 距離로 具體的 값은 約 20萬 6265 天文單位이다.

현대 여러 論文들은 히파르코스 側性衛星 이 보낸 資料를 基盤으로 폴라리스까지의 距離를 約 434 光年(133 파섹)으로 計算하고 있다. [4] 이보다 오래 된 論文에서는 좀 더 먼 것으로 推定했다. 다만 最近 論文들의 硏究結果에 따르면 高解像度 스펙트럼 分析 結果 이 별과 우리 사이 거리는 히파르코스 資料보다 거의 100 光年 더 가까워졌다.(323 光年/99 파섹) [3] 폴라리스는 地球에서 가장 가까운 歲페이드 變光星이므로 이 별의 物理的 媒介變數는 宇宙 거리 사다리를 正確히 測定하는 與否를 決定하기 때문에 매우 重要하다. [3]

폴라리스까지의 距離 豫測값
鳶島 거리: 光年(파섹) 出處
433 ly (133 pc) 히파르코스 [2]
2006 330 ly (101 pc) 터너 [14]
2008 359 ly (110 pc) 柳센코 & 클라치코바 [6]
2013 323 ly (99 pc) 터너 外 [3]
2014 >=385 ly (>=118 pc) 닐슨 [15]

히파르코스 衛星은 1989年부터 1994年까지 0.97 밀리秒角 (970 마이크로초角) 誤差範圍 精密度로 恒星들의 時差를 測定했으며 向上된 正敎徒에 힘입어 地球로부터 約 3,200 光年(1,000 파섹) 거리의 天體들을 觀測對象에 넣을 수 있었다. [26] 以後 히파르코스의 側性資料에서 誤謬를 잡아내고 技術的 完成度를 더하는 作業이 進行되었다. [2] 그러나 이런 正確度 向上에도 不拘하고 폴라리스의 時差가 不正確하게 나온 것에 對해 天文學者들의 指摘이 나왔으며, 一部 天文學者들은 히파르코스 衛星이 作成한 다른 歲페이드 變光星들의 거릿값도 信賴할 수 없다고 主張했다. [3] 히파르코스가 폴라리스의 時差를 낮춰 잡은 것에 對해 그 正確度를 檢證하려는 試圖가 있었으나 아직 이 별까지의 거릿값은 合意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7]

位置 찾기 [ 編輯 ]

폴라리스를 中心으로 天球 별들이 回轉하는 모습. 카시오페이아자리 큰곰자리 로부터 폴라리스를 찾는 方法이 點線으로 標示되어 있다.

폴라리스 自體는 北極星이라는 象徵性과는 달리 눈에 띄게 밝은 별이 아니며 現代 都市의 밤하늘은 光公害 때문에 별들의 빛이 弱해져 맨눈으로 폴라리스의 位置를 把握하기 어렵다. 直觀的으로 폴라리스를 찾는 方法은 다음과 같다. 北斗七星 국자 앞 部分 메라크 로부터 두베 까지 假想의 線을 잇고 그 方向으로 線을 다섯 倍 늘린 位置에 폴라리스가 있다. [28] [29]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Evans, N. R.; Schaefer, G. H.; Bond, H. E.; Bono, G.; Karovska, M.; Nelan, E.; Sasselov, D.; Mason, B. D. (2008). “Direct Detection of the Close Companion of Polaris with Thehubble Space Telescope”. 《The Astronomical Journal》 136 (3): 1137. arXiv : 0806.4904 . Bibcode : 2008AJ....136.1137E . doi : 10.1088/0004-6256/136/3/1137 .  
  2.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 : 0708.1752 . Bibcode : 2007A&A...474..653V . doi : 10.1051/0004-6361:20078357 .  
  3. Turner, D. G.; Kovtyukh, V. V.; Usenko, I. A.; Gorlova, N. I. (2013). “The Pulsation Mode of the Cepheid Polaris”.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762 : L8. arXiv : 1211.6103 . Bibcode : 2013ApJ...762L...8T . doi : 10.1088/2041-8205/762/1/L8 .  
  4. Evans, N. R.; Sasselov, D. D.; Short, C. I. (2002). “Polaris: Amplitude, Period Change, and Companions”. 《The Astrophysical Journal》 567 (2): 1121. Bibcode : 2002ApJ...567.1121E . doi : 10.1086/338583 .  
  5. Spreckley, S. A.; Stevens, I. R. (2008). “The period and amplitude changes of Polaris (α UMi) from 2003 to 2007 measured with SMEI”.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 arXiv : 0805.1165 . Bibcode : 2008MNRAS.388.1239S . doi : 10.1111/j.1365-2966.2008.13439.x .  
  6. Usenko, I. A.; Klochkova, V. G. (2008). “Polaris B, an optical companion of the Polaris (α UMi) system: Atmospheric parameters, chemical composition, distance and mas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Letters》 387 : L1. arXiv : 0708.0333 . Bibcode : 2008MNRAS.387L...1U . doi : 10.1111/j.1745-3933.2008.00426.x .  
  7. “Polaris: astrometric orbit, position, and proper motion”. arXiv : astro-ph/0002406 . Bibcode : 2000A&A...360..399W .  
  8. Lee, B. C.; Mkrtichian, D. E.; Han, I.; Park, M. G.; Kim, K. M. (2008). “Precise Radial Velocities of Polaris: Detection of Amplitude Growth”. 《The Astronomical Journal》 135 (6): 2240. arXiv : 0804.2793 . Bibcode : 2008AJ....135.2240L . doi : 10.1088/0004-6256/135/6/2240 .  
  9. Usenko, I. A.; Miroshnichenko, A. S.; Klochkova, V. G.; Yushkin, M. V. (2005). “Polaris, the nearest Cepheid in the Galaxy: Atmosphere parameters, reddening and chemical compositio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62 (4): 1219. Bibcode : 2005MNRAS.362.1219U . doi : 10.1111/j.1365-2966.2005.09353.x .  
  10. “There's More to the North Star Than Meets the Eye” . Hubblesite.org. 2006年 1月 9日 . 2012年 4月 14日에 確認함 .  
  11. 北極星은 세 個의 별이었다 , 오마이뉴스 , 2006-01-13 作成, 2015-09-26 確認.
  12. Hertzsprung, Ejnar (August 1911). “Nachweis der Veranderlichkeit von α Ursae Minoris”. 《Astronomische Nachrichten》 (獨逸語) 189 (6): 89. Bibcode : 1911AN....189...89H . doi : 10.1002/asna.19111890602 .  
  13. Samus, N. N.; Durlevich, O. V.; 外.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 02025. Bibcode : 2009yCat....102025S .  
  14. Turner, D. G.; Savoy, J.; Derrah, J.; Abdel?Sabour Abdel?Latif, M.; Berdnikov, L. N. (2005). “The Period Changes of Polaris”.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17 (828): 207. Bibcode : 2005PASP..117..207T . doi : 10.1086/427838 .  
  15. Neilson, H. R.; Engle, S. G.; Guinan, E.; Langer, N.; Wasatonic, R. P.; Williams, D. B. (2012). “The Period Change of the Cepheid Polaris Suggests Enhanced Mass Loss”. 《The Astrophysical Journal》 745 (2): L32. arXiv : 1201.0761 . Bibcode : 2012ApJ...745L..32N . doi : 10.1088/2041-8205/745/2/L32 .  
  16. Irion, R. (2004).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MEETING: As Inconstant as the Northern Star” . 《Science》 304 (5678): 1740?1. doi : 10.1126/science.304.5678.1740b . PMID   15205508 .  
  17.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lishing. 23쪽. ISBN   978-1-931559-44-7 .  
  18.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Cynosure , 위키소스.
  19. Allen, Richard Hinckley (1969).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Dover Publications Inc. (Reprint of 1899 original). ISBN   0-486-21079-0 .  
  20. 예수 그리스도의 象徵으로도 가끔 쓰였는데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는 이것을 禁止했다. Haec appellatio stelle maris tribui solet Beate Virgini. Fortasse melius de Christo diceretur 'stella splendida et matutina' . . . . [N]am stella maris est stella polaris, quae exigua est. Stella splendida et matutina est stella omnium fulgentissima, quae ab astrologis dicitur stella Veneris cited after Peter Godman, The saint as censor: Robert Bellarmine between inquisition and index , Mnemosyne, Bibliotheca Classica Batava, BRILL, 2000, ISBN   978-90-04-11570-5 , p. 309
  21.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1899), p. 457.
  22. Norton, Arthur P. (1973). 《Norton's Star Atlas》. Edinburgh: Sky Publishing. 10쪽. ISBN   0-85248-900-5 .  
  23. Norton, Arthur P. (1973). 《Norton's Star Atlas》. Edinburgh: Sky Publishing. 10쪽. ISBN   0-85248-900-5 . 4500 years ago it was Thuban α Draconis); 8000 years hence it will be Deneb  
  24. Nathaniel Bowditch: The American Practical Navigator, 2002 Bicentennial Ed., Chapter 15 Navigational Astronomy, page 248, Figure 1530a. Navigational stars and the planets
  25. 밤하늘의 ‘스타’ 아세요? - 모르면 抑鬱한 별들의 世界 , 나우뉴스 , 2015-02-27 作成, 2015-09-28 確認.
  26. Van Leeuwen, F. (1997). “The Hipparcos Mission”. 《Space Science Reviews》 81 (3/4): 201. doi : 10.1023/A:1005081918325 .  
  27. Van Leeuwen, F. (2013). “The HIPPARCOS parallax for Polaris”. 《Astronomy & Astrophysics》 550 : L3. arXiv : 1301.0890 . Bibcode : 2013A&A...550L...3V . doi : 10.1051/0004-6361/201220871 .  
  28. Polaris: The North Star , Constellation Guide, 2014-07-28 作成.
  29. 우리가 몰랐던 眞짜 北極星 찾기 , 아웃도어 뉴스, 2014-10-24, 2015-09-26 確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