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敗者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敗者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敗者 ( 覇者 , hegemon)는 霸權 主義的 國際關係에서 그 霸權을 쥔 者를 말한다. 普通 敗者라 하면 中國 春秋時代 同舟 王朝 下衣 諸侯 들 中에서 霸權을 잡은 이를 일컬으며, 이들을 春秋五霸 (春秋五覇)라고 한다.

槪要 [ 編輯 ]

儒敎 에서는 德(德)으로써 天下를 다스리는 者를 王子(王者)라고 했으며, 이와 對比되어 本人의 힘(力)으로 天下에 이름을 떨치는 君主는 敗走(覇主)라고 했다. 牌(覇)는 元來 血緣과 宗法으로써 맺어진 諸侯들 가운데 最年長者를 의미하며,'백(伯)'처럼 맏이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흔히 歷史에 敗者로 알려진 春秋五霸 또한 記錄에서는 으레 五百(五伯) 또는 午後백(五侯伯)으로 記錄된다.

初期에는 株 王室을 移籍 (오랑캐)으로부터 지켜낸( 尊王攘夷 ) 諸侯에게 敗者의 稱號가 주어졌지만, 株 王室의 權威가 失墜된 뒤로 諸侯들끼리 모여( 會盟 ) 盟主를 敗者로 推戴하게 되었다. 春秋 時代 最初의 패주는 第(齊)의 桓公(桓公)이었는데, 制의 始祖로 알려진 강여상은 朱 武王 의 功臣이기는 했지만 儼然히 株 王朝의 宗室이 아닌 諸侯國의 君主일 뿐이었다. 宰相 觀衆 (管仲)의 補佐를 土臺로 여러 次例 諸侯들을 糾合해 會盟을 열었던 第 桓公은 當時 戎狄의 侵略에 시달리던 위(?)와 兄(邢)을 救援하고 初(楚)의 北進을 막았으며 아울러 株 王室의 王位 繼承 問題를 仲裁하였는데, 이러한 제 桓公의 行跡을 歷史에서는 "諸侯들을 糾合하고 天下를 하나로 바로잡았다"(九合?侯,一匡天下)고 稱하고 있다. 第 桓公은 諸侯들의 會盟을 召集하고 그 會盟 자리에서 週 天子를 代表하는 資格으로써 出席하였으며, 이는 祭儀 敗者로써의 資格을 한層 더욱 强化시켜 주었다.

그러나 제 桓公이 죽은 뒤 提議 國力은 衰退하였고, 敗者로 自處하는 諸侯國들은 繼續해서 나타났다.

第 桓公 以後 송 陽孔(宋襄公), 晉 문공(晋文公), 陳 木工(秦穆公), 初 莊王(楚庄王) 等이 敗者라 불렸으며, 이들 다섯 諸侯를 春秋五霸라 부른다. 春秋五霸에는 鄭 張公(鄭莊公), 吳王 闔閭(?王??), 吳王 부차(吳王夫差), 월왕 句踐(越王勾?) 等의 諸侯를 包含시키기도 한다( 春秋五霸 項目 參考). 後世 學者들은 帝王이 牌(?)라 稱한 事例를 硏究하면서 이러한 事例를 霸道(?道)라 稱하고, 王都(王道)와는 相對되는 槪念으로 규정지었다.

準敗者 槪念 [ 編輯 ]

어느 意見에서는 春秋五霸를 제환공,진문공,初場王을 包含시키고 둘을(송양공 진목공 또는 부차 九千)넣기 때문에 남은 두名은 準敗者에 넣기도 한다. 어느 다른 意見에서는 時代를 잠깐 風靡했던 情 張公 乙 준패자로 넣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