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他흐마스프 1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他흐마스프 1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他흐마스프 1歲 ( 페르시아語 : ?????? ?ahm?sp , 아제르바이잔語 : T?hmasib 태흐마시브 , 튀르키예어 : Tahmasb ; 1514年 2月 22日 ~ 1576年 5月 14日)는 사파비 王朝 의 두番째 君主로, 그의 在位 期間은 52年으로 사파비 君主들 가운데 가장 긴 것이다( 在位:  1524年 5月 23日 ~ 1576年 5月 14日 ). 샤 打흐마스프의 時代에 사파비 國家는 內·外部의 問題로 인해 두 個로 쪼개지거나 아예 사라질 危機에 있었다. 他흐마스프는 10살의 어린 나이에 在位에 올랐음에도, 사파비 帝國이 分裂되거나 滅亡할 危機를 넘기는데 貢獻하였다. [1] 宗敎的으로는, 아버지 이스마일 1歲 의 政策을 이어 받아 시아派 이슬람의 電波에 힘썼다. [2]

他흐마스프
??????
체헬 소툰 궁정에 그려진 샤 타흐마스프 1세의 초상
體헬 小툰 宮廷에 그려진 샤 他흐마스프 1歲의 肖像
사파비 샤한샤
在位 1524年 5月 23日 ~ 1576年 5月 14日
前任 이스마일 1歲
後任 이스마일 2歲
攝政 디브 술탄 룸루 → 秋河 술탄 他칼壘
宰相 후세인 칸 샴루
이름
他흐마스프
別號 아불 파스
尊號 카가네 者나트마칸
身上情報
出生日 1514年 2月 22日
出生地 이스파한 隣近의 샤하바드
死亡日 1576年 5月 14日
死亡地 카즈빈
王朝 사파비 王朝
父親 이스마일 1歲
母親 타즐루 下눔
子女 이스마일 , 하이다르, 무함마드 후다반다 等 9名의 아들
其他 親姻戚 三 미르자 (동생)
宗敎 12이맘 시아派 이슬람

生涯 [ 編輯 ]

王子 時節 [ 編輯 ]

他흐마스프 미르자는 이스파한 隣近의 샤하바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사파비 帝國의 始皇帝, 이스마일 1歲 였고, 어머니는 野쿱 아크코尹루 의 孫女인 타즐루 下눔이었다. [3]

튀르크·몽골式 傳統에 따라, 이스마일 1世는 맏아들 他흐마스프 미르자를 後라산의 總督으로 派遣했다. 그의 스승( 튀르키예어 : lala )으로는 아미르 술탄 無實壘로 하였다. 他흐마스프 미르자를 헤라트 에 둔 것은 이스마일 1世가 그를 後繼者로 여겼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他흐마스프 미르자가 8살이 된 1421年, 아미르 술탄 無實루는 타지크人 官僚 기야스 알딘과 葛藤을 빚었다. 아미르 술탄이 기야스 알딘을 處刑하자 이스마일은 아미르 술탄과 他흐마스프를 타브리즈로 불러들이고, 打흐마스프의 스승으로는 後日 디브 술탄이라 알려질 알리 베그 룸壘를 임명하였다. 헤라트와 後라산의 總督자리는 打흐마스프의 동생, 三 미르자 에게 넘어갔다. [4]

在位 初盤 [ 編輯 ]

몇 年 동안 나는 部族들 사이의 피비린내 나는 內戰을 보고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나는 그 속에서 神의 뜻을 찾기 위해 努力할 따름이었다.

? 샤 打흐마스프의 回顧錄 [5]

이스마일 1歲가 1524年 5月 23日에 죽자, 他흐마스프 미르자는 10살의 나이로 사파비 帝國의 2代 皇帝가 되었다. 샤 他흐마스프 在位의 첫 折半은 크즐바쉬 守令들의 權力 다툼으로 點綴되었다. 디브 술탄 룸루와 쾨펙 술탄 우스타즐루는 共同 攝政 職位에 올랐으나, 곧 서로 다투었다. 디브 술탄에 依해 우스타즐루 不足은 길欄으로 逃走하였다. 以後 디브 술탄은 週헤흐 술탄 他칼루와 協力하여 政局을 運營했다. [6]

부하라 칸國과의 戰爭 [ 編輯 ]

사파비 宮廷이 混亂에 빠지자 後라산 方位가 不安定해졌다. 부하라 칸國 의 君主 우바이드 칸 은 1524年부터 1540年까지 後라산을 5次例나 侵攻하였다. 샤 他흐마스프는 우즈베크人들의 侵攻에 對應하기 위해 4次例나 反擊 遠征에 나서야 했다. 他흐마스프는 1524年 11月, 잠에서 우즈베크 軍隊를 擊破했다. 이때 他흐마스프는 찰드란 戰鬪 , 某하치 戰鬪 의 오스만 軍隊와 마찬가지로 火氣를 積極 活用하였다. 그 結果 사파비 帝國은 後라산 地域을, 부하라 칸國은 마 와라 알나흐르 를 支配하는 國境이 定着되었다. [7]

오스만 帝國과의 戰爭 [ 編輯 ]

오스만 帝國 亦是 機會를 놓치지 않았다. 他흐마스프가 東쪽에서 우즈베크人들과 戰爭을 치르는 동안, 오스만 軍隊는 이라크를 征服하고 아제르바이잔 一部를 占據했다. 이때 他흐마스프 麾下에는 고작 7,000名의 兵士밖에 없었다. 他흐마스프를 救해준 것은 오스만 軍隊가 타브리즈 를 占領할 能力이 없었던 것이었다. [7]

나히체반으로 진군하는 오스만 군대
나히체반으로 進軍하는 오스만 軍隊

오스만 軍隊는 1534年, 1546年, 그리고 1553年, 세 次例에 걸쳐 사파비 帝國을 攻擊했다. 他흐마스프는 每番 戰鬪를 回避하고 領土를 넘겨줌으로써 살아남았다. 타브리즈는 매 遠征마다 함락당했다. 쉴레이만 大帝 는 1533年과 1548年에 各各 打흐마스프의 동생인 三 미르자 알카스 미르자 를 사파비 王朝의 꼭두각시 君主로 擁立하여, 사파비 國家를 크림 칸國 과 같은 봉신國으로 만들려 하였다. [8]

特히 深刻했던 것은 1533年의 戰爭이었다. 오스만 帝國이 侵攻하자 샴루 部와 他칼壘 부는 他흐마스프를 暗殺하고 헤라트 태수 三 미르자를 擁立하려 했다. 三 미르자는 쉴레이만 大帝에게 使臣을 보내, 아제르바이잔 東쪽의 領土를 모두 割讓하는 代身 이란의 統治者로 임명해달라고 提議했다. 이 消息은 打흐마스프의 宮廷을 衝擊에 빠뜨렸다. 그러나 三 미르자는 쉴레이만이 退却할때까지 움직이지 않았다. 오스만 軍隊가 退却하자, 他흐마스프는 部族들을 制御할 수 있게 되었다. [9]

칸다하르 征服 [ 編輯 ]

회동하는 샤 타흐마스프와 후마윤
會同하는 샤 他흐마스프와 후마윤

우즈베크와의 戰爭으로 헤라트는 여러 次例 陷落되었다. 그러나 他흐마스프는 1537年의 遠征으로 헤라트를 奪還하고, 그 餘勢를 몰아 칸다하르度 티무르 王朝 에게서 暫時 빼앗았다. 當時 칸다하르는 이란 高原과 人道 사이의 貿易路를 制御할 수 있는 要衝地였다. 1543年에는 티무르 王朝의 君主, 후마윤 이 打흐마스프의 宮廷으로 亡命하였다. 他흐마스프는 후마윤이 시아派를 받아들이게 强要한 뒤, 얼마間의 軍隊를 내어주었다. 그 代價로 후마윤은 칸다하르를 奪還한 뒤 이를 他흐마스프에 내주었다. 以後 칸다하르는 무굴 帝國 과 사파비 帝國 사이를 오갔으나, 1558年, 他흐마스프는 結局 칸다하르를 確保하는데 成功했다. [10]

在位 後半 [ 編輯 ]

카즈빈의 체헬 소툰 궁전
카즈빈의 體헬 小툰 宮殿. 現在 남아있는 모습은 19世紀 카자르 王朝 에 依해 大規模로 改築된 모습이다.

他흐마스프는 東쪽에서 여러 次例의 成功을 거두었지만, 西쪽에서는 그러지 못했다. 그러나 他흐마스프는 後日 압바스 1歲 改革의 주춧돌을 놓는데 成功하였다. 그는 캅카스에 對한 遠征을 여러 次例 성공시킴으로써, 조지아人, 아르메니아인, 鉏카시아인 捕虜를 軍事 奴隸로 거두었다. 이들은 압바스 1歲의 時代에 軍事 奴隸 軍團을 이루어 사파비 帝國의 政治 均衡을 뒤흔들었다. 한便, 他흐마스프는 오스만 帝國의 威脅을 避하기 위해 타브리즈에서 南西쪽의 카즈빈 으로 首都를 옮겼다. [10]

1574年, 他흐마스프는 病에 걸린다. 이를 信號로 王子들과 크즐바쉬 部族들은 競爭을 始作한다. 그 渦中인 1576年 5月 14日, 他흐마스프는 毒殺을 當하게 된다. 우스타즐루 부는 하이다르 미르자를 後繼者로 支持했으나, 亞프샤르, 룸루 等 部族들이 反對하여 이스마일 2歲 가 사파비 帝國 3代 皇帝로 옹립되었다. [11]

宗敎 政策 [ 編輯 ]

샤 他흐마스프는 내·외부의 어려움에도 不拘하고 시아派 復興 政策을 꾸준히 進行했다. 그 自身은 1540年代부터 마쉬하드 에 位置한 시아派 이맘 리자의 英妙에 巡禮하는 例를 보였다. 또한 알리 의 아들 후세인 이 카르발라에서 죽은 일을 哀悼하는 아슈라 意識 을 後援하고 各地의 시아派 모스크나 英妙를 修理하는데도 精力을 기울였다. 他흐마스프는 시아派를 體系化하는데도 努力을 기울였다. 1533年, 他흐마스프는 아버지 이스마일 1歲가 寵愛한 시아派 神學者, 알리 카라키 알亞밀리 를 登用하였다. 알리 카라키 알아밀은 打흐마스프의 後援으로 사파비 帝國에서 宗敎 政策 全般을 總括하였다. 알리 카라키는 神學者들을 利用해 12이맘 시아派 神學을 體系化하였다. [2]

그런 한便 이스마일 1歲의 純니파 彈壓 政策도 繼續 이어졌다. 이스마일 1世는 1501年 타브리즈를 占領하였을 때 住民들에게 시아派를 强要하며, 알리 以前의 最初의 칼리파 3名을 詛呪하라고 命令한 바 있었다. 他흐마스프는 이 칼리프들을 詛呪하는 意識인 他哱囉를 만들어 모든 모스크나 廣場에서 施行하기를 强要하는 한便, 過去 順니파의 主要 人物 90名에 對한 目錄을 만들어 公開的으로 非難하였다. 純니파 要因들이나 樹皮 終端에 對한 彈壓도 이어져, 拷問이나 處刑이 行해졌다. [12]

經濟 政策 [ 編輯 ]

사파비 帝國은 打흐마스프의 時代 뿐만 아니라 16世紀 내내 財政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打흐마스프의 時代에 사파비 帝國은 부하라 칸國 에 依해 後라산 地方을, 오스만 帝國 에 依해 이라크 地方을 喪失했기 때문이다. 이 두 地域은 諸國에서 가장 높은 生産力을 가진 땅이었다. 이 點을 보여주는 代表的인 事例가 사파비 帝國의 貨幣 價値이다. 이스마일 1歲 의 時代에 샤히 銀貨의 무게는 9.22g이었으나, 打흐마스프의 繼續된 價値切下 政策으로 인해 압바스 1歲 가 卽位할 때는 2.30g에 不過했다. [13]

文化 [ 編輯 ]

他흐마스프는 그 自身이 有能한 畫家였다. 他흐마스프는 2살의 나이로 當時 이슬람 世界에서 細密畫 로 가장 有名한 헤라트로 派遣갔다. 헤라트의 宮廷에서, 他흐마스프는 非흐자드 에게 細密畫에 對해 배웠다. [14]

君主가 된 以後로 他흐마스프는 細密畫에 對한 後援을 이어갔다. 打흐마스프의 時代에는 《 샤나메 》의 새로운 版本이 製作되었는데, 사파비 帝國에서 編纂된 圖書들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것이었다. 258張의 揷畵로 이루어진 이 冊은 打흐마스프의 在位 初期에 製作되기 始作해, 1540年 頃에 完成된 것으로 보인다. [15]

한便, 打흐마스프의 時代는 이스마일 1歲 의 時代와 더불어 아제르바이잔 튀르크어 와 그 文學史에서 가장 빛나는 時期였다. 바그다드의 무함마드 이븐 술레이만 푸줄리 가 阿弟리어 詩文學의 基礎를 쌓았다. 以後 무함마드 아마니 가 푸줄리를 따라 여러 作品을 썼는데, 그는 사파비 帝國의 臣下였다. 또 다른 主要한 詩人으로는 사데키 베그 아프샤르가 있었다. [16]


前任
이스마일 1歲
사파비 王朝 皇帝
1524年 ~ 1576年
後任
이스마일 2歲

參考 文獻 [ 編輯 ]

  1. Streusand, Douglas E. (2010).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Westview Press. 146, 149쪽. ISBN   9780813391946 .  
  2. Dale, Stephen F. (2009). 《The Muslim Empires of the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0쪽. ISBN   9781316184394 .  
  3. Savory, Roger M.; Karamustafa, Ahmet T. (1998). “Esm???l ?afaw?” . 《Encyclopaedia Iranica, online edition》 . 2019年 5月 3日에 確認함 .  
  4. Mitchell, Colin P. (2009). “?ahm?sp I” .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 2019年 5月 3日에 確認함 .  
  5. Dale, Stephen F. (2009). 《The Muslim Empires of the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8쪽. ISBN   9781316184394 .  
  6. Streusand, Douglas E. (2010).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Westview Press. 146쪽. ISBN   9780813391946 .  
  7. Streusand, Douglas E. (2010).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Westview Press. 146~147쪽. ISBN   9780813391946 .  
  8. Streusand, Douglas E. (2010).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Westview Press. 147쪽. ISBN   9780813391946 .  
  9. Streusand, Douglas E. (2010).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Westview Press. 147~148쪽. ISBN   9780813391946 .  
  10. Streusand, Douglas E. (2010).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Westview Press. 148쪽. ISBN   9780813391946 .  
  11. Gunduz, Tufan (2010). “Tahmasb” . 《TDV ?slam Ansiklopedisi》. TDV ?slam Ara?tırmaları Merkezi . 2019年 5月 3日에 確認함 .  
  12. Dale, Stephen F. (2009). 《The Muslim Empires of the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0~91쪽. ISBN   9781316184394 .  
  13. Dale, Stephen F. (2009). 《The Muslim Empires of the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8 ~ 119쪽. ISBN   9781316184394 .  
  14. Dale, Stephen F. (2009). 《The Muslim Empires of the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0 ~ 171쪽. ISBN   9781316184394 .  
  15. Dale, Stephen F. (2009). 《The Muslim Empires of the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1쪽. ISBN   9781316184394 .  
  16. Javadi, H.; Burrill, K. (1988). “Azerbaijan x. Azeri Turkish Literature” .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 2019年 5月 4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