村落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村落
베냉의 외딴 마을

村落 (村落, Village)은 적은 數의 사람 들이 모여 第1次 産業을 中心으로 하여, 共通된 生活을 하고 있는 地域을 가리키는 말이다. 마을 (Town)보다 더 적은 數의 사람이 모여사는 곳을 뜻하기도 한다.

意味 [ 編輯 ]

村落은 人間들이 땅을 占有하면서 만들어 낸 生活 空間 中 하나이다. 聚落은 居住하고 있는 人口數나 사람들의 職業과 機能 및 景觀의 差異에 따라 村落과 都市로 區分된다. 村落은 都市에 비해 人口 規模가 작고, 主로 農業이나 漁業, 鑛業 等을 經濟的 基盤으로 하며, 이에 從事하는 사람들이 主로 居住하는 空間이다.

村落은 都市와 달리 人工的인 要素보다 自然的인 要素가 景觀에 잘 나타난다. 農業을 基盤으로 하는 村落의 境遇 家屋과 도로, 경지, 畜舍 等의 景觀이 나타나는데, 이는 村落을 構成하는 重要한 空間 要素이다. 村落은 都市에 비해 住民들 間에 同質性이 크고, 기초적인 生活이 共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生活圈이 좁은 便이다.

最近에는 村落 經濟의 1次 産業에 對한 依存度가 漸次 減少하고 있다. 村落에 居住하고 있는 사람들이 가까운 都市로 출·退勤을 하는 境遇도 많고, 一部 村落은 觀光地로서 餘暇와 關聯된 서비스를 提供하는 境遇도 있다. [1]

發達 要因 [ 編輯 ]

村落의 發達 要因은 매우 다양하다. 물과 같은 自然的 條件은 勿論 防禦, 交通 等 다양한 人文的 條件도 村落이 發達하는 要因이다.

물은 村落이 立地하기 위한 가장 基本的인 條件이다. 過去에 村落은 主로 生活에 必要한 물을 얻기 쉬운 河川이나 샘물 周邊에 立地하였다. 乾燥 地域의 오아시스에 發達한 村落이나 濟州島의 용천에 發達한 村落 等은 이와 같은 村落 立地의 事例이다. 한便, 河川의 汎濫이 잦은 곳에서는 洪水 時에 물을 避하기 쉬운 곳에 村落이 位置하기도 하였다.

野生 動物이나 다른 部族의 侵入으로부터 防禦할 수 있는 地形도 村落의 重要한 立地 條件이다. 우리나라의 山城村과 初期 메소포타미아 地域의 性僻村 等이 이에 該當한다.

交通이 便利한 곳은 村落이 發達하기에 좋은 곳이다. 道路와 道路가 만나거나, 道路와 河川이 만나는 곳 等地에는 村落이 形成된다. 特히, 나루터는 交通의 重要한 據點이 되어 村落이 發達한다. 英國의 케임브리지나 옥스퍼드度 나루터에서 發達한 村落으로 오늘날 都市로 成長하였다. 過去에 우리나라의 碧瀾渡, 鷺梁津, 麻布 等도 이에 該當된다. 이 外에도 驛院制가 施行되던 時期에 形成된 驛院 村落 또한 交通路上의 據點과 關聯된 村落이다.

豐富한 資源이 開發되는 곳에는 鑛山 村落이 形成되고, 溫泉과 같이 觀光 休養 機能이 發達한 地域에는 觀光 村落이 發達한다. 宗敎的 信念이 같은 사람들이 모인 곳이나 宗敎의 發生地에는 宗敎 村落이 形成되는데, 큰 寺刹 周邊의 寺下村, 鷄龍山의 新圖案, 慶尙北道 풍기읍의 鄭鑑錄村이 그 例이다. [2]

形態 [ 編輯 ]

村落은 位置, 家屋 構造, 形態 等에서 地域마다 獨特한 景觀을 나타낸다. 自然的으로 發生한 村落은 家屋의 密集 程度에 따라 集村과 山村으로 나뉜다.

集村은 家屋의 密集度가 높은 村落으로, 家屋이 密集한 形態에 따라 塊村, 노촌, 環村 等으로 區分한다. 塊村은 家屋과 農耕地, 道路 等이 不規則하게 얽혀 있는 形態의 村落이다. 이러한 村落은 오랜 時間에 걸쳐 自然 發生的으로 形成되었다. 人間이 오래前부터 居住한 地域에서는 이와 같은 塊村이 나타난다. 우리나라에는 우물이나 샘물을 中心으로 山麓을 따라 形成된 塊村이 많다. 노촌은 道路를 따라 家屋이 늘어서 있는 形態의 村落이다. 塊村에 비해 家屋이 훨씬 規則的으로 配列되어 있다. 한便, 獨逸이나 폴란드 等에서는 家畜을 飼育하기 爲해 가운데에 牧草地를 두고 그 둘레에 農家를 圓形으로 配列한 環村이 나타나기도 한다.

山村은 分散 村落이라고도 하는데, 하나의 農家가 이웃 農家와 멀리 떨어져 있는 形態의 村落이다. 美國의 大平原 地帶에 나타나는 獨立 農家, 南美의 大農場 地域, 獨逸 北西部의 베스트팔렌이나 슈바르츠발트의 開拓 地域 等에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耕地가 狹小한 講院의 山間 地方, 새로 開拓된 西海岸의 干拓地와 火田 耕作이 이루어졌던 地域에 山村이 發達하였다. 山村이 形成되는 原因은 地形的 特性, 물을 얻는 方式, 農耕地의 經營 方式이나 民族性 等 地域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特히, 土地 利用이 粗放的인 地域이나 새로운 開拓地 等에서는 山村이 나타나는 境遇가 많다. 또, 農地에 對한 接近性을 重要視하는 果樹園 地域에서도 잘 나타난다. [3]

分類 [ 編輯 ]

村落은 機能에 따라 그 特性과 景觀이 다르게 나타난다. 村落은 農業을 基盤으로 하는 農村, 山地에 位置하여 農業, 林業, 鑛業, 牧畜業 等의 다양한 生産 活動이 이루어지는 山地村, 漁業에 生活의 根據를 두고 있는 漁村으로 나눌 수 있다.

農村 [ 編輯 ]

農村은 가장 一般的인 村落의 形態로, 農業 活動이 이루어지는 곳이면 어디에서든 볼 수 있다. 農村 人口의 大部分은 農業을 主業으로 하므로 經濟 生活의 基盤을 土地에 依存하고 있다. 때문에 農村은 土地와의 關聯性이 매우 큰 便이다. 土地는 居住의 場所인 同時에 生産과 活動의 場所이다.

農村에서는 오랫동안 形成되어 온 住民들의 共同體 意識이 剛하게 남아 있고, 地域마다 獨特한 住居 形態와 慣習이 反映된 生活樣式이 나타난다. 그러나 最近에는 都市的 生活樣式이 導入되면서 農村에서도 都市的 景觀이 나타나고, 農村에 居住하면서도 都市 地域에 經濟 活動의 基盤을 두고 있는 住民이 늘어남에 따라 農村 地域이 變化하고 있다. [4]

山地村 [ 編輯 ]

山地는 平地에 비해 赦免의 傾斜가 急하고 경지가 좁기 때문에 農事를 짓기 어렵다.

一部 地域에서는 赦免에 階段式이나 등고선식 耕作을 하기도 하지만, 生産性은 낮은 便이다. 때문에 山地에서는 農業만으로는 食糧 自給이 不可能하여 林業과 牧畜業이 함께 發達하는 境遇가 많다.

경지가 좁은 山地村의 農家는 넓은 境地를 所有하기 어렵다. 土地의 支持力이 낮은 山地에 位置한 村落은 大槪 規模도 작고, 家屋이 여기저기 흩어져 山村을 이루는 境遇가 많다.

漁村 [ 編輯 ]

水産業을 生活의 根據로 하는 村落을 漁村이라고 한다. 漁業에 從事하는 住民들은 主로 바다에서 고기를 잡거나 기르는 일을 한다. 大部分의 漁村은 住居地 周邊에 境地가 있어 農業과 漁業을 함께하는 半農 半漁村을 이룬다.

海岸 地域은 平地가 좁기 때문에 漁村은 主로 港口 뒤에 位置한 背後 山地의 山麓 部分에 塊村의 形態로 立地하는 것이 一般的이다. 좁은 宅地에 지은 漁家는 農家에比해 家屋과 附屬 建物이 좁기 때문에 漁村은 農村에 비해 家屋의 密集度가 높은 便이다.

漁業과 關聯된 施設은 主로 港口를 中心으로 密集해 있다. 港口에는 防波堤와 燈臺가 있고, 漁船이 碇泊할 수 있는 施設이 있다. 이 外에도 造船所와 船舶 修理所, 水産物 商家, 冷凍·冷藏 施設, 商家, 飮食店, 宿泊 業所 等이 密集해 있다.

生活 모습 [ 編輯 ]

農村 에서는 벼農事나 밭農事를 主로 하고,이것을 農業이라 한다. 漁村 에서는 고기를 잡거나 미역·김·조개 等을 養殖하고 있으며, 이것을 漁業이라 한다. 山地村에서는 밭農事를 짓는 한便, 家畜을 기르거나 木材·藥草·山나물·버섯 等을 養殖하고 있으며, 山地村 에서는 밭農事를 짓는 한便, 家畜을 기르거나 木材 · 藥草 · 山나물 · 버섯 等을 生産하고, 大都市 附近에 있는 近郊村에서는 菜蔬 · 花草 · 과일 等을 生産한다. 이것을 林業이라 한다.

  1. 大韓 敎科書(週) 高等學校 社會 敎科書 '自然 環境과 人間 生活 - 海岸 地形과 人間 生活'
  2. 大韓 敎科書(週) 高等學校 社會 敎科書 '自然 環境과 人間 生活 - 海岸 地形과 人間 生活'
  3. 大韓 敎科書(週) 高等學校 社會 敎科書 '自然 環境과 人間 生活 - 海岸 地形과 人間 生活'
  4. 大韓 敎科書(週) 高等學校 社會 敎科書 '自然 環境과 人間 生活 - 海岸 地形과 人間 生活'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