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로키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체로키語
??? ??????
( IPA : [d??ala??i ?awonihis?di] )
使用 國家 美國
言語 人口 1520 ~ 2100名 (2018, 2019年) [1] [2]
文字 체로키 文字
로마字
言語 系統 이로쿼이語族
 남이로쿼이語派
   체로키語
公用語 및 標準
公用語로 쓰는 나라 체로키 自治國
言語 富豪
ISO 639-2 chr
ISO 639-3 chr 체로키語
글로톨路그 cher1273 [3]
체로키語의 알파벳

체로키語 ( ??? ?????? , Tsalagi Gawonihisdi)는 北아메리카 체로키族 이 쓰는 言語이다. [4] [5] [6] 이로쿼이語族 에 屬하며 [1] 現在 消滅 危機 에 處해 있다. [7] 에스놀로그 에 따르면 2018年에 376,000名의 체로키族 가운데 체로키語를 할 줄 아는 사람은 1,520名뿐이었다고 하며, [1] 2019年 체로키族 3個 部族이 調査한 바에 따르면 많아야 2,100名만이 체로키語를 驅使한다고 한다. [2] 체로키語를 할 줄 아는 사람의 數는 繼續 줄고 있다. 流暢한 話者가 每달 8名 꼴로 죽고 있으며, 40歲 以下에서 체로키語를 流暢하게 하는 사람은 손에 꼽을 程度로 적다. [8] 유네스코 에 따르면 체로키語의 오클라호마 方言은 “분명한 消滅 危機”이고 노스캐롤라이나 方言은 “深刻한 消滅 危機”이다. [9] 過去에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조지아州 의 境界에서 쓰였던 低地帶 方言은 1900年頃에 消滅했다. [10] 남아 있는 두 方言의 未來도 危險에 處해 있으며, 이에 따라 3個 체로키 不足 協議會는 2019年 6月에 非常事態를 宣布하고 言語 再活 努力에 힘을 보탤 것을 要請했다. [2]

分類 [ 編輯 ]

체로키語는 이로쿼이語族 에 屬하며, 唯一하게 알려져 있는 남이로쿼이語派 言語이다. 言語學者들은 체로키族이 約 3千 年 前에 五大湖 地域으로부터 東南쪽으로 移住해 왔다고 推定한다. [ 出處 必要 ] 3千 年間 地理的으로 孤立되어 있었음에도 不拘하고 오늘날의 체로키語는 五大湖 地域에서 쓰이는 모호크어 , 오논多價어 , 세네카어 , 투스카로라어 等의 다른 이로쿼이語族 言語와 相當한 共通點을 지닌다.

토머스 와이트 等의 硏究者들은 이로쿼이語族의 元香 애팔래치아山脈 에 있었다고 提案한다. 와이트는 言語學科 分子生物學 硏究를 바탕으로 이로쿼이造語 話者들이 애팔래치아山脈의 南北 方向을 軸으로 하는 文化的·經濟的 交流에 參與했다고 主張한다. [ 出處 必要 ] 只今으로부터 約 4千 ~ 3千 年 前 고대 後記(Late Archaic)에 이로쿼이造語 話者들은 東部 森林 地帶에서 일어난 農業의 出現과 石器 技術의 發達, 社會 構造의 複雜性 出現으로 인해 예전보다 더 井州 生活을 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北이로쿼이語派와 남이로쿼이語派가 갈라지게 되었다. 그 뒤 數千 年 동안 東쪽과 北쪽으로부터 알곤킨語族 , 西쪽으로부터 手語族 言語를 使用하는 民族들이 체사피크 地域과 캐롤라이나 一部 地域으로 言語·宗敎·文化·技術을 가져오면서 이들 民族이 北이로쿼이語派와 남이로쿼이語派 사이를 갈라놓았다.

歷史 [ 編輯 ]

1820年 무렵 아칸소州 에서 시쿼야 라는 체로키族 사람이 체로키 말을 적기 위해 英語 알파벳을 본뜬 音節 文字를 새로 생각해 내어 체로키語 表記法이 생겨났다.

文字 [ 編輯 ]

체로키 文字를 만든 사람은 歲쿼野 이다. 文字 하나가 한 音節에 對應한다. 로마字 와 비슷한 글字도 있으나 소리는 全혀 다르다 (例를 들어 /a/에 該當하는 글字는 ?로, 模樣은 로마字 D와 비슷하다).

로마字로 옮겨적은 表記의 一部는 로마字의 代表소리값과 같지 않다. 체로키를 뜻하는 낱말인 Tsalagi는 로마字로 옮겨 쓰면 ts, l, g가 되는데 이는 實際로는 韓國語 ㅈ, ㄹ, ㄱ 에 더 가깝다.

實際 發音나는 모든 소리가 文字에 反映된 것은 아니다. /d/+모음 音節은 表에서 /t/+母音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標示된다. 하지만 /g/로 始作되는 音節은 /k/로 始作되는 音節과 區別하지 않고 같이 다룬다. 게다가 긴 母音과 짧은 母音을 區別하지 않고, 소리 높낮이도 標示되지 않으며, 子音에 일정한 規則이 없다.

그러나 文字를 잘 익힌 사람은 文脈에 따라 낱말을 區別할 수 있으며, 체로키文字는 料理法, 宗敎 知識, 傳說 等 傳統的 知識의 保存에 널리 쓰인다. 체로키文字는 체로키人 正體性의 重要한 要素이다.

체로키 유니코드 [ 編輯 ]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13A ? ? ? ? ? ? ? ? ? ? ? ? ? ? ? ?
13B ? ? ? ? ? ? ? ? ? ? ? ? ? ? ? ?
13C ? ? ? ? ? ? ? ? ? ? ? ? ? ? ? ?
13D ? ? ? ? ? ? ? ? ? ? ? ? ? ? ? ?
13E ? ? ? ? ? ? ? ? ? ? ? ? ? ? ? ?
13F ? ? ? ? ? ?     ? ? ? ? ? ?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AB7 ? ? ? ? ? ? ? ? ? ? ? ? ? ? ? ?
AB8 ? ? ? ? ? ? ? ? ? ? ? ? ? ? ? ?
AB9 ? ? ? ? ? ? ? ? ? ? ? ? ? ? ? ?
ABA ? ? ? ? ? ? ? ? ? ? ? ? ? ? ? ?
ABB ? ? ? ? ? ? ? ? ? ? ? ? ? ? ? ?

地理的 分布 [ 編輯 ]

2013年 제레미 울프(1924-2018)가 英語와 체로키語의 키套와 方言으로 말하는 動映像

체로키語는 몇몇 오클라호마 共同體와 [11] 노스캐롤라이나의 빅 코브(Big Cove)나 스노버드(Snowbird) 와 같은 共同體에서 主로 쓰인다. [12]

方言 [ 編輯 ]

유럽人과의 接觸 當時에 체로키語에는 低地帶(Lower), 中部(Middle), 高地帶(Overhill)의 3가지 主要 方言이 있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와 조지아州의 境界에서 쓰이던 低地帶 方言은 1900年쯤에 死滅했다. [10] 中部 方言(키套와 方言)은 콸라(Qualla)의 체로키 인디언 東部 集團이 使用하며 約 200名의 話者가 있다. [1] 高地帶 方言(西部 方言)은 오클라호마주 東部 및 노스캐롤라이나州 의 스노버드 共同體에서 쓰이며 [13] 約 1,300名의 話者가 있다. [1] 西部 方言은 가장 많이 쓰이는 方言으로서 체로키語의 主된 方言으로 여겨진다. [4] [14] 남아 있는 두 方言 모두 英語의 影響을 받았으며, 高地帶(西部) 方言은 스페인語의 影響도 조금 받았다. [14]

只今은 사라진 低地帶 方言은 流音 r을 지녔던 反面, 現代 키套와 方言과 高地帶 方言은 l을 지녔다. 聲調 를 발달시킨 것은 오클라호마 方言뿐이다. 低地帶 方言과 키套와 方言은 高地帶 方言의 tl 發音 代身 ts 發音을 지녔다. 例를 들어 ‘(밖이) 춥다’는 뜻의 낱말은 高地帶 方言으로는 ??? ( [uj??t??] 또는 [uj??tl?a] )이지만 키套와 方言으로는 ??? ( [uj??t?s?] )이다.

音韻論 [ 編輯 ]

子音 [ 編輯 ]

다음은 Scancarelli (1992 :136) 에 따른 체로키語 者音素의 目錄이다.

兩脣音 齒莖音 硬口蓋音 軟口蓋音 脣音化 軟口蓋音 聲門音
비음 m n
破裂音 t k k? ?
破擦音 重설음 t?s
舌側音 t??
摩擦音 s h
流音 l
半母音 j w
  • 破裂音 /t, k, k?/ 과 破擦音 /t?s, t??/ 은 語頭나 모음 사이에서 [d, g, g?, d?z, d??] 로 有聲音化된다. /h/ 앞에서는 [t?, k?, k??, t?s?] 로 有氣音化되지만, /t??/ 는 單純히 無聲 破擦音 [t??] 또는 一部 오클라호마 方言 話者의 境遇 [?] 로 발음된다. [15] [16] 많은 話者들은 無氣音과 有氣音이 別個의 音素라고 느끼며, 로마字 戰士나 체로키 文字 表記에서도 흔히 別個의 音素로 取扱된다.
  • /t?s/ 는 話者나 方言에 따라 [t?? ? t??] 로 發音되기도 한다. [17] [18]
  • /t??/ 는 大部分의 노스캐롤라이나 方言에서 /t?s/ 와 合流했다. [15]
  • [g] ( /k/ 의 儒城 變異音)은 [?] 로 弱化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g?] ( /k?/ 의 儒城 變異音)도 [?? ? w] 로 弱化될 수 있다. [19] [20]
  • 共鳴音 /n, l, j, w/ /h/ 앞이나 뒤에서 [n?, l???, j??c, w?????] 로 無聲音化되고, [21] 語末에서도 種種 無聲音化된다. [22]
  • /m/ 은 唯一한 兩脣音 音素이며 몇몇 單語에만 나타난다. /m/ 으로 始作하는 固有語 單語는 없고, /m/ 으로 끝나는 固有語 單語는 kham 하나뿐이다. /h/ 앞이나 뒤에 나타나는 境遇는 없다. 英語 借用語에 種種 쓰인다.
  • /m/ 을 除外한 兩脣音 音素가 없기 때문에, 英語나 스페인語에서 오래前에 들어온 借用語는 /f/ /hw/ 로, /b, p/ /k?, k??/ 로 받아들였다. [23]
  • 單母音 뒤의 /s/ 앞에는 恒常 弱한 [h] 소리가 끼어든다. 이 소리는 一般的으로 로마字 戰士에는 表記하지 않는다. [21] [24] [25]
  • 聲門音 /?/ , /h/ 및 詳述한 [h] 소리는 여러 聲門音 및 聲調 交替에 關與하며, 어떤 境遇에는 成造로 實現되기도 한다. 노스캐롤라이나 체로키語는 오클라호마 체로키語보다 /?/ 를 더 많이 保存하고 있으며, 이는 種種 오클라호마 체로키語의 低調에 對應한다. [26] [27]

母音 [ 編輯 ]

체로키語에는 5個의 口腔母音과 1個의 鼻母音 이 있고, 母音의 길이 를 區別한다. 母音體系에 鼻母音이 있는 것은 모든 이로쿼이語族 言語의 特徵이다. 체로키語에서 이 鼻母音의 音價는 [??] 이고 로마字로는 普通 ?v?로 表記한다.

傳說 中說 후설
高母音 i iː u uː
中母音 e eː ?? ??ː o oː
低母音 a aː
  • 語末 母音은 비음화된다. 그러나 語末 母音은 빨리 말할 때에는 省略되는 境遇가 많다. [28] 비음 뒤의 母音도 비음화된다. [29]
  • 單母音은 /h/ 앞에서 無聲音化된다. 그러나 여러 音韻論的 過程이 存在하는 탓에 이런 環境은 드물다. [28]

聲調 [ 編輯 ]

오클라호마 체로키語는 表面的으로 6個의 聲調를 區別한다. 2個는 高調와 低調의 評判聲調로, 單母音이나 長母音에 나타날 수 있다. 4個는 上昇組, 하강조, 低下强調(lowfall), 超高調(superhigh)의 屈曲性兆로, 長母音에만 나타난다. [30]

成鳥의 分析이나 表記에 關해서는 學界의 合意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大體로 學者들은 6個 聲調가 音素的으로 對立하는 것이 아니고, 基底에 드문드문 標示된 一種의 高低 악센트 로부터 여러 規則을 통해 導出되는 것이라고 본다. [31] [32]

다음은 主要 著述에서 使用한 聲調 表記法을 나타낸 것이다.

母音 길이 聲調 IPA Pulte & Feeling
(1975)
Scancarelli
(1986)
Montgomery-
Anderson
(2008,2015)
Feeling (2003),
Uchihara (2016)
單母音 低調(Low) ? a a a
高調(High) ? a a a
長母音 低調(Low) ? a: aa aa
高調(High) ? a: aa aa
上昇組(Rising) ?? a²³ ?: aa aa
하강조(Falling) ?? a³² a: aa aa
低下强調(Lowfall) ?? a¹ (= a²¹) ?: aa aa, aa
超高調(Superhigh) ?? a⁴ (= a³⁴) a?: aa aa?
  • 低調는 가장 흔하고 無標的인 聲調이다. [33]
  • 高調는 有標的인 聲調이고, 여러 規則에 따라 앞이나 뒤로 擴散될 수 있다.
  • 上昇組와 하강조는 低調와 高祖의 組合이다.
  • 低下强調와 超高調는 [34] 各各 低調 및 高調와 같은 音높이에서 始作해서 더욱 낮아지거나 더욱 높아진다. 超高調는 固有한 形態統辭論的 機能이 있어, 主로 形容詞나 府使, 또는 名詞에서 派生된 動詞에 나타난다. 超高調는 單語에서 가장 오른쪽에 있는 長母音에만 나타날 수 있다. [35] 超高調는 한 單語에 最大 하나밖에 나타날 수 없는데, 이는 다른 聲調에는 存在하지 않는 制約이다. 이런 特徵 때문에 一部 學者들은 超高條를 “ 强勢 ”라 부르기도 한다. [36]
  • 語末 母音은 一般的으로 聲調 面에서 無票이며, 自動的으로 高調를 받는다. 이때의 高調는 一般的인 高調보다 若干 더 높다. 語末 母音은 省略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새로운 母音이 語末에 놓이게 되면 그 母音의 聲調와 非音聲은 維持된다. [37]

音節 構造 [ 編輯 ]

가장 흔한 音節 構造는 CV이고, 一般的으로 基底에는 音節말 子音이 없다. 그러나 陰痿轉換과 母音 脫落, 또 빠르게 말할 때의 語末 母音 脫落으로 表面型에는 音節말 子音(軍)이 나타날 수 있다.

音節秒에는 다음과 같은 자음군이 올 수 있다.

  • 單一 子音
  • /h/ + 公明子音
  • /s/ + /t, th, k, kh, k?, k??, (l, t??, n)/
  • /t?s/ + 障礙音

音節말에는 /?, h/ 가 올 수 있지만, /h/ 는 單母音 뒤에만 올 수 있고 長母音 뒤에는 올 수 없다. [38]

音韻 規則 [ 編輯 ]

母音 脫落

低調 單母音은 다음 環境에서 탈락한다. 그 結果 脫落한 母音 앞의 無氣音(有聲音)과 母音 뒤의 /h/ 가 만나 有氣音(無聲音)李 된다. [39]

{t, k, j, w, ts, n, k?, l} _ h {破裂音(破擦音), 모음}

다음과 같은 單語에서 찾아볼 수 있다.

hwikhthi [w?ik?t?i]
wi-hi-kahthi
TRN - 2A -head.to PRC
“그가 말한다.” / “내가 말한다.”
/h/ 陰痿轉換

거의 같은 環境에서 일어난다. /h/ 뒤에 오는 音素가 公明子音 /w, y, n, l/ 일 境遇, 母音은 탈락하지 않고 /h/ 와 자리를 바꾼다. [39] 그러나 어떤 話者들은 이 規則을 適用하지 않는다. [40]

{t, k, j, w, ts, n, k?, l} _ h {w, y, n, l}

다음 두 單語 中 前者는 陰痿轉換이 일어나는 例이고, 後者는 그렇지 않은 例이다.

kha nooheha / hih nooheha
ka-hnooheha / hi-hnooheha
3A -tell. PRC / 2A -tell. PRC
“그가 말한다.” / “내가 말한다.”
人稱 接辭 喉頭音火

母音으로 始作하는 人稱 接辭가 주절 動詞의 맨 앞에 붙으면 低下强調를 받는다. 첫 母音이 單母音人 境遇 低下强調를 받기 위해 長音化된다. [41]

喉頭音 交替

/h/ 를 包含하는 語幹에 特定한 人稱 接辭가 붙으면 /h/ /?/ 로 交替된다. 이런 人稱 接辭로는 例를 들어 A型 1人稱 斷水 接頭辭 ji-/k-가 있다. [42]

aayvv h iha / jiyv ? iha
a-yvvhiha / ji-yvvhiha
3A -enter. PRC / 1A -enter. PRC
“그가 들어간다.” / “내가 들어간다.”

오클라호마 方言에서 /?/ 은 子音 앞에서 低下强調로 實現된다. 單, 母音이 元來 高調일 境遇는 하강조로 實現된다. 노스캐롤라이나 方言에서는 그렇지 않고 /?/ 가 維持된다.

오클라호마: jiineeka
노스캐롤라이나: ji?neeka
ji-hneeka
1A -answer. PRC
“내가 對答한다.”
선기식音

母音 脫落이나 陰痿轉換의 結果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 基底의 有機 破裂音은 그 앞에 /h/ 가 있는 것처럼 行動한다. 이 /h/ 는 音節 構造 制約을 만족시킬 수 없을 때에는 實現되지 않지만, 母音 脫落이나 陰痿轉換 等의 現象에 參與한다. 喉頭音 交替에 依해 有氣音이 無氣音 + /?/ 連鎖로 變하면 선기식音 /h/ 도 사라진다. 有機 破擦音은 선기식音을 갖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單, /t??h/ 는 例外이다. [43]

規則 適用 順序

只今가지 言及한 規則들은 일정한 順序에 따라 일어난다. [44]

  1. 喉頭音 交替
  2. 陰痿轉換, /h/ 에 依한 모음 脫落
  3. 人稱 接辭의 語末 母音 脫落 (母音으로 始作하는 語幹 앞에서)
  4. 超高調 割當
  5. 人稱 接辭 喉頭音火
  6. /h/ 의 音節火

다음은 이러한 順序에 따른 表面型 導出 過程을 나타낸 것이다. [45]

基底型 aa-kahthiiya ji-kahthiiya ka-hneeka ji-hneeka
1. 喉頭音 交替 (그대로) jika?thiiya (그대로) ji?neeka
2. 陰痿轉換/母音 脫落 aakhthiiya (그대로) khaneeka (그대로)
3. 低下强調 實現 (그대로) jikaathiiya (그대로) jiineeka
4. 人稱 接辭 喉頭音火 aakhthiiya (그대로) (그대로) (그대로)
表面型 aakhthiiya jikaathiiya khaneeka jiineeka
그가 그것을 기다린다 내가 그것을 기다린다 그가 말한다 내가 말한다

文法 [ 編輯 ]

체로키語의 語順은 流動的이며 情報의 새로운 程度, 논항의 限定性 유정성 等의 脈絡的 要因에 影響을 받는다. [46] 名詞句 內에서는 一般的으로 한정사, 楊花詞, 形容詞 等이 被修飾 名士보다 앞에 온다. [47] 目的語가 하나뿐이면 一般的으로 動詞보다 앞에 온다. [48] 체로키語는 前置詞가 아닌 後置詞 言語이다. 後置詞句 따위의 副詞的 成分은 普通 被修飾語보다 앞에 온다. [49]

체로키語의 절은 最小限 主語와 述語로 이뤄진다. 動詞, 形容詞, 名詞가 술어가 될 수 있다. 動詞에는 논항을 標示하는 人稱 接頭辭가 붙으며, 논항은 脈絡에서 類推 可能한 때에는 省略될 수 있으므로, 체로키語 文章은 動詞 하나만으로도 이뤄질 수 있다. [50] 文章에 3人稱 主語 名詞句와 3人稱 目的語 名詞句가 둘 다 있는 境遇, 一般的으로 主語가 目的語보다 앞에 온다. [51]

感歎詞 [ 編輯 ]

接語 [ 編輯 ]

人稱 接頭辭 [ 編輯 ]

체로키語의 動詞에는 반드시 논抗議 人稱을 나타내는 接頭辭가 하나 붙는다. 自動詞에 붙는 接頭辭는 主語의 人稱을 나타내고, 他動詞에 붙는 接頭辭는 主語 또는 目的語 또는 둘 모두의 人稱을 나타낸다. 이때 接頭辭로 標示되는 논항은 主로 他動詞가 나타내는 事件에 더 깊이 관여되어 있는 쪽, 卽 事件에 더 影響받는 쪽이다. 形容詞나 名詞에 人稱 接頭辭가 붙기도 한다. 체로키語는 1, 2, 3人稱의 歲 人稱을 區分한다. 1人稱과 2人稱 接頭辭는 斷水, 雙手, 復讐의 세 數를 區分하지만, 3人稱은 雙手와 複數의 區分이 없다. 또 1人稱 雙手와 復讐는 靑瓷의 包含 與否에 따라 包含1人稱과 排除1人稱으로 나뉜다. 체로키語의 人稱 範疇를 整理하면 다음과 같다.

斷水 雙手 復讐
包含1人稱 너와 나 너희와 나
排除1人稱 (없음) 그와 나 그들과 나
2人稱 너희 둘 너희
3人稱 그들

人稱 接頭辭는 A型, B型, 結合型, 目的語焦點兄의 4가지 系列이 있다. A와 B型은 1 ~ 2個의 논항을 나타내고, 結合型은 2個의 논항을 나타내며, 目的語焦點型은 目的語라는 1個의 논港灣 나타낸다.

어떤 動詞 語幹은 先行하는 人稱 接頭辭의 母音을 長母音化시킨다. 單, B型 3人稱 斷水 接頭辭 uu-는 이런 語幹에 붙으면 uwaa-로 바뀐다.

A型 接頭辭

먼저 目的語가 없거나 3人稱 無情物日 때 쓰이는 形態는 다음과 같다.

斷水 雙手 復讐
包含1人稱 ji-/k- iinii iitii-
排除1人稱 oostii- oojii-
2人稱 hi- stii- iijii-
3人稱 a-, ka- anii-

A型 接頭辭의 마지막 母音은 母音으로 始作하는 語幹 앞에서 탈락한다. 單, 1人稱 斷水 接頭辭는 子音 앞에서 ji-, 母音 앞에서 k-가 選擇된다.

3人稱 斷水는 a-, ka-가 豫測 不可能한 變異를 보인다. 한 가지 規則은 o, u, v로 始作하는 語幹 앞에선 반드시 ka-가 쓰인다는 것이다. (이때 a가 탈락해 k-가 된다.) a, e로 始作하는 語幹 앞에선 a-가 쓰이기도 하고 ka-가 쓰이기도 하는데, a-가 쓰이면 語幹의 첫 母音이 脫落된다. 그러나 語幹의 첫 母音이 高調이면 탈락하지 않고, 代身 a-가 탈락한다.

다음으로 目的語가 3人稱 油井물日 때 쓰이는 形態는 다음과 같다. 主語가 排除1人稱이나 3人稱일 때는 差異가 없다.

斷水 雙手 復讐
包含1人稱 jii-/jiiy- eenii eetii-
排除1人稱 oostii- oojii-
2人稱 hii-/hiiy- eestii- eejii-
3人稱 a-, ka- anii-

jii-, hii-는 子音으로 始作하는 語幹 앞에서, jiiy-, hiiy-는 母音으로 始作하는 語幹 앞에서 쓰인다.

油井물 目的語 形態의 接辭들은 語幹의 喉頭音 交替를 일으킨다. 또, A型 1人稱 斷水 接辭들度 모두 喉頭音 交替를 일으킨다.

iijahyvtheesko eejaayvtheesko
iijii-ahyvtheesk-o?i eejii-ahyvtheesk-o?i
2A.PL -kick. INC - HAB 2A.PL.AN -kick. INC - HAB
“너희가 그것을 찬다.” “너희가 그를 찬다.”

人稱 接頭辭의 母音을 長母音化시키는 語幹에 A型 惟政 接辭가 붙으면, 語幹 앞에 aa가 붙는다.

hiijalkiisko thiiyaajaakalv
hi-xxjalkiisk-o?i ti-hii-xxjaakal-vv?i
2A -rip. INC - HAB DST2 - 2A.AN -scratch. CMP - FIM
“네가 그것을 찢는다.” “그를 긁어라!”
B型 接頭辭
斷水 雙手 復讐
包含1人稱 aki-/akw- kinii iikii-
排除1人稱 ookinii- ookii-
2人稱 ja- stii- iijii-
3人稱 uu-, uw- uunii-

A兄처럼 B型 接頭辭의 마지막 母音은 母音으로 始作하는 語幹 앞에서 탈락한다. 單, 1人稱 斷水는 子音 앞에서 aki-, 母音 앞에서 akw-가 選擇된다. 또 3人稱 斷水는 e, o, u 앞에서 uw-가 選擇되고 그 밖에는 uu-가 選擇된다. (uu- 뒤에 v가 오면 uwa로 融合된다. a가 오면 a가 탈락한다.)

B型 接頭辭가 他動詞에 붙는 境遇 主語의 人稱과 3人稱 無情物 目的語를 나타낸다. 目的語가 3人稱 油井물人 境遇, B型이 아니라 A型 油井물 接頭辭를 使用해야 한다.

3人稱 複數 主語와 1/2人稱 目的語

主語가 3人稱 復讐이고 目的語가 1 또는 2人稱인 境遇, 目的語의 人稱과 數를 나타내는 接頭辭가 쓰인다. 이 形態는 B型 接頭辭 앞에 kee-를 붙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斷水 雙手 復讐
包含1人稱 kvvki-/kvvkw- keekinii keekii-
排除1人稱 kookinii- kookii-
2人稱 keeja- keestii- keejii-
非人稱 oo-

接辭 oo-는 특정한 사람에 關한 것이 아닌 一般的인 命題를 나타낼 때 쓰이는 非人稱 接辭이다. B型 接辭가 쓰일 수 있는 環境에서만 쓰인다. oo- 뒤에 v가 오면 owa로 融合된다.

結合型 接頭辭

結合型 接頭辭는 主語와 目的語가 모두 1/2人稱일 때 쓰인다. (이때 包含1人稱과 排除1人稱의 區分은 없고, 모두 排除1人稱으로 理解된다.) 빗금 앞에 있는 것이 子音 앞에서, 빗금 뒤에 있는 것이 母音 앞에서 쓰이는 이形態이다.

主語와 目的語가 斷水 主語와 目的語 中 하나가 雙手, 하나가 斷水 主語와 目的語 中 하나가 複數
2人稱 主語
1人稱 目的語
ski-/skw- iiskinii-/iiskin- iiskii-/iiskiiy-
1人稱 主語
2人稱 目的語
kvv-/kvvy- iistvv-/iistvvy- iijvv-/iijvvy-
目的語焦點型 接頭辭

目的語焦點型 接頭辭는 目的語의 人稱을 나타내며 主語를 明確하게 드러내지 않는 境遇에 쓰인다. 또 主語와 目的語가 모두 3人稱 油井물人 境遇에도 자주 쓰이는데, 이를 管掌하는 談話上의 要因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

斷水 雙手 復讐
包含1人稱 vvki-/vvkw- eekinii eekii-
排除1人稱 ookinii- oojii-
2人稱 eeja- eestii- eejii-
3人稱 aji-/ak- keejii-/keek-
喉頭音 交替

喉頭音 交替를 일으키는 接頭辭의 目錄은 話者마다 若干 差異가 있다. 1987 :71) 에 따른 目錄은 다음과 같다.

  • A型
    • 1人稱 斷水 ji-
  • A型 油井물
    • 1人稱 斷水 jii-
    • 2人稱 斷水 hii-
    • 1人稱 雙手 eenii-
    • 1人稱 復讐 eetii-
    • 排除1人稱 雙手 oostii-
    • 排除1人稱 復讐 oojii-
    • 2人稱 雙手 eestii-
    • 2人稱 復讐 eejii-
  • 結合型
    • 1>2人稱 斷水 kvv-
    • 1>2人稱 雙手 stvv-
    • 1>2人稱 復讐 iijvv-
    • 2>1人稱 斷水 ski-
  • 目的語焦點型
    • 3人稱 斷水 aji-
    • 3人稱 復讐 keeji-
    • 1人稱 雙手 eekini-
    • 1人稱 復讐 eeki-
    • 2人稱 雙手 eestii-
    • 2人稱 復讐 eeji-

單純 A型 接頭辭 中에는 ji-만이 喉頭音 交替를 일으키고, B型 接頭辭 中에는 喉頭音 交替를 일으키는 것이 없다.

凍死 [ 編輯 ]

動詞는 적어도 人稱 接頭辭와 語幹으로 이루어진다. 語幹은 5가지 主要 形態가 있으며 이로부터 모든 動詞 屈折型을 導出할 수 있다. (이 語幹을 다시 語根과 上 接尾辭로 分析할 수도 있지만, 이에 關한 規則과 例外 事項이 매우 複雜해서 語幹을 하나의 單位로 取扱하는 것이 더 實用的일 수 있다.) -steeliha ‘돕다’를 例로 들면 다음과 같다.

  1. 現在進行形(Present Continuous) -steeliha
  2. 未完了型(Incompletive) -steeliisk-
  3. 直面型(Immediate) -steela
  4. 完了型(Completive) -steelvvh-
  5. 名詞形(Deverbal Noun) -stehlt-

체로키語의 動詞는 A型 接辭와 B型 接辭 中 무엇을 取하느냐에 따라 A型과 B型 動詞로 나뉜다. 어느 動詞가 A型인지 B兄인지는 豫測 不可能하며 語彙部에 明示되어야 한다. A型 動詞는 1, 2, 3番 語幹에 A型 人稱 接頭辭가 붙고 4, 5番 語幹에 B型 人稱 接頭辭가 붙는다. B型 動詞는 모든 語幹에 B型 人稱 接頭辭가 붙는다. (但, B型 動詞도 目的語가 3人稱 油井물이면 A型 油井물 接頭辭가 붙는다.) 他動詞는 A兄이든 B兄이든 結合型이나 目的語焦點型 人稱 接頭辭度 取할 수 있다. 自動詞의 約 1/3 程度가 B型인데, 이들은 狀態, 姿勢, 身體 作用, 非自發的 行動을 나타내는 傾向이 있다. B型 他動詞는 行爲者가 아닌 經驗者 主語를 갖는 境遇가 많다. 다시 A型 動詞인 -steeliha의 3人稱 形態를 例로 들면 다음과 같다.

  1. 現在進行形 aasteeliha ‘그가 돕고 있다’
  2. 未完了型 aasteeliiskvv??i ‘그가 돕고 있었다’
  3. 直面型 aasteela ‘그가 (只今 막) 도왔다’
  4. 完了型 uusteelvvhvv??i ‘그가 도왔다’
  5. 名詞形 uustehlti ‘그가 돕기’

A型과 B型 接頭辭는 自動詞의 境遇 主語의 人稱을 나타내고, 他動詞의 境遇 主語의 人稱에 더해 目的語가 3人稱 無情物임을 나타낸다. 이때 目的語는 斷水로 假定되는데, 萬若 目的語가 3人稱 復讐 無情物이면 人稱 接頭辭 앞에 接頭辭 tee-가 붙는다.

語幹의 5가지 形態는 時祭 , , 書法 等의 意味를 나타낸다.

  1. 現在進行形: 現在時制 + 進行相
  2. 未完了型: 習慣上 / 過去時制 接尾辭들이나 絶對未來 接尾辭와 함께 쓰인 境遇, 進行 中이고 完了되지 않은 事件을 標示
  3. 直面型: 바로 直前의 過去 / 命令法 / 바로 直後의 未來
  4. 完了型: 過去 또는 未來에 일어난 事件
  5. 名詞形: 能力 / 義務 / 名詞 派生 / 名詞節의 凍死

未完了型, 完了型, 名詞形 語幹은 人稱 接頭辭뿐만 아니라 動詞말(末) 接尾辭를 取한다. 未完了型 語幹에는 4가지 動詞말 接尾辭가 붙을 수 있다.

  1. 習慣上 -o?i
  2. 經驗過去 -vv??i: 話者가 事件을 直接 目擊했다는 證據性 을 標示
  3. 非經驗過去 -e?i: 話者가 事件을 直接 目擊하지 않았음을 標示
  4. 絶對未來 -eesti: 行動主義 意志에 依해 未來에 벌어질 事件을 標示

完了型 語幹은 未完了型과 마찬가지로 經驗過去 -vv??i, 非經驗過去 -e?i, 絶對未來 -eest?i와 함께 쓰인다. 또 一般的인 命令法보다 더 먼 未來의 行動을 命令하는 未來命令法(Future Imperative) 接尾辭 -vv?i도 붙을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派生型을 만드는 데도 主로 完了型 語幹이 쓰인다.

直面型 語幹은 바로 直前의 過去를 나타낸다. 또한 命令法에서도 쓰인다. 命令法에서 動詞의 마지막 母音은 直前過去形에서보다 높은 聲調로 발음된다. 또한 人稱 接頭辭 앞에 붙는 非現實法(Irrealis) 接頭辭 yi-와 함께 쓰이면 아주 가까운 未來에 벌어질 事件을 나타낸다. 自然스러운 終了 地點이 없는(atelic) 動詞는 直面型이 없다. 이런 動詞의 例로는 -hyeha ‘손에 쥐다’, -aa?i ‘걷다’, -sv?v?ska ‘냄새나다’ 等이 있다.

名詞形 語幹의 主要한 機能 中 두 가지는 能力과 義務를 表現하는 것이다. 義務法은 名詞化 接尾辭 -i와 動詞의 마지막 長母音의 聲調를 超高調로 바꿈으로서 나타낸다. 能力法은 別個의 名詞化 接尾辭 -i/-ii?i로 나타내는데, 둘 中 첫 番째 變異形이 더 많이 쓰인다. 따라서 聲調를 除外하면 義務(‘~해야 한다’)와 能力(‘~할 수 있다’)은 거의 同一하게 表現된다.

分類凍死 [ 編輯 ]

分類動詞는 目的語의 種類에 따라 形態가 달라지는 動詞들이다. 체로키語의 分類動詞는 目的語를 생김새에 따라 固體(solid), 液體(liquid), 生物(living), 길쭉한 것(long), 柔軟한 것(flexible)의 다섯 種類로 區分한다. 이러한 動詞들은 여러 北美 原住民 言語에 나타나며 特히 애서배스카語族에 흔하다. ‘固體’ 分類는 가장 無標的인 分類로서, 나머지 分類에 잘 들어맞지 않는 對象은 모두 ‘固體’로 分類된다. 一般的으로 分類動詞의 여러 形態에는 明確히 分離 可能한 接辭 같은 要素가 나타나지 않으며, 이러한 形態들을 만들어내는 形態論的 過程은 오래 前에 非生産的이 되었기 때문에 따로 暗記해야 한다. 現在 체로키語에는 約 40個의 分類動詞가 남아 있고, 大部分 物體를 만지거나 다루거나 옮기는 것과 關聯된 意味이다.

目的語에 따른 ‘가지다’ 凍死 例示
分類 例文
固體 khalseeji aakiha 나는 沙糖을 가졌다.
液體 uukama aakineha 나는 수프를 가졌다.
生物 sookwili aakikhaha 나는 말[馬]을 가졌다.
길쭉한 것 kalookwe aakwvv?ya 나는 銃을 가졌다.
柔軟한 것 aasuulo aakina?a 나는 바지를 가졌다.

繫辭 [ 編輯 ]

체로키語는 無稽社(zero copula) 言語로, 現在時制에서 繫辭 가 必要없다. 그러나 다른 時祭나 賞을 表現할 때는 鷄舍가 必要하며, 主張을 强調할 때 現在時制에서도 鷄舍를 使用하기도 한다. 체로키語 癸巳의 形態는 -k-이며 3人稱으로만 쓰이는데, 체로키語에서 唯一하게 人稱 接辭가 붙지 않는 動詞이다. 現在進行形은 -ka, 未完了型은 -kees-, 直面型은 -ki, 完了型은 -keeh-이다. 名詞形은 없다.

凍死 接頭辭 [ 編輯 ]

人稱接頭辭 앞에 오는 接頭辭

이러한 接頭辭는 여러 個가 붙을 수 있지만 셋 以上이 붙는 境遇는 드물다. 여럿이 나타날 때의 順序는 話者마다 若干 差異가 있지만, 恒常 지켜지는 規則도 있다. 例를 들어 非現實 接頭辭 yi-와 關係化 接頭辭 ji-는 恒常 맨 앞에 오며 同時에 나타날 수 없다. 相當數의 接頭辭는 다른 接頭辭와 함께 나타날 때 形態를 바꾼다. 또한 뒤에 오는 人稱接頭辭의 形態에 影響을 주기도 한다.

  • 非現實 IRR yi-
  • 關係化 REL ji-
  • 不正命令 NGI jii-
  • 멀어짐(translocative) TRN wi-
  • 部分性(partitive) PRT ni-/ii-
  • 分配性(distributive) DST tee-/ti-
  • 유정 復讐 ANP kaa-
  • 가까워짐(cislocative) CIS ti-/ta-
  • 가까워지는 움직임(cislocative motion) CSM ta-
  • 未來 FUT ta-
  • 反復 ITR ii-/vv-
  • 否定時間(negative time) NGT kaa-
  • 가까워지라는 命令(cislocative imperative) CSI ee-
非現實 yi-

非現實 接頭辭는 아직 發生하지 않은 事件을 나타낸다. 가장 重要한 機能은 不正 表現으로, 이때는 不正 不變化詞 thla가 動詞 앞에 같이 나타난다. thla가 없는 境遇, 非現實 接頭辭가 붙은 動詞는 “~하면, ~할 때마다” 와 같은 條件의 意味를 갖는다. 이때는 凍死 맨 오른쪽의 長母音이 超高條를 받는다. 直面型 語幹에 yi-가 붙으면 可能의 意味를 나타낸다. yi-는 wi- TRN 앞에서는 yu-로 實現된다.

關係化 ji-

주된 機能은 動詞가 關係節을 이룸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 밖에 事件이 過去의 특정한 時點에 일어났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不正命令 jii-

否定命令文을 만든다. jii- 뒤에 오는 tee- DST 는 形態가 too-로 바뀐다.

멀어짐(translocative) wi-

話者로부터 멀어지는 動作이나, 話者로부터 먼 곳에서 벌어지는 事件을 나타낸다. 그 밖에 1人稱이나 3人稱 命令文을 나타내기도 하고, 주절의 事件에 時間的으로 앞선 事件을 나타내기도 한다. 形容詞에 붙으면 最上級을 나타낸다. 뒤따르는 人稱 接頭辭에 高調를 添加한다. wi- 뒤에 ITR ii-/vv-가 오면 wvv-로 합쳐진다.

部分性(partitive) ni-/ii-

다양한 機能을 지닌다. 完了된 事件을 나타내기도 하고, 現在까지 이어지는 특정한 時期에 事件이 벌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기도 하고, 거의 일어날 뻔한 事件을 나타내기도 한다. Pulte & Feeling (1975 :245) 에 依하면 “言及되는 사람이 話者의 옆쪽에 있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 밖에 ‘(일이) 일어나다’, ‘되다’, ‘말하다’, ‘~처럼 보이다’, ‘고치다’ 따위의 動詞에는 특별한 意味 없이 恒常 붙어서 나타난다. 否定 名詞化 接尾辭(negative deverbalizer) -v?v?na와 함께 쓰이면 “~夏至 않고, ~하지 않은 채” 또는 “~하기 前에”의 意味를 나타낸다. 過去에 實際로 일어난 事件에 對해 “~할 때마다”와 같이 말할 때는 非現實 yi-가 아니라 部分性 ni-/ii-가 쓰인다. ni-가 基本 形態이고, ii-는 名詞派生型 御間 및 派生型에서 쓰인다. 母音 앞에서는 사이에 y가 添加된다.

分配性(distributive) tee-/ti-

目的語가 復讐이거나, 動作이 여러 番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tee-는 子音 앞에서 나타나며, 뒤따르는 母音을 高調로 만든다. tee-가 i 앞에 오면 i가 탈락하고 tee-가 高調를 받는다. 그 밖의 母音 앞에서는 t-가 쓰인다. 한便 ti-는 名詞, 形容詞, 直面型 命令, 非現實 接辭가 붙은 動詞, 名詞派生型에서 쓰인다. ti-가 i 앞에 오면 i가 탈락하며, e, o, u 앞에 오면 ti- 代身 j-로 발음되고, a 앞에 오면 a가 탈락하고 i가 長音化된다. 未來時制 ta-, 反復 ii-, CIS ti- 앞에서는 too-가 된다. ‘가르치다’, ‘세다’, ‘뛰다’, ‘지치다’, ‘노래하다’ 따위의 凍死(主로 反復的인 行動을 나타냄)에는 恒常 붙어서 나타난다.

유정 復讐 kaa-

一部 話者들은 3人稱 惟政 複數 目的語를 表示하기 위해 kaa-를 使用한다. 그러나 오클라호마 체로키語에서는 보다 오래된 接頭辭인 kaa- 代身 유정과 무정 複數 目的語를 모두 分配性 接頭辭 tee-로 나타내는 일이 흔해지고 있다. 많은 話者들은 惟政 複數 目的語의 境遇 kaa-와 tee-를 混用한다.

가까워짐(cislocative) ti-/ta-

話者를 向하거나 話者에게 가까워지는 動作을 나타낸다. 뒤따르는 母音에 따라 分配性 接頭辭 ti-와 같은 方式으로 形態가 달라진다. 分配性 接頭辭와 形態는 비슷하지만, 같은 動詞에 두 接頭辭가 同時에 붙을 수 있다는 點에서 別個의 接辭임을 알 수 있고, 特히 이 境遇 分配性 接辭는 too-의 形態가 된다. Pulte & Feeling (1975 :253) 에 따르면 經驗過去 接尾辭 -vv??i가 붙은 凍死에서는 또다른 특수한 形態를 보인다고 한다. 이 境遇 e, o, u 앞에서는 tay-로 나타나고, 뒤에 a가 오면 tvv-로 합쳐진다.

가까워지는 움직임(cislocative motion) ta-

移動動詞에 붙어 話者에게 가까워지는 移動을 나타낸다. e, o, u 앞에서는 tay-가 되고, i 앞에서는 i가 탈락하고 a가 長音化되며, a 앞에서는 tvv-로 합쳐진다. Pulte & Feeling (1975 :251) 에 따르면 이 接辭는 習慣上, 非經驗過去, 意圖性(Intentional) 接尾辭와 함께 쓰이면 ti-로 實現된다.

未來 ta-

ta-는 移動(Motion) 接尾辭 -i가 붙은 完了型 語幹에 붙는다. 이 構成은 筋未來에 벌어질 事件을 나타낸다. e, o, u 앞에서는 tay-가 되고, i 앞에서는 i가 탈락하고 a가 長音化되며, a 앞에서는 tvv-로 합쳐진다. 絶對未來 接尾辭 -eesti와 다른 點은 絶對未來가 發話時 以後만을 가리킬 수 있는 데 비해 未來 接頭辭 ta-는 相對的 未來도 나타낼 수 있다는 點이다.

反復(iterative) ii-/aa-

動作의 反復을 나타낸다. 語幹과 語末接尾辭에 따라 ii- 또는 aa-의 形態가 選擇되는데, 正確한 條件은 話者와 方言에 따라 差異가 크다. Pulte & Feeling (1975 :254) 에 따르면 名詞形 御間, 移動動詞가 아닌 動詞의 現在進行形 御間, 經驗過去 接尾辭 -vv? ?i가 쓰인 境遇에는 vv-의 形態가 쓰인다고 한다.

否定時間(negative time) kaa-

基本的인 機能은 어떤 事件이 日程 期間 동안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 지 [얼마나 되었다]’의 뜻으로, 從屬節에 쓰여 主節을 修飾한다. 뒤따르는 a와 합쳐져 kvv-李 된다. B型 3人稱 接頭辭 uu- 와 합쳐지면 kvvwa-가 되고, i, e, o 앞에서는 kaay-가 된다. 다른 機能으로 B型 人稱接辭 및 名詞形 語幹과 함께 쓰여 動作을 遂行할 能力을 나타내는 것이 있다. 이때 마지막 長母音의 聲調는 超高條가 된다.

가까워지라는 命令(cislocative imperative) ee-

話者에게 가까워지는 移動을 나타낸다는 點에서 CSM 接頭辭와 비슷하지만, 命令에만 쓰인다. 分配性 接頭辭와 함께 쓰일 수 없으며, 分配性 接頭辭가 있는 狀況에서는 CIS 接頭辭로 代替된다.

人稱接頭辭 뒤에 오는 接頭辭
再鬼胎 RFL ataat-/ataa-/at-

他動詞에 붙어 主語와 目的語가 같음을 나타낸다. 語幹이 a 以外의 母音으로 始作하면 ataat-, 子音으로 始作하면 ataa-, a로 始作하면 at-가 된다. 再歸問議 主語가 復讐일 境遇 再鬼胎 接辭뿐 아니라 分配 接辭도 붙여야 한다.

iyvtaha uutaahnntatistohti
iyvtaha uu-ataat-xxnvhtati-stoht-i
sometimes 3B - RFL -remember (I)\MOD - CAU:DVN - NOM
“때로 그는 스스로를 상기시켜야 했다.”
中間태 ataa-/ali-/at-

亦是 他動詞에 붙어 結合가를 하나 줄이는 接辭이다. 主語가 意味的으로 行爲者의 性質과 被行爲者의 性質을 모두 지녔음을 나타낸다. 語幹이 母音으로 始作하면 at-, h로 始作하면 ali-, 그 밖의 子音으로 始作하면 ataa-가 된다.

結合가 轉換 [ 編輯 ]

체로키語는 自動詞, 他動詞, 二重他動詞를 區別하는데, 動詞의 結合價를 바꾸는 여러 種類의 派生 接辭 및 人稱 接辭가 있다.

適用태

適用태 接辭는 動詞에 새로운 目的語를 追加한다. 現在進行形 語幹에 붙으며, 다음의 다섯 가지 形態를 지닌다.

  1. 現在進行形: -eeha
  2. 未完了型: -eeh-
  3. 直面型: -si (命令) / -eeli (直前에 일어난 事件)
  4. 完了型: -eel-
  5. 名詞形: -eht-

凍死 一致에 있어서는 이렇게 새로 追加된 논港灣이 目的語로 取扱된다. 새로운 目的語의 意味役은 發火를 듣는 사람(addressee), 授與者(recipient), 受惠者(beneficiary), 被害者(maleficiary) 等이 있다. Dukes (1990 :96) 에 따르면 元來 動詞의 目的語가 1 또는 2人稱인 境遇 適用態로 바꿀 수 없다. 다음은 적容態를 통해 動詞의 結合價가 늘어나는 것을 보여주는 例文이다.

hakhthaastiiha skwakhtaastaneeha
hi-akahthaastiiha ski-akahtaastan-eeha
2A -wink. PRC 2>1 -wink. CMP - APL.PRC
“네가 윙크하고 있다.” “네가 나에게 윙크하고 있다.”
사동태

사동태 接尾辭는 事件을 誘發하는 對象을 나타내는 새로운 主語 논항을 追加한다. 다음의 다섯 가지 形態가 있다. 動詞 語根이 共鳴音으로 끝나는 境遇 s, 障礙音으로 끝나는 境遇 h로 始作하는 形態가 쓰인다.

  1. 現在進行形: -stiiha/-htiiha
  2. 未完了型: -stiisk-/htiisk-
  3. 直面型: -stan-/-htan-
  4. 完了型: -sta/-hta
  5. 名詞形: -stoht-/-htoht-

체로키語의 사동태 接尾辭는 自動詞 中에서도 主語가 被行爲者(undergoer)인 境遇에만 붙을 수 있다. [52]

目的語焦點

目的語焦點 人稱 接頭辭는 他動詞에 붙는데, 目的語의 人稱을 表示하고 主語가 省略된다는 點에서 結合가를 하나 줄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不特定 目的語 再鬼胎

再鬼胎 接頭辭가 他動詞에 붙으면 目的語를 省略하는 機能을 할 수 있다. 目的語가 알려지지 않았거나 重要하지 않을 때 쓰인다. 다음은 他動詞 ‘訪問하다’에 再鬼胎 接頭辭가 붙은 例文이다.

aakwahthvvhiito hataahwahthvvhiitooha
aki-ahthvvhiitoha hi-ataat-hwahthvvhiitooha
1B -visit. PRC 2A - RFL -visit. PRC
“그가 나를 訪問하고 있다.” “네가 訪問하고 있다.”
中間태

中間胎는 他動詞에 붙어 結合가를 하나 줄인다. 中間胎와 再鬼胎는 서로 비슷하지만 若干의 差異가 있는데, 再歸胎에서 主語는 보다 行爲者(agent)에 가까운 反面. 中間태에서는 보다 被行爲者(undergoer)에 가깝다.

aataatoohlvvska aatoohlvvska
a-ataat-oohlvvska a-ataa-oohlvvska
3A - RFL -make. PRC 3A - MDL -make. PRC
“그것이 스스로를 再生시키고 있다.” (도마뱀 따위가) “그것이 스스로 만들어지고 있다.” (크림 따위가)

各州 [ 編輯 ]

  1. “Cherokee: A Language of the United States” . 《 Ethnologue 》. SIL International . 2018 . 2019年 5月 16日에 確認함 .  
  2. McKie, Scott (2019年 6月 27日). “Tri-Council declares State of Emergency for Cherokee language” . 《Cherokee One Feather》. 2019年 6月 2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7月 2日에 確認함 .  
  3. Hammarstro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編輯. (2023). 〈Cherokee〉 . 《 Glottolog 4.8 》.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4. “The Cherokee Nation & its Language” (PDF) . 《University of Minnesota: Center for Advanced Research on Language Acquisition》. 2008 . 2020年 2月 20日에 確認함 .  
  5. “Keetoowah Cherokee is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UKB” (PDF) . 《keetoowahcherokee.org/》. Keetoowah Cherokee News: Official Publication of the United Keetoowah Band of Cherokee Indians in Oklahoma. April 2009. 2014年 7月 15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1日에 確認함 .  
  6. “Language & Culture” . 《keetoowahcherokee.org/》. United Keetoowah Band of Cherokee Indians. 2014年 4月 2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1日에 確認함 .  
  7. “Language Status” . 《 Ethnologue 》. SIL International . 2019 . 2019年 5月 30日에 確認함 .  
  8. Ridge, Betty (2019年 4月 11日). “Cherokees strive to save a dying language” . 《Tahlequah Daily Press》. 2019年 4月 1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5月 9日에 確認함 .  
  9.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 《www.unesco.org》 (英語) . 2017年 12月 17日에 確認함 .  
  10. Scancarelli, Janine; Hardy, Heather Kay (2005年 1月 1日). 《Native Languages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英語). U of Nebraska Press. ISBN   0803242352 .  
  11. “Cherokee: A Language of the United States” . 《 Ethnologue : Languages of the World》. SIL International . 2009. 2014年 7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5月 22日에 確認함 .  
  12. “Cherokee Language & Culture” . 《Indian Country Diaries》. pbs . 2014年 6月 1日에 確認함 .  
  13. Scancarelli, "Native Languages" p. 351
  14. Thompson, Irene (2013年 8月 6日). “Cherokee” . 《aboutworldlanguages.com》 . 2014年 5月 22日에 確認함 .  
  15. Uchihara (2016) , 41쪽.
  16. Montgomery-Anderson (2008 :39, 64) 여기서는 Foley (1980 :124) 를 따라 /t??/ [t?l] 로 實現되고 /t??h/ [t??] 로 實現된다고 본다.
  17. Uchihara (2015) , 40?41쪽.
  18. Montgomery-Anderson (2008) , 37?38쪽.
  19. Uchihara, 2016, p. 39.
  20. Scancarelli, 1987, p. 26.
  21. Uchihara (2016) , 42쪽.
  22. Montgomery-Anderson (2008) , 41쪽.
  23. Montgomery-Anderson (2008) , 62?63쪽.
  24. Montgomery-Anderson (2008) , 36쪽.
  25. Scancarelli (1987) , 25쪽.
  26. Uchihara (2016) , 102쪽.
  27. Montgomery-Anderson (2015) , 224쪽.
  28. Montgomery-Anderson (2008) , 45쪽.
  29. Munro (1996) , 48쪽.
  30. Montgomery-Anderson (2008) , 51쪽.
  31. Montgomery-Anderson (2008) , 109쪽.
  32. Lindsey (1987) , 1쪽.
  33. Montgomery-Anderson (2008) , 50쪽.
  34. Montgomery-Anderson (2008) 의 用語에 따르면 ‘highfall’이다.
  35. Montgomery-Anderson (2008) , 52쪽.
  36. Uchihara (2016) , 95쪽.
  37. Montgomery-Anderson (2008) , 58쪽.
  38. Montgomery-Anderson (2008) , 98?102쪽.
  39. Montgomery-Anderson (2008) , 65쪽.
  40. Montgomery-Anderson (2008) , 70쪽.
  41. Montgomery-Anderson (2008) , 81쪽.
  42. Montgomery-Anderson (2008) , 82-82쪽.
  43. Montgomery-Anderson (2008) , 82?91쪽.
  44. Montgomery-Anderson (2008) , 91?93쪽.
  45. Montgomery-Anderson (2008) , 84쪽.
  46. Montgomery-Anderson (2008) , 116?120쪽.
  47. Montgomery-Anderson (2008) , 120쪽.
  48. Montgomery-Anderson (2008) , 121쪽.
  49. Montgomery-Anderson (2008) , 123쪽.
  50. Montgomery-Anderson (2008) , 125쪽.
  51. Montgomery-Anderson (2008) , 126쪽.
  52. Montgomery-Anderson (2008) , 361쪽.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