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철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철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떼지어 날아가는 흰뺨기러기
철새의 移動 經路

철새 ( 文化語 : 季節鳥)는 季節 에 따라 棲息地를 移動하는 를 말한다. 韓國에서는 季節의 變化가 뚜렷해 다양한 철새를 四季節 모두 接해 볼 수 있다. 철새는 무리로 移動하는 境遇가 많다.

分類 [ 編輯 ]

  • 여름철새(Summer Visitor) - 겨울에는 亞熱帶地域에서 월동하다 봄에 韓國으로 와 繁殖한 後 가을에 南쪽 地域으로 다시 移住하는 새.
  • 겨울철새(Winter Visitor) - 여름에는 시베리아 滿洲 高緯度 에서 繁殖하다 겨울에 中緯度 地方으로 越冬하는 새. 겨울에는 低緯度의 따뜻한 地方에서 월동한다.
  • 通過철새(Passage Visitor, 나그네새) - 繁殖은 高緯度 地域에서 活動 및 越冬은 低緯度 地域에서 보내는 철새로 우리나라에서는 봄과 가을에 觀察할 수 있다.
  • 길잃은새(Vagrant) - 길을 잃고 元來의 移動 經路 및 棲息 地域에서 벗어난 새들을 意味한다. 미조(迷鳥)라고도 한다.

說明 [ 編輯 ]

一般的으로 철새는 먹이가 豐富한 場所와 時期에 새끼를 기르고, 따뜻하고 먹이가 豐富한 場所에서 越冬하는데, 이러한 事實은 鳥類과 의 進化過程에서 獲得한 適應 現象中 하나이다. 또 鳥類의 이동은 北半球를 基準으로 하여 몇 가지의 바다새를 除外하고는 逆方向으로서의 移動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남房(越冬池)에서 北方(繁殖地) 사이를 1年에 두 番 移動하는 셈이다. 물떼새類人 검은가슴물떼새 는 여름의 繁殖地인 시베리아 西部 等의 北極圈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까지 長距離 移動을 하고, 美國의 검은가슴물떼새는 알래스카의 툰드라 地帶에서 아르헨티나까지 13,000km의 距離를 旅行한다. 이와 같이 長距離를 移動하는 鳥類는 이 밖에도 몇 種類가 알려져 있다. 이에 反하여 휘파람새 같은 떠돌이새는 短距離를 移動한다.

나그네새 [ 編輯 ]

나그네새 ( 文化語 : 旅鳥(旅鳥))는 繁殖地에서 越冬池로 移動할 때 봄과 가을 2番을 걸쳐 한 地方을 지나가는 철새이다. 물떼새 流, 大部分의 도요과 새들은 韓國의 나그네새이다. [1]

철새의 種類 [ 編輯 ]

철새 代表 種
여름철새 제비 , 꾀꼬리 , 뻐꾸기 , 개개비 , 白鷺 流, 물銃새 , 湖畔새 , 靑湖畔새 , 흰눈썹黃金새 , 큰瑠璃새
겨울철새 두루미 , 재두루미 , 黑두루미 , 큰기러기 , 쇠기러기 , 고니 , 큰고니 , 혹고니 , 가창오리 , 靑머리오리 , 紅머리오리 , 고방오리 , 청둥오리 , 쇠오리 , 禿수리 , 물닭
通過철새 도요물떼새 류와 함께 罰매, 비둘기조롱이 , 노랑눈썹솔새 , 제비딱새 , 긴발톱할미새 , 붉은가슴밭종다리

各州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철새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

參考 資料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