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1次 라이베리아 內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第1次 라이베리아 內戰
라이베리아 內戰의 一部
날짜 1989年 12月 24日 ~ 1997年 8月 2日
場所
結果

NPFL 의 勝利

交戰國

라이베리아 라이베리아群
라이베리아 ULIMO
ECOWAS

유엔 UNOMIL (1993-1997)

라이베리아 NPFL
支援國
부르키나파소 부르키나파소
리비아 리비아


라이베리아 INPFL
指揮官

라이베리아 새뮤얼 케니언 도
라이베리아 알夏至 크로마
라이베리아 루스벨트 존슨

나이지리아 사니 아바차

라이베리아 찰스 테일러
라이베리아 프린스 존슨

라이베리아 벤저민 이튼
兵力
450,000 350,000
最小 400,000名 ~ 最大 620,000名에 達하는 民間人 死亡

第1次 라이베리아 內戰 (First Liberian Civil War)은 1989年 부터 1997年 까지 라이베리아 에서 일어난 內戰이다.

1980年 새뮤얼 케니언 도 쿠데타 를 통해 政權을 잡았다. 새뮤얼 케니언 도는 1985年 에 實施된 라이베리아 總選擧에서 勝利했지만 不正 選擧 疑惑을 받게 된다. 1989年 새뮤얼 케니언 道 政府에서 長官을 歷任했던 찰스 테일러 가 새뮤얼 케니언 道 政府에 反對하는 叛亂을 일으키면서 內戰이 일어나게 된다.

1990年 찰스 테일러를 支持하던 라이베리아 國民 愛國 戰線 所屬 兵士들이 라이베리아의 首都인 몬로비아 에서 새뮤얼 度를 處刑했다. 찰스 테일러가 이끄는 軍隊는 몬로비아를 掌握하게 된다. 1995年 부터 國際 社會의 介入을 통해 平和 協商이 始作되었고 1997年 에 平和 協定이 締結되었다.

찰스 테일러는 1997年 7月에 라이베리아의 大統領으로 選出되었지만 라이베리아의 平和는 오래 가지 못했고 1999年 第2次 라이베리아 內戰 이 勃發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