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鑑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鄭鑑錄 》(鄭鑑錄, 英語 : Jeonggamnok: Prophecies of Jeong Gam )은 朝鮮 中期 以後 民間에 널리 퍼진 豫言書 로 《 松下祕訣 》과 《 격암유록 》과 함께 朝鮮時代 3代 豫言書로 꼽히고 있다. 實存 與否를 알 수 없는 이심(李沁)과 情感(鄭鑑)의 對話 形式으로 되어 있다. 風水 思想 圖讖 信仰 이 합쳐져 이루어진 難解한 冊으로, 國家 運命과 生民 存亡(生民存亡)에 對한 判斷을 담고 있다.

開設 [ 編輯 ]

朝鮮의 宣祖(先祖)인 이심(李沁)이란 사람이 李氏의 大興子(大興者)가 될 鄭氏(鄭氏)의 祖上인 情感(鄭鑑)이란 사람과 金剛山(金剛山) 非露臺(飛蘆臺)에서 서로 問答(問答)을 記錄한 冊이라고 하며, 以後의 朝鮮의 興亡大勢(興亡大勢)를 秋收(推數)하여, 李氏의 漢陽(漢陽) 몇 百 年 다음에는 鄭氏의 鷄龍山 몇 百 年이 있고, 그 다음에는 조氏(趙氏)의 伽倻山 몇 百 年, 또 그 다음에는 汎씨(范氏)의 完山(完山) 몇 百 年과 王氏의 어디 몇 百 年 等等으로 繼承될 것을 論하고, 그 中間에 언제 무슨 災難과 어떠한 化變이 있어 世態民心이 어떠하리라는 것을 次例로 豫言하고 있다. 오늘날 世間에 통행되고 있는 《鄭鑑錄》은 李 良人(兩人)의 問答 外에 道詵(道詵)·武學(無學)·土亭(土亭)·格菴(格庵)·西山大師(西山大師)·書契(西溪) ·정북창(鄭北窓) ·두絲葱(杜師聰)等의 豫言書에서 拔萃한 것을 包含하고 있다.

그러나 情感·이심·良人이 實存人物이라 할 證據는 없으며, 文獻上으로는 1785年 (正祖 9)의 홍복영(洪福榮)의 獄事(獄事)에서 《鄭鑑錄》이란 冊에 對한 言及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 類似한 이야기로는, 宣祖(宣祖) 때 정여립 의 逆謀에 對한 說明에서 鄭氏가 鷄龍山에 都邑한다는 讒舌이 以前부터 떠돌았음이 言及되었다. [1] 人組(仁祖) 6年 1月 3日 ‘草溪潮入, 鷄龍建都。朝鮮皆着毛笠、毛衣’許維 逆謀事件을 鎭壓하여 關聯者를 國文하고 處罰하는 內容에서 ‘哨戒(草溪)에 潮水(潮水)가 들어오고 鷄龍(鷄龍)에 서울을 建立하는데 朝鮮 사람들이 모두 벙거지를 쓰고 털옷을 입는다.’는 《仁祖實錄》18卷, 6番째 記事가 있고,

以後 發生한 革命運動에 鄭氏와 鷄龍山이 言及되기도 하는데, 이는 未來國土(未來國土)의 希望的 表象이었다는 推測이 있다. 燕山君 以來의 國政의 紊亂과 壬辰·病者의 兩란(兩亂), 그리고 이에 따르는 黨爭의 틈바구니에서 朝鮮에 對한 民衆의 信賴心이 極度로 薄弱해지고, 將來에 對한 暗澹한 心情을 이기지 못할 즈음에 當時의 愛國者가 民衆에게 希望과 慰安을 주기 위하여 李氏가 결딴나도 다음에 鄭氏도 있고, 조氏·范氏·王氏도 있어서 우리 民族의 生命은 永遠토록 不滅할 것이라는 信念을 가지게 하려고 하였다는 것이다. [2]

鄭鑑錄 信仰과 3가지 豫言 [ 編輯 ]

鄭鑑錄 信仰의 骨子는 三絶運輸설(三絶運數說), 鷄龍山薦度說(鷄龍山遷都說), 精誠眞人出現說(鄭姓眞人出現說)로 要約할 수 있다. [3] 三絶運輸說이란 李氏王朝가 內憂外患에 依해 세 番이나 斷絶될 運數를 맞는다는 末世 運輸의 豫言 으로, 그 各各의 危機 때마다 그 對策을 밝힌 것이다. [3]

三絶運數란 大體로 첫째는 壬辰倭亂 을 뜻하고, 두番째는 丙子胡亂 , 세番째는 앞으로 반드시 일어날 宿命的인 國家 社會의 危機라는 것이다. [3] 丙子胡亂이 歲밑의 動亂이므로 戰爭 때문에 죽는 사람보다는 얼어죽는 사람이 많았다는 點에서, 집에 머물던 사람들이 오히려 火를 면했다는 事實과 關聯된다는 說이 있다. [3]

民衆들의 默示的 想像力 [ 編輯 ]

未來의 理想的 主權者(主權者)가 나올 知己(地氣)를 豫測하는 點에서 現在 秩序를 維持하려는 支配階級에게 暴力으로 눌려사는 民衆의 메시아 思想 卽, 世上을 救援할 存在의 降臨을 기다리는 終末論 敵人 信仰으로 解釋되기도 한다. 民衆들은 支配階級들의 暴力에 맞설 수 있는 能力이 없으면 새로운 時代가 올 것이라거나 救援者의 到來를 기다리는 宗敎的 想像力으로 克服하려고 하는데 [4] , 朝鮮의 民衆 들은 鄭鑑錄과 彌勒 信仰으로 支配階級의 無能과 暴力 을 克服하고자 했던 것이다. 實際로 朝鮮王朝 는 鄭鑑錄 信仰이 갖고 있는 現實變革的인 能力에 두려움을 느껴 鄭鑑錄을 所持하기만 해도 拘束할 程度로 無慈悲하게 彈壓하였다. [5]

意義 및 影響 [ 編輯 ]

鄭鑑錄에 暗示된 鷄龍山 (鷄龍山)의 新圖案(新都內)은 오늘날 新興宗敎에 깃든 대망(待望)思想과 結付되어 作用되고 있다. 그 內容은 信徒(新都)信仰·眞人(眞人)信仰·10承旨(十勝地)信仰 等이다.

鄭鑑錄은 ① 旣存體制 批判과 새時代 豫言의 典據(典據)로 내세워졌고, ② 被壓迫 民族의 末世的 救援信仰으로 發展하여 많은 新興宗敎의 淵源이 되었으며, ③ 災難이 있을 때마다 自己들과 關聯하여 安心立命(安心立命)의 祕訣로 삼았고 神도 遷都설이 流言蜚語로 나돌게 될 때가 있었으며, ④ 朝鮮 王朝를 批判하는 庶民 大衆의 素朴한 革命 宗敎로 發展하여 東學 革命 에까지 連結되었고, ⑤ 政治에 利用되기도 하였다. [6]

鄭鑑錄은 朝鮮의 滅亡을 豫言한 朝鮮 時代 禁書 (禁書)이다. [7]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連山縣鷄龍山開泰寺基, 乃他代鄭氏所都, 《宣祖實錄修正》 23卷, 22年 10月 1日 5番째記事
  2. 글로벌世界대백과사전
  3. “鄭鑑錄信仰 (鄭鑑錄信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韓國學中央硏究院 . 2024年 2月 4日에 確認함 .  
  4. 《人類의 永遠한 古典 新約聖書》/ 정승우 지음/아이세움
  5. 《우리歷史의 수수께끼》2卷/이덕일,이희근 같이 씀/김영사
  6. [커버스토리]大韓民國 代表 豫言書 ① 鄭鑑錄 , 《경향신문》, 2009.2.23.
  7. “2004 서울 國際圖書展 `禁書` 特別展” . KBS. 2004年 6月 5日 . 2023年 8月 5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