電鐘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電鐘 (全琮, 196年 ~ 247年 또는 198年 ~ 249年 )은 中國 後漢 말 ~ 三國 時代 吳나라 將軍 으로 는 雌黃(子璜)이며 洋酒 (揚州) 五軍 殿堂縣(錢塘縣) 사람 이다.

行跡 [ 編輯 ]

大帝 의 사위였다. [1]

아버지 專有(全柔)의 命令으로 쌀 數千 曲을 배에 싣고 物件과 바꾸러 五軍으로 갔는데, 전종은 吳君에 쌀을 흩어 뿌려 사람들을 救濟하고 빈 손으로 돌아왔다. [1] 專有는 憤怒했다. [1] 전종은 "바꾸려 한 物件은 緊要한 것이 아니지만, 士大夫들이 苦難에 닥쳤기에 미처 알리지 못하고 救濟했습니다" 라고 答했다. 專有는 이를 奇異하게 여겼다고 한다. [1]

注油 가 죽었을 때(210年), 旁通 注油 의 喪輿를 運柩하여 吳에 이르렀다가 돌아가는 길에 窓門(昌門)에서 肉的 · 告訴 ·전종을 만났다. [2] 旁通 은 이 세 사람을 評했는데, 前鐘에게는 가로되,“경은 베푸는 것을 좋아하고 名聲을 欽慕하니, 여남 의 番字素(樊子昭)와 비슷한 것이 있습니다. 비록 知力은 많지 않으나, 亦是 한 時代의 뛰어난 人物입니다.”. [2]

後에 孫權 이 分位敎委로 임명하여 産月을 討伐하도록 했고, 전종은 이를 利用하여 淨甁 1萬 名을 얻었다. [1] 昇進하여 편장군이 되었다. [1]

建安 24年(219年), 孫權 旅夢 과 함께 關羽 를 襲擊할 計劃을 세우고 있었는데, 前종이 上疏를 올려 關羽 를 討伐할 計策을 올렸다. [1] 孫權 은 祕密이 새어나갈 것을 꺼려 전종의 票를 받고도 對答하지 않았으나, 關羽 를 逮捕한 後 孫權 은 전종을 致賀하고 양화정後로 封했다. [1]

荒蕪 元年(222年), 위나라 에서 많은 水軍을 洞口로 내보냈다. [1] 孫權 女犯 을 大將으로 삼아 이를 막게 했다. [1] 兩軍은 서로 지켜보고 있었으며, 敵軍이 가끔 가벼운 배를 타고 襲擊해 오면, 전종은 恒常 甲옷을 입고 兵仗器를 쥐고, 敵의 動態를 살펴 쉬지 않았다. [1] 이윽고, 敵兵 數千 名이 江에 나타나자, 전종은 이를 擊破하고, 徐渻 과 함께 敵將 尹路를 追擊하여 梟首했다. [1] [3] 전종은 轉任되어 수남將軍이 되었고, 全當後로 昇進했다. [1] 桐 4年(225年), 不絶이 더해졌고, 口腔태수를 겸했다. [1]

동 7年(228年), 石亭 싸움에 座毒으로 3萬 軍士를 거느리고 參戰해 조휴 를 무찔렀다. [1] [4] 이때 丹陽 · · 會計 의 産月 百姓이 盜賊이 되어, 屬縣들을 攻擊해 陷沒시켰다. [1] 孫權 은 3軍의 險地를 나누어 동안軍을 세우고, 電鐘으로 태수를 삼았다. [1] [3] 전종은 이르러 賞罰을 밝히 하고 投降을 勸誘하여, 數 年 만에 1萬餘 사람을 얻었다. [1] 孫權 은 전종을 禹저로 歸還시키고, 동안軍을 없앴다. [1]

黃龍 元年(229年), 孫權은 동오 를 建國하고 帝位에 올랐다(대제). 전종은 위將軍 ·座護軍· 西周 으로 昇進했고, 公州( 손路盤 )를 아내로 맞이했다. [1]

佳話 2年(233年), 大帝가 親히 합비神聖을 침과 同時에, [3] 전종은 보기 5萬을 指揮하여 肉眼을 쳤으니, 肉眼의 百姓들이 모두 흩어져 달아났다. 祭場들은 이들을 사로잡고자 하였으나, 전종은 危險하다고 말했다. [1] 大帝와 電鐘 모두 이기지 못하고 돌아왔다. [3] 佳話 6年(237年) 겨울 10月, 전종은 肉眼을 쳤으나 이기지 못했다. [3] 이 해, 魏나라의 餘强軍 主婦 여습(呂習)李 吳나라에 大軍을 要請하고 自身은 性을 열어 내應하기로 했으므로, 주환 과 함께 이를 맞으러 갔다. [4] 그러나 中途에 일이 發覺되었고, 주환 의 活躍으로 退却할 수 있었다. [4]

적誤 4年(241年) 여름 4月, 大帝의 命令으로 回남을 공략하러 가 作피(芍陂, 淮南 地方에 있는 堤防의 이름)를 무너뜨리고 安城의 底角을 불태우고 그 곳의 百姓들을 거두어들였다. [3] 위의 정동將軍 王陵 과 作피 堤防을 두고 며칠 間 熾烈하게 싸웠으나, 마침내 前종이 져 中郞將 진황(秦晃) 等 10餘 將帥를 잃었다. [3] [5]

적誤 9年(246年), 전종은 禹大司馬, 座軍事로 昇進했다. [1]

전종은 사람됨이 恭遜하여, 顔色을 보아 意見을 바치는 것을 잘 했고, 言辭는 남을 거스르지 않았다. [1] 當初 大帝가 주애와 移住를 征伐하려 할 때 電鐘에게 意見을 물었다. 전종은 反對하였으나, 大帝는 듣지 않았고 出兵했으며, 1年 後 疾病으로 인해 兵士 中 8, 9割을 잃었다. [1]

大帝가 太子 손화 손牌 의 待遇를 同等하게 하여, 太子의 地位가 흔들리기 始作했다. 그러자 大臣들은 太子 손火를 支持하는 黨과 노왕 손敗를 支持하는 糖으로 나뉘었는데, 전종의 次男 電氣(全寄)는 손牌 의 黨이 되었다. [6] [7] [8] [9] 丞相 육손 은 이 때문에 電鐘에게 便紙를 보내 電氣를 庇護한 것을 警告했는데, 전종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육손 과 電鐘 사이에 틈이 벌어지게 되었다. [6] 또, 作피 戰鬪의 論功行賞에서 손화波로 電氣와 사이가 나쁜 高談 의 아우 高僧 장휴 와 함께, 전종의 맏아들 戰서 와 조카 傳單보다 높은 地位를 받았으므로, 電鐘과 電氣 父子는 이를 怨望하여 高談 · 高僧 · 장휴 를 誣告하여 敎主로 流配보냈다. [7] [10]

前從前에 따르면, 洞 12年(249年) [1] , 或은 오주展에 따르면, 洞 10年(247年) [3] , 전종은 52歲의 나이로 [11] 숨을 거두었다. 전종의 地位와 前종이 거느리던 兵士는 아들 轉役 이 이었다. [1]

親戚 關係 [ 編輯 ]

  • 專有(全柔) (아버지)
  • 孫權 (匠人)
    • 電鐘
      • 戰서 (全緖) (長男)
      • 電氣(全寄) (次男)
      • 轉役 (全?) (사자)
        • 前徽(全輝) (孫子, 全域의 兄의 아들)
        • 全義(全儀) (孫子, 全域의 兄의 아들)
        • 前衛(全?) (孫子, 全域의 兄의 아들)
        • 剪定(全靜) (孫子, 全域의 兄의 아들)
      • 前誤(全吳) (素子)
    • ?
      • 傳單(全端) (조카)
      • 前篇(全翩) (조카)
      • 全集(全緝) (조카)
    • ?
      • ?
        • 戰傷(全尙) (宗孫)
          • 電氣(全紀) (從曾孫)
          • 前婦人(全夫人) (從曾孫女, 會計王 羊의 皇后)
  • 前戱(全熙) (一族, 血緣 未詳)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진수 저,《三國志》五署 卷60 下전여주種리전
  2. 진수 저,《三國志》權37 蜀黍 放通法廷展
  3. 진수 저,《三國志》權47 五瑞 誤主戰
  4. 진수 저,《三國志》權57 週値主演여범주換錢
  5. 진수 저,《三國志》權28 王冠救濟葛藤終戰
  6. 진수 저,《三國志》五署 卷58 육손展
  7. 진수 저,《三國志》五署 卷52 長考第갈보전
  8. 진수 저,《三國志》五署 卷59 五洲5自轉
  9. 진수 저,《三國志》五署 卷61 반준六個展
  10. 危巢 저,《五署》(眞髓 저,《三國志》五署 卷52 長考諸葛保全에 배송지가 主席으로 引用했다.)
  11. 허숭(許嵩), 《健康實錄》(建康實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