電子 中性微子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電子 反中性微子 에서 넘어옴)

電子 中性微子
構成 基本粒子
統計 헤르微溫
世代 1世代
相互作用 重力, 弱力
狀態 發見
記號 Ve
反粒子 없음(마요라나)
理論 울프江 파울리
發見 클라이드 카원
質量 0.000003MeV
平均壽命 安定
崩壞幅 安定
崩壞 粒子 安定
殿下 0
大戰 半지름 0.000001am
電氣 雙極子 모멘트 0
電氣 極갈림율 0
磁氣 모멘트 0
自己 極갈림율 0
色殿下 없음
스핀 1/2
스핀 狀態 1
輕粒子수 1
重粒子數 0
奇妙도 0
맵시 0
Bottomness 0
Topness 0
아이소스핀 0
弱한 아이소스핀 0
Weak isospin projection 0
超電荷 0
弱한 超電荷 0
카이랄性 왼쪽
B L -1

電子 中性微子 ( 英語 : electron neutrino , 記號:
ν
e
)는 電氣 殿下 가 없는 輕粒子 로, 基本 아원자 粒子 이다. 電子 와 같이 1世代 를 이루기 때문에 電子 中性微子 라고 이름이 붙혀졌다. 電子 中性微子는 1930年에 볼프강 파울리 베타 崩壞 에서 사라진 運動量 사라진 에너지 에 根據해 假說을 세웠으며, 1956年에 클라이드 카원 프레더릭 라이너스 가 이끄는 팀이 發見했다 ( 카원-라이너스 中性微子 實驗 參考). [1]

提案 [ 編輯 ]

1900年代 初, 여러 理論들은 베타 崩壞 를 통해 나오는 前者는 特定 에너지로만 放出이 될 것이라고 豫測했다. 하지만, 1914年에 제임스 채드윅 은 電子가 連續的인 스펙트럼의 形態로 에너지를 띈 채 放出되는 것을 보였다. [1]


n 0

p +
+
e
베타 崩壞에 對한 草創期 생각

1930年에, 볼프강 파울리 는 感知되지 않은 어떤 粒子가 崩壞 前後의 에너지 運動量 , 그리고 角運動量 에서 差異를 만든다고 假說을 세웠다. [nb 1] [2]


n 0

p +
+
e
+
ν 0
e
베타 崩壞에 對한 파울리의 解釋

파울리의 便紙 [ 編輯 ]

1930年 12月 4日, 파울리는 취리히 聯邦 工科大學校 의 物理 硏究所에 連續的인 베타 崩壞 스펙트럼을 解決하기 위해 電子 中性微子를 考案했다는 便紙를 보냈다. 그 便紙는 다음과 같다: [1]

Dear radioactive ladies and gentlemen,

As the bearer of these lines [...] will explain more exactly, considering the 'false' statistics of N-14 and Li-6 nuclei, as well as the continuous β -spectrum, I have hit upon a desperate remedy to save the "exchange theorem" of statistics and the energy theorem. Namely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re could exist in the nuclei electrically neutral particles that I wish to call neutrons, [nb 2] which have spin 1/2 and obey the exclusion principle , and additionally differ from light quanta in that they do not travel with the velocity of light: The mass of the neutron must be of the same order of magnitude as the electron mass and, in any case, not larger than 0.01 proton mass. The continuous β -spectrum would then become understandable by the assumption that in β decay a neutron is emitted together with the electron, in such a way that the sum of the energies of neutron and electron is constant.

[...]

But I don't feel secure enough to publish anything about this idea, so I first turn confidently to you, dear radioactives, with a question as to the situation concerning experimental proof of such a neutron, if it has something like about 10 times the penetrating capacity of a γ ray .

I admit that my remedy may appear to have a small a priori probability because neutron, if they exist, would probably have long ago been seen. However, only those who wager can win, and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of the continuous β -spectrum can be made clear by the saying of my honored predecessor in office, Mr. Debye , [...] "One does best not to think about that at all, like the new taxes." [...] So, dear radioactives, put it to test and set it right. [...]

With many greetings to you, also to Mr. Back , your devoted servant,

W. Pauli

英語로 飜譯된 便紙의 全文은 1978年 7月子 Physics Today 에서 찾아볼 수 있다. [3]

發見 [ 編輯 ]

電子 中性微子는 1956年에 클라이드 카원 프레더릭 라이너스 에 依해 發見되었다. [1] [4]

名稱 [ 編輯 ]

元來 파울리는 自身이 考案한 粒子의 이름을 中性子 (neutron)라고 했었다. 제임스 채드윅 이 1932年에 더 무거운 核者를 發見해서 이름을 中性子 라고 붙이게 되어 두 粒子가 같은 이름이 되었다. 베타 崩壞 理論을 만든 엔리코 페르미 는 1934年에 混用을 막기 위해 中性微子 (neutrino)라는 用語를 使用했다(이 用語는 에도아르도 아말디 가 로마의 펜실베니아의 物理 硏究所에서 페르미와 한 對話 中에 이 가벼운 中性 粒子를 채드윅의 中性子와 區分하기 위해 장난式으로 考案했다). 이탈리아語 neutron 과 같은 neutrone 을 利用한 말장난이었다: 接尾語 -one 은 이탈리아語에서 擴大詞 가 될 수 있어서, neutrone 은 "크고 中性인 것"으로 解釋할 수 있다; -ino 는 擴大接尾辭를 指小辭 로 바꾼다. [5]

두 番째 中性微子의 豫測됨과 發見됨에 따라, 여러 種類의 中性微子들을 區分할 必要가 있어졌다. 파울리의 中性微子는 이제 電子 中性微子 로 부르고, 두 番째 中性微子는 뮤온 中性微子 라고 불린다.

電子 反中性微子 [ 編輯 ]

電子 中性微子에 對應하는 一部 性質이 크기가 같지만 符號가 反對 反粒子 는 電子 反中性微子 (
ν
e
)이다. 粒子 物理學에서 한 열린 質問에는 中性微子와 反中性微子가 마요라나 페르微溫 일 境遇에는 같은 粒子인지, 或은 디렉 페르微溫 일 境遇에는 다른 粒子인지에 對한 質問이 있다. 둘 다 베타 崩壞 와 다른 弱한 相互作用 에서 生成된다.

參考 [ 編輯 ]

  1. 닐스 보어 는 特히 베타 崩壞에 對한 이 解釋을 反對했고 에너지와 運動量, 角運動量이 保存되지 않는 性質이라는 것을 받아들일 準備도 되어 있었다.
  2. 名稱 參考.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The Reines-Cowan Experiments: Detecting the Poltergeist” (PDF) . 《 Los Alamos Science 25 : 3. 1997 . 2010年 2月 10日에 確認함 .  
  2. K. Riesselmann (2007). “Logbook: Neutrino Invention” . 《 Symmetry Magazine 4 (2). 2009年 5月 3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3. L.M. Brown (1978). “The idea of the neutrino”. 《 Physics Today 31 (9): 23. Bibcode : 1978PhT....31i..23B . doi : 10.1063/1.2995181 .  
  4. F. Reines; C.L. Cowan, Jr. (1956). “The Neutrino”. 《 Nature 178 (4531): 446. Bibcode : 1956Natur.178..446R . doi : 10.1038/178446a0 .  
  5. M.F. L'Annunziata (2007). 《Radioactivity》 . Elsevier . 100쪽. ISBN   978-0-444-52715-8 .  

더 알아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