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千軍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임千軍 (林川郡)은 只今의 忠淸南道 扶餘郡 南部 地域에 있었던 行政 區域이다. 1914年 扶餘郡에 統廢合되었다.

歷史 [ 編輯 ]

( 링크 ) 本來 백제의 가림군(加林郡)이었는데, 757年(景德王 16)가림(嘉林)으로 고치고 熊州(熊州)에 隸屬下였다. 995年(成宗 14) 임주자社(林州刺史)를 두었다가, 1018年(玄宗 9) 다시 가림현(嘉林縣)으로 고치고 縣令을 두었다. 1315年(忠肅王 2)元나라 平章事(平章事) 아패해(阿?海)의 妻 조氏(趙氏)의 故鄕이라 하여 지임主事(知林州事)로 昇格하였다.

1394年(太祖 3)明나라 朝廷으로 들어간 患者(宦者) 眞한龍(陳漢龍)의 請으로 部(府)로 昇格되었다. 1401年(太宗 1) 還元되었다가 1403年 다시 患者 胄胤서(朱允瑞)의 請으로 負로 되었다. 1413年임천으로 고쳐서 郡이 되었다. 1914年 行政區域 改編 때 扶餘郡으로 編入되어 임천면이 되었다.

林泉은 地形的으로 南쪽과 東쪽이 錦江 下流에 막혀 있고, 北쪽과 西쪽은 노고산(老姑山)에서 뻗은 山줄기가 막고 있어 예로부터 軍事的으로 重要視하던 곳이다. 鎭山인 性興産(聖興山)에는 백제의 東城王이 築成한 酸性이 있었다. 武寧王 때 加林城週가 叛亂을 일으켰다가 慘殺당한 적이 있다.

新羅 武烈王 때 附與를 攻擊하면서 이곳이 天惠의 要塞라 하여 攻擊을 避하고 먼저 附與를 陷落한 뒤 文武王 때 城을 占領하였다. 高麗 末期에 倭寇가 여러 番 이곳을 攻擊하였으며, 宣祖 때 이몽학(李夢鶴)李 叛亂을 일으켰을 때도 이곳을 據點으로 하였다.

林泉은 錦江 下流에 있었으므로 朝鮮時代에는 海倉(海倉)을 두어 이곳의 物産을 모아 西海로 보냈다. 또한, 이곳은 長岩眞(場巖津)ㆍ高다진(古多津)ㆍ낭청진(浪淸津)ㆍ청포진(菁浦津)ㆍ남당진(南塘津)ㆍ상지포진(上之浦津) 等의 많은 나루를 통하여 附與ㆍ石城ㆍ恩津ㆍ容顔ㆍ함열ㆍ閑散 等地와 連結되었다. 領有役(靈楡驛)을 통하여 홍산(鴻山)과 이어져 錦江 下流의 軍事 交通의 要地였다. 이곳의 모시는 寒山과 더불어 예로부터 有名하였다.

區域 大棗 [ 編輯 ]

舊韓末 1914年 現在
임千軍 童便面 (東邊面) 扶餘郡 임천면 扶餘郡 임천면 군사리, 구교리, 칠산리
임千軍 西邊면 (西邊面) 만사리, 발산리
임千軍 두曲面 (豆谷面) 두곡리
임千軍 지곡면 (紙谷面) 옥곡리, 탑산리, 비정리, 가신리
임千軍 城北面 (城北面) 점리 점리
임千軍 초동면 (草洞面) 扶餘郡 세도면 扶餘郡 세도면 청송리(靑龍), 間代理, 동사리
임千軍 세도면 (世道面) 청포리, 귀덕리
임千軍 仁義面 (仁義面) 장산리, 가회리
임千軍 신리面 (新里面) 청송리(上送·하송), 數고리
임千軍 백암면 (白岩面) 返照原理·화수리 返照原理, 화수리
임千軍 백암면 사랑리·山舍利 扶餘郡 장암면 사산리
임千軍 남산면 (南山面) 扶餘郡 장암면 장하리, 하황리, 상황리
임千軍 내동면 (內洞面) 정암리, 북고리
임千軍 北邊面 (北邊面) 합곡리, 원문리
임千軍 城北面 遲筋리·토산리 지토리
임千軍 朴曲面 (朴谷面) 점상리·九里谷里·지경리 점상리
임千軍 朴曲面 만지리·少年桐 扶餘郡 충화면 扶餘郡 충화면 만지리
임千軍 팔衝면 (八忠面) 지석리, 천당리, 팔충리, 복금리
임千軍 街畵面 (可化面) 현미리, 청남리, 오덕리, 가화리
임千軍 洪畵面 (洪化面) 扶餘郡 양화면 扶餘郡 양화면 송정리, 벽용리, 數原理
임千軍 上紙綿 (上芝面) 상촌리, 시음리
임千軍 대동면 (大洞面) 내성리, 암수리, 입포리
임千軍 적량면 (積良面) 족교리, 오량리, 초왕리

各州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