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면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人면조 (人面鳥)는 사람의 얼굴을 한 새로, 여러 神話에서 登場한다. 사람의 얼굴을 한 새[鳥]로 世界 各地의 神話에 登場하는 想像의 動物이다. 半은 사람, 半은 새의 모습인 半人半兆(半人半鳥)의 形象을 하고 있는데, 얼굴은 사람이고 몸은 새인 모습 또는 上半身은 사람이고 下半身은 새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人間 女性인 모습이 大部分이며 男性인 境遇도 있다.

人面條는 三國時代 古墳美術에 種種 登場하는 素材로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상서로운 새로 알려져 있다. 高句麗 의 境遇에는 安岳 3號墳, 덕흥리 古墳, 三室塚, 舞踊塚 等 여러 古墳 壁畫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 1976年 發見된 平安南道 남포시 덕흥리 古墳에 그려진 遷推(天秋)나 萬歲(萬歲)라는 이름의 人면조들은 千年, 或은 萬年을 산다고 알려진 長生을 象徵하는 상서로운 存在들이다. 新羅의 境遇에는 慶州 殖利銃 出土 금동식裡에 人面條가 나타나 있다. 백제에서는 百濟金銅大香爐에 모두 4마리의 人面條가 登場하며, 武寧王陵에서 出土된 銅鐸銀盞과 능산리 出土 금동대香爐 에도 人面條가 그려져 있다. 特히 銅鐸銀盞의 人面條는 高句麗의 遷推, 萬歲와 같이 長生을 象徵하는 瑞獸로서의 存在와 같은 것이라는 意見이 많지만, 한便으로는 날개 앞쪽으로 蓮꽃을 들고 있다는 點에서 佛敎의 迦陵頻伽라는 意見도 있다. 迦陵頻伽는 古代 印度 神話와 佛經에 登場하는 想像의 새로, 히말라야에서 태어난 不死鳥이자 부처의 말씀을 傳하는 새이다.

한便, 2018年 冬季 올림픽 開幕式 에 人面條가 登場해 全 世界人의 耳目을 끌었다. 人面弔意 생김새는 全世界的으로 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反應을 이끌어냈다. 무섭게 생기고 奇怪하게 생겼다는 否定的인 意見과 그들의 文化를 尊重해주고 神話 속 生命體를 처음 봐서 神奇하다는 肯定的인 意見이 있었다. [2]

東아시아 [ 編輯 ]

山海經 大黃北京篇에는 이런 말이 있다.

北海의 物價에 神이 있는데, 사람의 얼굴과 새의 몸을 하고 있고 兩쪽 귀에 푸른 뱀을 걸고 兩쪽 발로는 붉은 뱀을 밟고 있으며 이름은 雩岡 理라 한다.
大黃에는 北極千櫃라는 山이 있는데 바닷물이 北쪽에서 들어온다. 神이 있는데, 머리 아홉個에 사람의 얼굴과 새의 몸을 하고 있고 이름은 구봉 理라 한다.

北海之渚中,有神,人面鳥身,珥兩?蛇,踐兩赤蛇,名曰?彊。
大荒之中,有山名曰北極天櫃,海外北注焉。有神,九首人面鳥身,名曰九鳳。

또한 抱朴子 代贖篇에는 이런 말이 있다.

千歲(千歲)는 새고, 萬歲(萬歲)는 날짐승인데, 모두 사람의 얼굴이나 몸은 새이며, 壽命은 마치 그 이름과 같다.

千歲之鳥,萬歲之禽,皆人面而鳥身,壽亦如其名。

?  抱朴子 3卷 代贖(對俗)篇

千歲는 遷推(千秋)라고도 불리며, 薦椎와 萬歲는 高句麗 壁畫 等에도 드러나 있다. [3] [4] 韓國에서는 5世紀 以後의 高句麗와 백제의 古墳에서 人면조(人面鳥)의 形象을 나타낸 遺物이나 壁畫가 發見된다. 忠淸南道 公州의 武寧王陵에서 出土된 銅鐸銀盞(銅托銀盞)의 받침에는 中心部의 蓮꽃무늬 周圍로 人面條가 陰刻으로 새겨져 있다. 머리와 팔은 사람이고 몸은 새인데, 머리에 새의 깃털이 달린 花冠을 쓰고 있다. 高句麗의 古墳인 平安南道 代案(大安)의 덕흥리 壁畫무덤과 滿洲 輯安縣(集安縣)의 舞踊塚(舞踊塚)에서도 人面條가 그려진 壁畫가 發見된다. 特히 舞踊塚의 天障에 그려진 人面條는 神仙들이 즐겨 쓰던 긴 帽子를 쓰고 있어서 佛敎와 道敎 文化가 融合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5]

佛敎 [ 編輯 ]

佛敎 에서 칼라빈카 ( ??????? ) 또는 迦陵頻伽 (迦陵頻迦)는 極樂淨土에서 사는 不老不死의 人面條이다. 高句麗, 백제의 古墳에서 發見되는 人면조 文樣은 佛敎의 迦陵頻伽(迦陵頻迦)의 影響을 받아 淨土(淨土)로의 極樂往生(極樂往生)을 祈願하는 意味를 담고 있는 것으로 解釋된다. 산스크리트語 ‘칼라빈카(kalavinka)’를 漢字로 表記해 나타낸 迦陵頻伽는 《阿彌陀經(阿彌陀經)》에서 공명조(共命鳥)와 함께 極樂淨土에 사는 것으로 나오는 새이다. 이 새는 上半身은 사람, 下半身은 새의 모습이라고 하는데, 껍질을 깨고 나오기 前부터 매우 아름답고 妙한 소리를 낸다고 한다. 그래서 妙音鳥(妙音鳥)나 好聲鳥(好聲鳥)ㆍ日音調(逸音鳥)ㆍ昴星組(妙聲鳥)라고도 불리며, 부처의 가르침을 象徵하는 새로 여겨진다. 韓國뿐 아니라 中國, 日本 等 東아시아의 佛敎美術에서는 迦陵頻伽를 描寫한 遺物이 폭넓게 發見되는데, 둔황[敦煌]의 壁畫에는 춤추거나 音樂을 연주하고 있는 모습으로도 表現되어 있다.

한便, 佛敎의 迦陵頻伽는 印度 神話의 影響을 받아 나타난 것이다. 印度 神話에서 인드라 神을 섬기며 天界(天界)의 音樂을 연주하는 肝다르바[Gandharva, 佛敎의 乾闥婆(乾?婆)]는 上半身이 男性이며, 黃金 날개와 새나 말의 下半身을 한 모습으로 形象化된다. 타이 等의 東南아시아 佛敎에서는 乾闥婆와 함께 音樂을 擔當하는 薦新이며, 不法을 守護하는 8新人 天龍八部中(天龍八部衆)에 屬하는 緊那羅(緊那羅)가 上半身은 人間, 下半身은 새의 모습을 한 모습으로 描寫되기도 한다.

道敎 [ 編輯 ]

人面條는 中國의 傳統 神話나 道敎 文化에도 登場한다. 《山海經(山海經)》의 〈大黃北京(大荒北經)〉에는 北海(北海)와 大黃(大荒)에 各各 ‘雩岡(?彊)’과 ‘구봉(九鳳)’이라는 人面條가 산다고 記錄되어 있다. 모두 사람의 얼굴과 새의 몸을 하고 있는데, 禺强은 두 귀에 廳舍(?蛇)를 달고 두 발로는 敵社(赤蛇)를 밟고 있으며, 구봉은 머리가 아홉 個라고 한다. 그리고 4世紀에 葛洪(葛洪)이 쓴 《抱朴子(抱朴子)》의 〈代贖(對俗)〉 篇에는 ‘千歲(千歲)’와 ‘만세(萬歲)’라는 이름의 人面條가 登場한다. 이들도 사람의 얼굴에 새의 몸을 하고 있으며, 이름처럼 오래 산다고 記錄되어 있다. [6]

아랍 [ 編輯 ]

時務르그 ( ????? )는 이란 神話에 登場하는 巨大한 새인데,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다는 傳說도 있다.

유럽 [ 編輯 ]

유럽에서는 人面條를 不吉한 動物로 描寫한다.

그리스 神話에서 세이렌 은 女性의 얼굴에 禿수리의 몸을 가진 動物인데, 바다를 航海하는 배를 誘惑하여 沈沒시킨다고 傳해진다.

亦是 그리스 神話에 登場하는 下르피이아 는 半은 人間이고 半은 새인데, 人間을 잡아먹는다고 傳해진다.

人面條는 그리스ㆍ로마의 神話에도 登場한다. 호메로스 (Homeros)와 헤시오도스 (Hesiodos) 等의 記錄에는 ‘ 세이렌 (Siren)’이라는 이름의 人面條가 登場한다. 처음에는 머리만 人間이고 몸통은 새의 모습으로 그려졌지만, 漸次 上半身 全體가 樂器를 든 아름다운 女性의 모습으로 描寫되었다. 세이렌은 매우 달콤한 소리로 뱃사람을 誘惑해 그들이 탄 배를 沈沒시킨다고 여겨졌다. 베르길리우스 (Publius Vergilius Maro)의 《 아이네이스 》 等에는 ‘下르피이아(Harpy)’라는 이름의 人面條가 登場한다. 傳說에 따르면 下르피이아는 女子의 얼굴을 가진 새인데, 바람보다도 빠르게 날아다니면서 아이들과 人間의 靈魂을 잡아먹는다고 한다. [7]

參考 文獻 [ 編輯 ]

  1. “平昌 開幕式 ‘신스틸러’ 人면조…어디서 由來했나보니” . 《서울新聞》. 2018年 2月 10日 . 2018年 6月 24日에 確認함 .  
  2. 권지혜. ““實檢 1位” 人면조 만든 배일환 美術監督 인터뷰” . 《位키트리》 . 2018年 6月 24日에 確認함 .  
  3. “人면조, 高句麗 壁畫 속 모습은? ‘具現 잘 했다’” . 《韓國스포츠經濟》. 2018年 2月 9日 . 2018年 6月 24日에 確認함 .  
  4. 정재서 (2006). 《韓國 道敎 의 起源 과 歷史》 .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ISBN   9788973007127 .  
  5. “人면조, 信徒 妖怪도 아닌” . 2018年 2月 11日 . 2018年 6月 24日에 確認함 .  
  6. ' 人면조' 쇼크…"잊혔던 東아시아人의 오랜 꿈 " . 2018年 6月 24日에 確認함 .  
  7. 크리스천투데이 (2018年 2月 11日). “平昌올림픽 開會式, 그리고 歷史 속 ‘人면조’와 神話的 來世觀” . 《크리스천투데이 ChristianToday》 . 2018年 6月 24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