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人間論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人間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人間論 》( 英語 : On Man ) 或은 그의 聯作 哲學의 要素들 (Elementa philosophica, 1651-8)中 한 篇인 人間에 關하여 (De Homine, 1658)는 英國의 哲學者 토머스 홉스 의 哲學 著書로 그의 有名한 主著인 <리바이어던>과 함께 그의 哲學 體系를 代表하는 冊. 中世 유럽의 敎會 中心의 人間觀과 近代 市民社會의 人間觀으로 履行하는 過程 속에서, 홉스가 主張하는 人間觀은 機械論的 人間觀과 近代的 個人管을 代辯하고 있다. 이 冊은 人間의 精神 作用을 唯物論的 觀點에서 解釋할 수 있는 실마리를 提供해 준다.

紹介 [ 編輯 ]

홉스는 이 冊에서 人間의 精神 作用을 唯物論的 觀點에서 解釋할 수 있는 실마리를 先驅的으로 提示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思想 體系가 支配的이었던 中世 末期 유럽의 思潮는 近代 初期에도 影響을 미치고 있었고 身體의 死滅 以後에도 靈魂의 存在를 認定했다. 홉스의 人間 槪念은 유럽의 近代化 過程에서 나타난 科學的 自然觀에 基礎를 둔 機械論的 人間觀과, 自然權이라는 天賦的 權利를 갖는 平等한 近代的 個人管을 代辯한다. 卽 中世 유럽의 敎會 中心의 規範的·有機體的 人間觀에서 近代 市民社會의 世俗的·機械的 人間觀으로 履行하는 過程 속에서, 近代的 個人의 要素와 中世의 全體主義的 人間의 要素가 婚材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近代的 個人의 要素가 더 剛하다고 할 수 있다.

홉스는 人間을 自然體와 政治體 等 두 側面으로 區分해서 說明한다. 自然體로서 人間은 수많은 細胞들이 機械論的 因果法則에 따라 하나의 統一體를 이룬 것으로, 自己 保存과 欲望의 實現과 擴張을 그 目的으로 삼는 主體이고, 機械論的 因果法則에 따라 理解하고 說明할 수 있는 自然物의 一部다. 한便 政治體로서의 人間은 社會라는 人爲的 構成體를 構成하는 하나의 原子的 存在다. 이 政治體로서의 人間을 社會的 規範에 따라 個人의 固有한 權利와 社會的 責任의 主體로서 人格(persona)이라고 한다. 이때 人格은 自然 狀態에서는 安全하게 享有할 수 없는 權利를 國家라는 社會로부터 保障받는 同時에 責任을 隨伴하는 社會的 存在다. 人間은 相互 對立과 鬪爭이 本質인 自然 狀態의 不安을 벗어나 平和와 安寧을 追求하기 위해 國家라는 人爲的 社會 體制를 構成하고, 固有의 自然權을 安全하게 保存하기 위해 自然權의 一部를 國家라는 社會에 讓渡함으로써 人格의 地位를 얻는다.

近代 유럽을 支配했던 機械論的 自然觀의 모델을 벗어나지 않는 홉스의 人間 槪念은 自然物로서 理解되는 同時에 近代的 個人이라는 權利와 義務의 主體라는 意味가 剛하게 浮刻되고 있다. 홉스는 君主의 絶對的 權力도 平等한 個人의 自然權을 契約에 依해 委任받은 것이라고 함으로써, 그 權力의 基盤이 社會 構成員 個人의 自然權으로 構成되어 있음을 認定했다. 이런 點에서 그는 社會 體制에 一方的으로 隸屬되어 있었던 中世의 臣民 槪念과는 全혀 다른 近代的 人間 槪念의 原形을 先驅的으로 提示했다고 할 수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書誌 情報 [ 編輯 ]

  • 이준호 驛, 2009年, 知識乙만드는지식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ISBN   978-89-6406-227-2
본 文書에는 知識乙만드는지식 에서 CC-BY-SA 3.0 으로 配布한 冊 紹介글을 基礎로 作成된 內容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