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上元郡 (이세령)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上元郡 (이세령)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이세령 에서 넘어옴)

上元郡
祥原君
軍(君)
이름
이세령
李世寧
身上情報
出生日 1593年 12月 2日 ( 1593-12-02 )
出生地 朝鮮 平安道 義州 別邸
死亡日 1637年 2月 16日 ( 1637-02-16 ) (43歲)
死亡地 朝鮮 京畿道 江華有數部 强化酸性 南門(江華山城 南門) 에서 自決(焚身 自殺 殉國)
正當 無所屬
王朝 朝鮮 王朝
家門 朝鮮 王朝
父親 永川郡 李霆
母親 郡夫人 尙州 金氏
配偶者 郡夫人 問議 조氏
宗敎 儒敎 ( 性理學 )
웹사이트 大韓帝國 朝鮮 황조 全州 李氏 대동종약원

上元郡 이세령 (祥原君 李世寧, 1593年 12月 2日 ( 1593-12-02 ) 出生 ∼ 1637年 2月 16日 ( 1637-02-16 ) ( 陰曆 1月 22日 ) 殉國)은 朝鮮 王族 宗室이다. 字는 자안(子安)이다.

양원군( 成宗(이穴) 庶子 )의 曾孫(曾孫)이자 成宗(이穴) 의 孤孫(高孫)인 그는 1593年(宣祖 26) 12月 2日에 태어나 享年 45歲로 1637年(仁祖 15) 陰曆 正月 22日에 別世하였다. 그의 生母는 賢夫人 尙州金氏로 左議政 김귀영(金貴榮)의 딸이다. 이세령 功은 어려서부터 端嚴 嚴肅하고 寡默하여 經典自社(經傳子史)를 배우기 좋아하였고 널리 通達하고 밝게 理解하였다.

特히 그는 손수 論語(論語)를 써서 밤낮으로 讀誦하였다. 成年이 되어 冠禮를 치르고 上元帥를 祭需 받았다.

그가 靑年 時節인 朝鮮 光海君 때에 이이첨(李爾瞻)李 廢母論을 主唱하여 온 調整이 附和雷同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세령 功過 아우인 震源軍만이 오직 程度를 지켜 屈服하지 않았으며, 權力을 쥔 朝臣들의 뜻에 거슬려서 차라리 거의가 禍를 입는 水準에 이르렀다. 그러나 兄인 餘元貢, 中諦 樂園功過 議論을 하고 程度를 지키어 끝까지 屈服하지 않았다. 1636年(仁祖 14) 後金軍士들이 쳐들어오자 功過 震源軍은 인열왕후 混戰을 모시고 먼저 江華島로 들어갔으며, 漁家는 남한산성에 머물고 있을 때 강화진을 侵犯하자 危急함을 府中(府中)의 正佛供(鼎彿公)에게 알리고 하늘을 우러러보며 歎息하며 말했다. “나라일이 이地境에 이르렀으니 살아서 무엇하리오.” 母親이 말하기를 “나라를 위해 죽는 것은 臣下된 者의 職分이다. 하물며 王室의 至親임에 나도 여기서 죽겠다.”고 하였으며 功은 울면서 命을 받고 나아가 말하기를, “捕虜가 되어 恥辱을 當하느니 차라리 죽는 것이 어떻겠소.” 하며 性이 陷落되자 功은 甲옷을 벗어 從僕에게 주고 문충공(文忠公) 김상용(金尙容)과 더불어 南門壘에 올라가 불을 놓아 自分하였다. 母親과 倍位인 問議조氏가 同時에 殉節하니 孝宗大王이 瀋陽에서 돌아와 仁祖大王에게 아뢰어 말하였다. “上院君이 죽음으로써 節槪를 지킨 일은 神이 直接 目擊하였습니다.”라고 하며 情表와 恩典을 내릴 것을 아뢰었다. 그러나 유사가 慌忙하여 擧行치 못하고 다만 金氏 · 조氏를 烈女로 定하였다.

事後 [ 編輯 ]

1731年(英祖 7) 曾孫 채원(採遠)李 上疏하고 禮曹判書 신사철(申思喆)이 다시 아뢰어 承憲大夫 上元郡 兼 五衛都摠府 都摠管에 追贈되었다.

1788年(正祖 12) 共의 玄孫 瞑眩(命鉉)李 上疏하여 忠臣 衝熱工(忠烈公)으로 證示되었다.

남은 옷으로 의정부시 녹양동 선영 酉坐에 議官 禮裝하였다. 그 忠臣 · 旌閭門이 京畿道 파주시 교하면 야당리 341-1 上元郡 祠堂에 있으며 旌閭門의 글은 서유린(徐有隣)李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