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센스 (2004年 日本 映畫)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노센스
イノセンス
監督 오시이 마모루
脚本 오시이 마모루
製作 이시카와 미츠히社
스즈키 도시오
音樂 카와이 켄지
配給社 일본 도호
開封일 일본 2004年 3月 6日
대한민국 2004年 10月 8日
時間 100分
國家 일본
言語 일본
製作費 $20,000,000
興行收益 $9,789,651

이노센스 》는 오시이 마모루 監督이 1995年 製作한 <공각기동대> 以後 내놓은 續篇이다. 지난 1篇에서 情報의 바다 속으로 사라진 쿠사나기 모토코, 或은 少領의 뒤를 이어 바토와 吐驅使, 이시카와 等은 繼續 공각기동대 活動을 한다. 바토와 吐驅使는 어느 날 섹鉏로이드가 사람을 殺害한 事件을 調査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單純한 機體 缺陷이 아님을 깨닫고, 그 섹鉏로이드를 製造한 會社의 本社를 訪問하게 된다. 吐驅使가 建物 바깥에서 電腦戰을 통해 防護壁을 뚫으려고 試圖할 즈음, 바토는 建物 內로 잡입하지만 사람을 向해 달려드는 섹鉏로이드 무리에 맞서 싸운다. 數로 밀어붙이는 섹鉏로이드를 相對로 漸漸 銃알은 떨어져 가는데...

공각기동대 2篇 <이노센스>는 前作의 深奧하고 體系的인 世界觀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때는 2030年, 世界 3,4次 大戰이 日本을 휩쓸고 지나갔고, 어느 程度 回復이 된 狀況에서 '前腦'라는 劃期的 技術이 發明되게 된다. '前腦'는 人間의 腦 속에 있는 神經, 記憶을 데이터化시켜 機械化된 電腦 속에 집어넣고 이어 '靈魂'이라고 할 수 있는 '고스트'를 옮겨 人間을 네트워크化시키는 技術이다. 이 電腦化와 함께 發明된 醫體化, 卽 사이보그化는 人間을 네트워크와 機械文明의 一部分으로 糾合시킨다. 오시이 마모루 監督은 이 社會의 모습 속에서 '고스트'라는 媒介를 통해 人間과 로봇이 다른 것은 무엇인지, 人間의 本質은 무엇이며 生命體의 基準이란 무엇인지를 놀라울정도로 仔細히 描寫한다. 孔子, 밀턴 等 다양한 哲學者의 말을 引用함으로써 애니메이션의 깊이를 더하는 同時에 1990年代의 <공각기동대>와는 次元이 다른 極度의 實際的인 그래픽을 驅使해낸다. 이를 通해 <이노센스>는 애니메이션으로는 最初로 칸 映畫祭에 招請받기도 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作品性과는 別個의 問題로, 商業的 興行에는 그다지 成功을 거두지 못한다. 製作費가 1500萬 달러 以上 投入되었으나, 全 世界的으로 1200萬 달러 程度를 벌어들이는데 그쳤다. 그러나 日本 映畫界에 오시이 마모루의 立地를 다시 한番 다지는데는 成功하며, 監督은 本人의 스타일을 더욱 더 발전시키고 있다.

出演 [ 編輯 ]

主演 [ 編輯 ]

助演 [ 編輯 ]

기타 [ 編輯 ]

  • 라인프로듀서: 미츠모토 류지
  • 사운드디자인: 랜디 돔
  • 美術: 他네다 요헤이
  • 마케팅: 조은성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