隱語 (魚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隱語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衙門: 脊椎動物衙門
江: 경골어강
下降: 眞骨語下降
上木: 앨퉁이上木
목: 바다빙어目
과: 바다빙어科
속: 隱語속 ( Plecoglossus )
種: 隱語 ( P. altivelis )
學名
Plecoglossus altivelis
Temminck & Schlegel, 1846
保全狀態
未評價(NE): 아직 評價가 이루어진 바 없음

隱語 (銀魚, Plecoglossus altivelis )는 바다빙어目 에 屬하는 早期魚類 이다. 등쪽은 푸르지만 배쪽은 銀빛이 나 隱語라고 한다. 어릴때는 바다 에 살다가 봄에는 에 올라와 살며 가을에는 産卵을 위해 下流로 내려가 죽는다. 隱語는 7,8月에 많이 굶어 죽어 七八月 隱語 굶듯 이란 俗談이 생기기도 하였다. 먹이는 돌에 나는 이끼 이며 自身만의 空間을 만들어서 산다.

朝鮮 時代에는 도루묵 과 區分하기 위해 銀口魚 (銀口魚)라고도 했다.

分布 [ 編輯 ]

隱語는 東아시아 等地에 主로 分布한다. 류큐 列島 에 있는 隱語는 亞種으로 滅種危機에 處해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서는 平安南道 개천시 도화리의 淸川江隱語 를 天然記念物 405號로 指定하고 있다.

形態 [ 編輯 ]

몸은 길며 옆으로 납작하다. 주둥이는 뾰족하고 입을 매우 크다. 윗턱 앞部分에는 突起가 있다. 이빨은 빗살 模樣으로 나 있다. 옆줄은 뚜렷하다. [1]

文化 [ 編輯 ]

韓國語 에서 隱語는 때때로 도루묵 과 混同되어 使用되기도 한다. 그 由來와 語源에 對해서는 朝鮮 宣祖 時代 壬辰倭亂 과 關係가 있다고 하는데, 戰爭이 進行되면서 宣祖가 避難 生活을 하던 途中 배를 채우기 위해 臣下들에게 飮食을 請하도록 하였으나 臣下들은 飮食을 求하기 어려웠기에 바닷가에서 잡은 물고기를 구워 바쳤다. 宣祖는 그 生鮮을 먹고 맛이 너무 좋아 臣下들에게 그 生鮮의 이름을 물었다고 한다. 當時 領議政 이었던 류성룡 이 임금에게 '木魚' 或은 '墨'이라 부른다고 말했다. 宣祖는 그 이름이 生鮮의 맛과 어울리지 않는다 하였고 直接 '隱語'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고 한다. 그 以後로 이 生鮮을 '隱語'로 명명하여 부르게 되었다. 壬辰倭亂이 끝나고, 朝鮮은 다시 安定을 찾게 되었는데 宣祖는 避難 때 먹었던 銀魚의 맛이 그리워져 臣下들에게 銀魚를 待令할 것을 命하게 된다. 하지만 避難 當時 急造해낸 銀魚가 아닌, 宮中의 料理師가 더 좋은 材料와 方法으로 料理해 낸 銀魚를 宣祖에게 바치게 되었고, 물고기 料理가 先祖의 입에 들어가자마자 宣祖는 도로 뱉어냈다. 宣祖는 갑자기 맛이 없어지자(혹은 그前에 먹었던 맛이 아니게 되자) 生鮮에 '隱語'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 아깝다며 '도로 묵'이라고 하라는 名을 함께 내린다. '도로묵'은 後에 母音調和 를 통해 '도루묵'이라는 單語로 바뀌게 되었고, '墨'李 겪은 이야기와 비슷하게, 卽 "좋은 待遇나 그러한 狀態에 있다가, 다시 돌아가게 된 狀態"가 되었을 때 ' 말짱 도루묵 '이라는 말을 使用한다. 이 表現은 "熱心히 努力한 것이 모두 虛事가 되었을 때"에도 使用된다. 銀魚와 도루묵 에게서 한 가지 表現이 만들어진 것이다. [2] [3] [4] [5] [6]

料理 [ 編輯 ]

隱語는 민물고기 임에도 特有의 향긋한 香 때문에 香辛料 或은 飯饌 等 其他 여러 가지 料理 材料로서 使用되었으며, 여러가지 調理 方法이 存在한다. 韓國 料理 中에서 銀魚가 使用된 料理는 구이 料理나 燻製 隱語 뿐만 아니라, 隱語 튀김 , 隱語찜 , 隱語밥 이 存在한다.

系統 分類 [ 編輯 ]

2016年 베탕쿠르(Betancur) 等의 硏究에 依한 系統 分類는 다음과 같다. [7]

바다빙어目

레트로핀나과

바다빙어科

뱅어과

隱語과

各州 [ 編輯 ]

  1. 노세윤. 《민물고기 쉽게 찾기》.  
  2. 김도현. “도루묵” . 《韓國民俗大百科事典》. 韓國民俗大百科事典 . 2024年 4月 16日에 確認함 .  
  3. “[알쏭달쏭 우리말 사냥] 말짱 도루묵 - ‘隱語’가 道路 ‘墨’李 된 事緣” . 2024年 4月 16日에 確認함 .  
  4. “‘말짱 도루묵’ 人事聽聞會” . 2022年 8月 24日 . 2024年 4月 16日에 確認함 .  
  5. 濟州島民一步 (2014年 11月 16日). “도루묵 由來, 避難길 먹은 生鮮 맛없자 宣祖 임금 "도로 묵으로 불러라 " . 2024年 4月 16日에 確認함 .  
  6. “도루묵” . 2024年 4月 16日에 確認함 .  
  7. R. Betancur-R., E. Wiley, N. Bailly, A. Acero, M. Miya, G. Lecointre, G. Orti: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2016)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