윷놀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에서 넘어옴)

윷놀이
윷가락

윷놀이 (Yunnori or Yutnori)는 正月 初하루 부터 大보름 까지, 4個의 윷가락을 던지고 그 結果에 따라 말(馬)을 이동시켜 勝負를 겨루는 傳統놀이로, 나무로 윷을 만들어 여러 사람이 便 을 갈라 즐기는 놀이이다.

네 個의 斷面이 半달 模樣인 가락을 던져서 말을 움직여 노는 韓國의 民俗놀이 이며, 漢字語로는 '斥邪' 또는 '擲柶戱(擲柶戱)'라고 한다. 윷놀이는

  1. 두 名 以上의 參加者,
  2. 윷판,
  3. 하나 以上의 말(윷 판위를 돌아 다니는 標式子)로 構成된다.

놀이 方法은 윷판의 兩쪽에 各各 말 4個씩을 놓고 윷을 交代로 던져 決勝點(到着地點)을 4個 모두 먼저 통과시키는 便이 이긴다.

歷史 [ 編輯 ]

윷의 起源에 對해 星湖 利益 은 '高麗의 流速'이라 했고, 六堂 최남선 은 '朝鮮 特有 民俗'이라 했으며, 丹齋 신채호 는 ' 扶餘 '에 그 起源을 두었으며, 더불어 말하기를 附與의 四出道 傳統이 윷에 投影되었다고 했다. 卽, 低價(猪加)가 돼지를 뜻하는 '道'에, 區가(狗加)가 개를 뜻하는 '개'에, 右가(牛加)가 소를 뜻하는 '윷'에, 마가(馬加)가 말을 뜻하는 '某'에 反映된 것이고 걸은 疑問으로 남겨두었다. [1]

古朝鮮 의 政治制度였던 5街(五加: 마가, 牛加, 兩家, 구가, 低價)를 보면 量이 包含되어 있는데 漢字에 수놈의 量 結이라고 하고, 큰 量을 갈(?)이라고 하니 여기에서 걸이 나온것으로 보인다. [ 出處 必要 ] '돼지, 개, 羊, 소, 말'等의 動物들이, 大略 몸집 크기 巡이나 한걸음의 크기順이기도 하여 끗數와도 聯關지어진다. 夫餘의 官職 이름에도, 家畜이름에서 나왔으며 여섯 家畜에는 '陽'과 '駱駝'도 包含돼 있다.

와의 關聯性은 소의 方言으로 '슈, 슛, 슝, 즁, 中, 쇼' 等이 남은 것으로 보아, 이 윷과 소로 나뉘었다는 主張이 있으며, 參考로 北韓에서는 "똘·개·걸·中(슝)·母"라고 부른다.

놀이 器具 [ 編輯 ]

윷 가락 [ 編輯 ]

윷 가락은 各 參加者가 던지는 小品이다. 斷面이 半달 模樣인 네個의 가락(막대기) 또는 콩알 半쪽을 使用한다. 現代에 와서는 놀이 商品으로서의 윷은 나무막대기가 一般的이며 콩알을 파는 境遇는 흔치 않다. 가락 또는 알의 둥근 面을 '등'(또는 뒤)이라 부르고, 平平한 面을 '배'(또는 앞)라고 부른다. 等이 나온 結果를 '엎어졌다'라고 하고, 배가 나온 結果를 '까졌다'고 부른다.

윷은 '가락윷'이라고도 하는 '長斫윷'과 밤톨처럼 작은 '밤윷'의 두 種類가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市中에서 파는 것을 사서 즐기기도 한다. 長斫윷은 길이 15~20cm, 지름 3~5cm로 4짝을 높이 던지며, 밤윷은 밤톨처럼 작은 4짝의 윷을 조그만 空器에 담아 흔들다가 던진다.

윷 판 [ 編輯 ]

윷판

윷 판은 던져진 윷 가락의 結果를 利用해서 말을 놓는 小品으로 말이 머물수 있는 頂點과 이것들로 構成된 길이 標示되어 있다. 古代 巖刻畫 및 前例되는 文獻에 登場하는 윷판은 例外 없이 모두 둥그런 모습인데, 이는 하늘은 둥글다(天圓地方)는 古代人의 생각을 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정사각형 模樣은 後代로 傳해 내려오는 가운데 變形된 것으로 생각된다.).

윷판의 한가운데는 大槪 北極星 이라고 하며, 나머지 28個 자리는 東洋의 主된 별자리인 28修 또는 北極星을 中心으로 돌아가는 北斗七星 (사계에 따른 일곱별의 位置 變化)이라고도 한다. (北極星을 中心으로 北斗七星과 카시오페아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데, 一部 巖刻畫에서는 카시오페아와 對稱되는 北斗七星 자리에 윷판이 그려져 있는 것이 發見되었다. [2] ) 또한, 中國 初寒時代에 項羽가 劉邦과의 最後의 決戰地인 同性에 쳤던 秦의 模樣이라고 하여 洞성진도라고도 하였다. [3] 正四角形의 윷판으로 說明하면 가로 세로 다섯個의 눈금의 正四角形과 그 안에 交叉하는 두 對角線의 模樣이며, 出發點은 正四角形의 한 꼭짓點이다.

[ 編輯 ]

말은 윷판 (또는 말판)에 標示되는 參加者의 位置限 狀態를 가리키는 小品이며, 한 參加者當(또는 篇)에 넉 桐(4個)씩 주어지는 것이 一般的이다. 말은 傳統的으로 나무를 깎아 만든 둥근 或은 角진 토막이나 또는 작은 돌 따위를 使用하였으나 現代에 와서는 銅錢이나 바둑알等 參加者(또는 便)을 나타낼 수 있는 작은 小品을 使用한다. 말은 던져진 윷의 結果에 따라서 윷셈과 말길을 따라 移動하게 된다. 말을 쓰는 것을 일러 "말코"를 쓴다고 하는데, "道"에서 始作(첫 발)해 한 바퀴를 돌아 "참먹이"로 돌아오는 것(이것을 "났다" 또는 "펐다"라고 부른다.) 이 놀이의 目的이다. 單, 重要한 것은 말이 참먹이를 通過해야 나는 것이며 참먹이에서 멈추면 난 것이 아니다. 相對便 말이 참먹이에서 멈췄다면 참먹이에서 잡을 수 있다.

놀이 規則 [ 編輯 ]

參加者가 여럿일 境遇 팀(무리)를 만들어 놀이를 進行할 수도 있다. 參加者는 次例로 윷을 던지고 윷셈 規則과 말길 規則에 따라서 말을 윷판에 놓게 된다. 이때 말을 쓰는 境遇의 數가 複數個가 存在하는 境遇, 參加者는 그中에 (最善의) 하나를 擇하게 된다. 모든 말이 먼저 始作點으로 돌아와 나오는 參加者가 놀이의 勝者가 된다.

윷셈 [ 編輯 ]

윷의 셈은 윷가락 中 平平한 面을 앞面 (또는 배) 이라고 하는데 이 앞面이 위로 向한 윷가락의 個數에 따라서 다섯 가지 或은 여섯 가지로 다음의 表와 같이 나뉜다. 그림에서 'x'面이 等(뒷)면, 그렇지 않은 面이 倍(앞)面을 票

하고 있다.

이름 狀態 說明
앞뒤뒤뒤 앞이 하나인 境遇 말을 한 칸 전진시킨다.
앞앞뒤뒤 앞이 둘인 境遇 말을 두 칸 전진시킨다.
앞앞앞뒤 앞이 셋인 境遇 말을 세 칸 전진시킨다.
앞앞앞앞 모두 앞面인 境遇 말을 네 칸 전진시키며, 윷을 다시 한 番 던질 수 있다.
뒤뒤뒤뒤 모두 뒷面인 境遇 말을 다섯 칸 전진시키며, 윷을 다시 한 番 던질 수 있다.
뒷도 또는 百度(빽도) 또는 後도 앞뒤뒤뒤 앞이 하나이나 '뒤'가 標示되어 있는 것인 境遇 말을 한 칸 後退(뒤로 보냄)시킨다. 左側 그림에서 點이 찍힌 앞面이 뒷도가 標示된 윷 가락을 나타내는 例이다.

(그러나 꼭 '點'을 뒷도로 使用할 必要는 없다.)

윷가락 中 하나 以上이 멍석을 나갈 境遇 그대로 次例가 넘어간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서는 2006年 金正日 의 指示에 따라 뒤라고 標示된 道를 두 個 만들어서 使用한다. 두個가 다 標示된 것이 나올 境遇 두 後도라고 한다. [4]

말길 [ 編輯 ]

말길
말길

윷판에서 말이 갈 수 있는 길은 모두 네 가지(單, "뒷도"를 認定하는 境遇 '道' 로 한 칸 나간 뒤, 뒷도로 單숨에 날밭으로 移動하는 最短 經路를 使用하는 規則도 適用 可能)가 있다. 나온 윷과 그리고 말을 쓰기에 따라서 빨리 말이 날 수 있는 길이 있는가 하면(모서리에서는 無條件 斜線으로 移動), 거북이 걸음으로 윷판을 한바퀴 돌아야 하는 길이 있다. 위의 그림에서 첫 番째 것은 가장 빠른 말길을 나타내고 있으며, 두 番째 그리고 세 番째 그림은 距離上 서로 같은 말길, 그리고 네 番째 그림은 가장 느린 말길을 나타내고 있다. 또, 말길은 季節에 비춰 첫 番째가 " 同志 ", 두·세 番째를 " 春分 / 秋分 ", 마지막 네 番째를 " 하지 "에 對한 表現으로 말하기도 한다.

한 番 더 던지기 [ 編輯 ]

윷은 參加者들 사이에 次例로 '한 番'씩 던지게 되나, 다음의 境遇 參加者는 윷을 한 番 더 던지는 機會를 갖는다. 한 番 더 또는 그 以上을 던져 나온 윷들은 모두 順序를 바꾸어 使用할 수 있다.

  • 윷이 나온 境遇
  • 모가 나온 境遇
  • 다른 參加者의 말을 잡은 境遇
    • 윷이나 모를 利用하여 다른 參加者의 行馬를 잡은 境遇에는 繼續해서 다시 던지기를 할 수 있다.

잡기와 업기 [ 編輯 ]

윷을 던져 移動할 때 該當 位置에 말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行動을 할 수 있다.

  • 自身(或은 我軍)의 말이 있다면 多數의 말을 업을 수 있다. 업게 된 말은 以後 移動에서 함께 움직이며 單, 잡히기 前에는 다시 分離할 수 없다.
  • 相對(或은 赤軍)의 말이 있다면 잡을 수 있다. 이때 相對의 잡힌 말은 主人의 손으로 돌아간다. 여러 말을 업고 있던 境遇 업은 말을 包含해 全部 돌아간다.
    • 말을 잡은 境遇 윷을 한番 더 던질 수 있다.

(윷이나 모로 잡은 境遇에도 던질 수 있다.)

    • 모가 나와 한番 더 던진 윷(윷과 某 除外)으로 말을 잡은 境遇는 다시 던지기가 可能하다.

뒷도에 따른 움직이기 [ 編輯 ]

윷中 特定 윷에 標示가 되어있는 윷의 앞部分이 보여 도가 나왔을 境遇 말을 한 칸 뒤로 물린다.

말판 위에 自身의 말이 하나도 없을 境遇 樂으로 處理되어 말을 놓지못하고 次例를 다음으로 넘기는 規則도 있고, 말이 없을 때 뒷도가 나왔을 境遇 날윶으로 가서 바로 날 수 있는 規則도 있다.

날밭으로 돌아가게 되는 境遇, 道를 한 뒤 뒷도가 나와 出發로 오게 된 말이 바로 날 수 있는지도 規則마다 다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날밭位置나 날윷으로 돌아가는 境遇 한바퀴를 돈 것으로 보았으나 現在는 탈락하는 것으로 본다.

特別 規則 [ 編輯 ]

칸에 퐁당(陷穽)을 追加하여 말이 죽게 되는 規則을 追加하기도 한다. [5] 모서리에 걸렸을 境遇 最短距離로 갈지 마음대로 할지 게임 始作 前 規則을 定한다.

놀이의 特徵 [ 編輯 ]

던지기 技術 存在 [ 編輯 ]

윷의 結果는 (뒷도를 除外하면) 모두 다섯 가지 (道, 개, 걸, 윷, 某) 境遇의 數가 存在하고 따라서 確率을 利用한 놀이로 볼 수 있다. 그러나 六面體 주사위 놀이와 比較하면, 윷 놀이는 윷을 던지는 方法에 따라서 不均一한 確率的 結果를 갖는다. 그 理由는 윷 가락의 斷面이 半달 模樣 卽 反元 이어서, 平平한 面(배)李 慰勞 되는 確率과 둥근面(등)李 慰勞 되는 確率이 윷을 던지는 方法에 따라서 다르다.

윷가락의 斷面이 半달 模樣인 關係로, 母와 度, 그리고 뒷도처럼 많은 數의 윷가락이 等(뒤)이 나오는 境遇를 위하여는, 윷가락이 구르는 形態의 던지는 技術이 必要하다. 反面에 걸과 윷처럼 大多數의 가락이 倍(앞)으로 놓여야 하는 境遇에는 윷가락이 바닥에서 구르지 않도록 윷을 던지는 技術이 바람직하다.

謀議 確率을 높이기 위해 윷가락을 너무 굴릴 境遇를 防止하기 爲해서 윷 投擲視 歎聲(튀는 性質)을 높이기 위해서 바닥에 지푸라기 멍석이나 두꺼운 카펫을 使用하는 것이 좋다. 뿐만 아니라 望石, 毯요, 카펫의 使用은 아파트 等地의 住居形態에서의 윷 投擲市에 나는 騷音 防止等에도 도움이 된다. 윷가락을 굴렸을 境遇의 利點을 없애기 위해서, 윷 가락이 望石(毯요, 카펫) 밖을 나가면 그 結果를 셈하지 않는 方法等이 應用되기도 한다.

戰略的 選擇이 必要 [ 編輯 ]

윷놀이는 '하나'의 던진 結果를 윷판에 놓는 方法(卽, 말을 쓰는 方法)에 있어서 '複數個'가 存在하는 境遇가 頻繁히 發生하는데, 그 理由는 1. 複數個의 말을 使用한다는 點, 2. '한番 더'의 規則이 存在한다는 點, 3. 複數個의 말 길이 選擇 可能하다는 點 等을 꼽을 수 있다.

말을 업을 것인가 업지 않을 것인가 [ 編輯 ]

例를 들자면, 세 個의 말을 使用하는 境遇, 하나의 말이 걸(처음에서부터 세 番째 떨어진 곳)의 位置에 있고, 윷의 結果가 걸이 나왔을 境遇, 參加者는 旣存에 걸의 位置에 있던 말을 걸을 利用 하여 세 칸 앞으로 移動 시킬 수도 있고, 새로운 말을 利用 해서 旣存에 걸 位置에 있던 말과 합칠(이것을 '업는다'라고 부른다.) 수도 있다. 말을 업어 使用할 境遇 업힌 말들은 同時에 移動 하는 까닭에 보다 迅速한 말의 移動이 可能하지만, 한 番 잡히면 업힌 모든 말들이 沒殺을 當하는 危險이 있어서 戰略的인 選擇이 必要하다.

윷과 謀議 '한番 더' 規則 適用時 말을 어떻게 놓을 것인가 [ 編輯 ]

윷을 던진 結果가 윷 또는 模擬 境遇, 參加者는 한番 더 윷가락을 던질 機會를 갖는다. 競技 規則에 따라서 (1) 한番 더 던지기 前에 參加者는 말을 윷판에 이동시킬 수도 있고, 또는, (2) 한番 더 던진 後에 그 結果를 보고 말을 놓을 수도 있다. 한番 더 던진 結果 또 다시 윷 또는 모가 나오거나 道, 個 또는 걸로 다른 말을 잡으면 그 때까지 나온 값에 따라 말을 이동시키거나 또다시 한番 더 던진 後에 그 結果를 보고 나머지 말을 놓을 수 있다.

曖昧한 윷狀態의 判斷 [ 編輯 ]

윷을 던진 後 曖昧하게 놓인 윷의 狀態로 論難이 이는 境遇가 있다. 傳統 윷놀이 規則에 따르면 曖昧하게 놓인 윷을 再次 던진다.

윷占 [ 編輯 ]

東國歲時記 에 따르면, 섣달그믐날이나 새해 첫날에 윷을 던져 나온 敗로 좋고 나쁨을 점쳐보는 놀이가 있었다고 한다. [6] 윷의 可能한 組合은 도, 개, 걸, 윷, 모이지만 윷, 모는 같은 것으로 친다. [7] 이에 따라 모두 64個의 占卦가 나오며, 各各의 境遇에 따라 處身에 注意해야할 事項이나 그 해의 運數에 對한 풀이말이 定해져 있다. [7]

人間 윷놀이 [ 編輯 ]

一般 윷놀이와 規則은 같으나 사람 이 윷 役割을 하거나 말 役割을 한다는 點에서 다르다.

윷놀이와 確率 [ 編輯 ]

윷놀이에서 平面이 위로 나올 確率이 50%라면 道, 개, 걸, 윷, 모가 나올 數學的 確率은 다음과 같다.

  • 도: 1/4
  • 個: 3/8
  • 걸: 1/4
  • 윷: 1/16
  • 某: 1/16

그러나 윷 自體가 正確히 班員이 아니기 때문에 各各이 나올 確率은 이와 一致하지 않는다. 卽, 平面이 위로 나오는 確率에 따라 道, 개, 걸, 윷, 모가 나올 確率이 달라진다.

윷 平面 出現 確率 變化에 따른 도, 개, 걸, 윷, 某 確率 變化 票 [8]
윷 平面 出現 確率
52% 23.00314% 37.3801% 26.99674% 7.311616% 5.308416%
54% 21.02458% 37.02154% 28.97338% 8.503056% 4.477456%
56% 19.08122% 36.42778% 30.90842% 9.834496% 3.748096%
58% 17.18842% 35.60458% 32.77882% 11.3165% 3.111696%
60% 15.36% 34.56% 34.56% 12.96% 2.56%

各州 [ 編輯 ]

  1. 章裝飾. “윷놀이” . 韓國民俗藝術事前 . 2021年 2月 21日에 確認함 .  
  2. KBS1설特輯다큐 '윷의 祕密' (2006/01/29)
  3. 漢陽歲時機
  4. 鑄成하 (2009年 4月 3日). “[뉴스分析]北 金正日, 윷놀이와 포커 方法 直接 開發 普及” . 東亞日報 . 2021年 2月 21日에 確認함 .  
  5. 조계창 (2006年 2月 9日). “<北윷놀이 規則..`後돌'과 `陷穽'>” . 聯合뉴스 . 2021年 2月 21日에 確認함 .  
  6. “윷을 던져 나오는 卦로 未來를 점치는『윷점책』” . 國立한글博物館. 2021年 2月 . 2021年 2月 26日에 確認함 .  
  7. 임동권 (1995). “윷占(─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021年 2月 26日에 確認함 .  
  8. 조대현 (2015). “出發順序에 따른 윷말의 코스 經由 確率”. 《應用統計硏究》 (韓國統計學會) 28 (3): 444. doi : 10.5351/KJAS.2015.28.3.443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