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幽靈 漢字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幽靈 漢字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幽靈 漢字 ( 日本語 : 幽?字 유레이地 [ * ] , 英語 : ghost characters )는 日本 JIS 基本 漢字에 收錄되어 있는 出處 不明의 漢字 를 일컫는 말이다. JIS 幽靈子 , 幽靈 文字 라고도 한다.

槪要 [ 編輯 ]

日本의 通信産業性 1978年 에 JIS 基本 漢字(1水準 漢字 + 2水準 漢字)를 規定하였는데, 이것은 日本 國民이 生活하는 데 이 水準의 漢字 知識이 있으면 不便함이 없다는 目標를 가지고 制定하였다. 그런데 漢字를 전산화하는 作業에서 關聯 作業者가 漢字에 對한 專門的인 知識을 缺如했거나, 漢字의 微細한 劃의 差異의 入力 失手 等 作業上의 誤謬가 累積되어 現在 大略 60字(一說에 따르면 100字) 程度의 出處를 알 수 없는 漢字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런 文字는 康熙字典 等 主要 自轉에 勿論 실려 있지 않으며, 이 때문에 읽는 方法을 알 수 없는 이러한 漢字에 對한 疑問이 增幅되었다. 日本국립국어연구소의 社사하라 히로유키 等이 팀을 構成하여 調査에 着手한 結果, 이들 漢字들이 오자(誤字) 또는 出處없는 幽靈 漢字임이 判明되었다.

幽靈 漢字의 예 (括弧안은 ShiftJIS)
? (9AB3) (9AB0) ? (9AD5)
? (9ADD) ? (9BAA) (9BB1)
? (9C5A) ? (9C8E) ? (9D6A)
? (9DF1) ? (9E9B) ? (9EEF)
? (9F89) ? (E090) ? (E1F1)
? (E26D) ? (E2E2) ? (E2E4)
? (E2E6) ? (E2F2) ? (E452)
? (E5AA) ? (E5D7) ? (E75F)
? (E7FB) ? (E880) ? (E8D6)
? (E971) ? (E9FC)

幽靈 漢字의 數 [ 編輯 ]

幽靈 漢字의 正確한 數는 斷定的으로 말할 수 없다. 調査 當時에는 出處가 發見되지 않았으나, 制定 當時에 參考한 여러 文獻 中 現在 傳해 내려오지 않는 文獻이나 指名, 人命 等이 存在할 可能性을 排除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日本 以外에서 使用되는 境遇도 있다. ? (前)의 境遇는 中國에서 밭을 세는 單位로 使用되는 漢字이다. [1] (點)의 境遇는 韓國에서 指名에 使用되는 漢字이며, (大)도 韓國 漢字이다.

事前 處理 [ 編輯 ]

大多數의 幽靈 漢字는 讀音이 不明이다. 電算化 過程에서는 便宜上 形成 文字의 原理에 따라 任意的으로 音을 配當하고 있다. 一部 MS IME 等에서는 四角形 模樣으로 깨져 나오는 境遇도 있다.

幽靈 漢字 存續의 理由 [ 編輯 ]

日本은 1983年 JIS 漢字 改正 作業으로 인해 크나큰 混亂을 招來한 事件이 있었다. 또한 幽靈 漢字를 發見했을 때에는 이미 JIS 漢字가 유니코드 에까지 登錄되어 있었기 때문에, 日本 國內 問題로 끝나지 않게 되었다.

幽靈 漢字의 使用 [ 編輯 ]

出處 不明의 漢字인 만큼, 이들 漢字의 大部分은 매우 使用 頻度가 낮은 壁者이다. 그러나 비슷한 漢字의 代用字로 쓰이는 等 弱者 및 속者의 機能을 一部 하고 있다. 또 ‘幽靈 漢字’라는 特異性에 끌린 一部 사람들이 이런 漢字를 暗號나 好奇心에 使用하는 等, 幽靈 漢字로서의 用法이 생겨나고 있다.

各州 [ 編輯 ]

  1. 蒙求 執奏, [1]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中國語 위키文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