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흐리우냐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укра?нська гривня   ( 우크라이나語 )
ISO 4217 코드 UAH
中央銀行 우크라이나 國立銀行
웹사이트 www.bank.gov.ua
使用國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 크림半島 除外)
인플레이션 9.52% (2021 y-o-y) [1]
出處 NBU, 2019, May [2]
補助單位
1 100 kopiyka (коп?йка)
記號 ?
複數型 hryvni ( nom. pl. ), hryven ( gen. pl.)
kopiyka (коп?йка) kopiyky (nom. pl.), kopiyok (gen. pl.)
銅錢
자주 使用됨 ?1, ?2, ?5, ?10
드물게 使用됨 10, 50 kopiyok
紙幣
자주 使用됨 ?20, ?50, ?100, ?200, ?500, ?1,000
드물게 使用됨 ?1, ?2, ?5, ?10

흐리우냐 ( 우크라이나語 : гривня )는 우크라이나 의 通話이다. 1 흐리우냐는 100 코피이카( коп?йка )에 該當된다.

이름 [ 編輯 ]

어원 [ 編輯 ]

흐리우냐라는 이름은 11世紀 크이우 大公國 의 通貨였던 그리브나 (гривна)에서 由來된 이름이다.

複數型 [ 編輯 ]

흐리우냐의 主格 複數型은 흐리우니 ( 우크라이나語 : гривн? )이고, 俗格 複數型은 흐里벤 ( 우크라이나語 : гривень )이다. 우크라이나語에서, 主格 複數型은 드비 흐리우니 (дв? гривн?, "2 흐리우니")처럼 2, 3, 또는 4로 끝나는 數字에 使用되며, 俗格 複數型은 5에서 9, 0으로 끝나는 數字, 例를 들면 스토 흐里벤 (сто гривень, "100 흐里벤’")처럼 使用된다. 1로 끝나는 數에는 主格 單數型이 使用되는데, 例를 들어 드바드車티 오드나 흐리우냐 (двдцогнявридан, "21 흐리우냐")가 있다. 이 規則의 例外는 11, 12, 13, 14로 끝나는 數字이며, 이 數字에는 俗格 復讐도 使用되는데, 例를 들어, 드바나드車티 흐里벤 (дванадцять гривень, "12 흐里벤")李 있다. 補助單位의 斷水는 коп?йка(코피카), 主格 複數型은 коп?йки(코피키) 그리고 俗格은 коп?йок(코피요크)이다.

歷史 [ 編輯 ]

1990年代 初盤 우크라이나에서 있었던 超인플레이션 을 克服하기 위한 次元에서 1996年 9月 2日 을 期해 흐리우냐를 導入했다. 옛 通貨였던 카르보바네츠와의 交換 比率은 100,000 카르보바네츠 = 1 흐리우냐이다. 1, 2, 5, 10, 25, 50 코피카, 1 흐리우냐, 2 흐리우니, 5, 10 흐里벤 銅錢과 1 흐리우냐, 2 흐리우니, 5, 10, 20, 50, 100, 200, 500 흐里벤 紙幣가 通用된다. 2019年 10月 우크라이나 中央銀行은 1000 흐里벤 紙幣를 導入했으며 10코피카 未滿의 單位는 낮은 價値로 인해 거의 使用되지 않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Ukrania Hryvnia” . 2017年 3月 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2. “Archived” . 2016年 5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6月 1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