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雨林과 둠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雨林과 둠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雨林과 둠밈 ( Urim and Thummim )은 하나님의 뜻을 判別하는 제비와 같은 存在로 여겨졌던 것으로, 높은 聖職者들이 凶悖에 지니고 다니는 것이었다. 어떤 模樣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어원 [ 編輯 ]

雨林과 둠밈에 對한 말의 意味와 起源에 對한 몇 가지 主張들 中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說明은 雨林을 ‘빛’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오르???/빛)에서 온 것으로, 둠밈은 ‘完全하다’를 意味하는 (他맘/???/完全하다)에서 온 것으로 理解하는 것이다. 우리말 個驛 改正과 새 飜譯 聖經의 脚註에서 雨林과 둠밈은 “빛과 完全함”으로 飜譯한다. 이 두 單語를 이어서 表現하면 “完全한 빛”의 意味로 理解할 수 있다. 빛은 우리 말로 飜譯하면 ‘神의 照明, 啓示’로 보아 ‘完全한 照明’으로 볼 수 있다.

雨林과 둠밈의 語根을 西部 셈족語가 아닌 아카드語 나 아랍語, 또는 이집트語에서 찾고자 하는 試圖가 있었으나 根據가 稀薄하다. 雨林과 둠밈을 통하여 하나님의 뜻을 묻고 ‘예’와 ‘아니오’로 答辯을 듣게 된다. 둠밈은 ‘無罪의’라는 뜻으로 볼 수 있고, 雨林은 ‘詛呪하다’를 意味하는 語根 (아라르????/詛呪하다)로 본다면 ‘詛呪 받은, 有罪의’로 理解함으로 雨林과 둠밈의 機能을 잘 反映했다고 볼 수 있다. [1]

形態와 機能 [ 編輯 ]

雨林과 둠밈은 記錄이 나와 있지 않다. 그나마 이에 對한 答을 찾을 수 있는 곳은 舊約 聖經뿐이다. 出 28:19-30 部分에서 雨林과 둠밈을 大祭司長 의 凶悖 안에 保管하라고 했으므로 그것들의 크기가 그렇게 크지 않았다는 것을 類推 할 수는 있다. 雨林과 둠밈의 材料, 模樣 또한 聖經에서 아무런 情報를 提供하고 있지 않다. 雨林과 둠밈의 機能을 가장 잘 보여주는 句節은 사무엘上 14:41이다. 이 句節 中에서 實相이라는 것이 事實 둠밈으로 飜譯해야 할 可能性이 높다. 이 部分에서 마소라 本文을 그대로 反映하고 있는 飜譯이다. 하지만 마소라 本文은 聖經을 筆寫하던 書記官이 同一한 單語가 두 行의 끝部分에 나타날 때 이미 筆寫한 것으로 錯覺해 그 行을 빼먹고 넘어가서 該當되는 行이 사라지는 書記官의 失手의 結果가 남아있는 것이다. 따라서 大部分의 註釋家들은 七十人譯을 따라 사라진 部分을 再 構成하여 채워넣고 있고 새飜譯 聖經이 이것을 反映하고 있다. “그 허물이 主님의 百姓 이스라엘에게 있다면 둠밈이 나오게 하십시오.” 이 句節에서 사울은 自身과 요나단에게 罪가 있는지 아니면 百姓들에게 罪가 있는지 判決을 내리기 위해 禹밈과 둠밈을 使用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마도 주사위와 같은 物件을 던져서 그 結果로 神의 뜻을 區別하는 占術의 一種에 使用되는 道具였을 것이다. 이 本文을 類推해 보자면 雨林의 意味는 아마도 詛呪받은 或은 有罪 라는 可能性이 높다. 民數記 27:21에도 用途를 보여준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雨林과 둠밈을 던져서 占術을 行하는 權限이 祭司長에게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恒常 이 占術 行爲가 예 or 아니요 의 結果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사무엘上 28:6이 알려준다. 이 句節에 依하면 戰爭을 앞두고 雨林과 둠밈을 통해 答을 얻고자 했지만 答이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사울 王은 무당을 통해서 죽은 사무엘과 接神을 試圖한다. 占術이나 다양한 方式으로 하나님의 뜻을 물어보는 것을 表現할 때 使用되는 히브리어의 表記는 같고 雨林과 둠밈의 表記도 同一하다. 그랬을 때 예 또는 아니요 뿐 아니라 때로는 具體的인 答辯이 주어진 境遇가 있다. 士師記 1:1-2, 사무엘上 10:22, 사무엘下 2:1 等等 예 아니오 뿐 아니라 具體的으로 하나님의 뜻과 指示가 내려진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一部 學者들은 雨林과 둠밈이 單純히 두 個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히브리어 알파벳 22個 모두로 構成되었으리라고 推測하기도 한다.

大祭司長 衣服 [ 編輯 ]

雨林과 둠밈과 에봇 [ 編輯 ]

에봇 앞에는 凶悖가 붙어 있었다. 에봇은 主로 雨林 과 둠밈 그리고 凶悖를 包含한다. 에봇은 單純한 大祭司長 衣服 以上의 것이었다. 三相 23:6에 依하면 아비아달은 에봇을 가지고 사울을 被害 다윗에게로 避身해 왔다. 여기서 다윗은 合法的으로 에봇을 使用할 수 있다는것을 類推할 수 있다. 다윗은 我非我달이 所有한 에봇을 통해 하나님께 두 番 물었다. 이것은 사울과 달리 다윗이 하나님의 引導하심을 받는다는 것을 意味한다. 雨林과 둠밈은 合法的인 大祭司長의 에봇과 함께 使用된 合法的인 信託道具였다.

雨林과 둠밈과 判決凶悖 [ 編輯 ]

判決凶悖, 卽 히브리어로 好센이라는 낱말의 분명한 뜻은 如前히 不確實하다. 그러나 이 用語는 ‘아름다운 것’을 의미하는 아라비아語 <下水나>(hasuna)와 關聯이 있는 것으로 主張되었다. 그러므로 好센은 大祭司長의 옷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것’ 또는 ‘가장 貴重한 部分’이라고 看做된다. 또한 ‘戰爭을 위한 조끼’라는 意味의 아라비아語 <街雨傘>(gausan)과도 關聯이 있어 보인다. 凶悖는 大略 左右 9인치의 길이에 두 겹의 材料로 되어 있었다. 에봇과 똑같은 材料로 만들어진 이 重要한 部分은 金으로 된 열두 寶石이 네 줄로 박혀 있었으며, 이 寶石들에는 이스라엘 12支派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이 凶悖는 에봇에 金고리 둘과 땋은 두 金사슬과 靑色끈으로 단단하게 매여 있었다. 凶悖는 二重으로 겹쳐서 만들었다는 主張과 雨林과 둠밈을 간수할 수 있는 주머니로 設計되었다는 主張이 있다. 다른 學者들은 히브리어 엘은 雨林과 둠밈이 凶悖의 外部에 덧붙여져 固定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했다. 엘을 ‘위에’로 飜譯한다면 두 가지 解釋이 可能해진다.

  1. 雨林과 둠밈은 야웨의 神託이 必要할 때마다 凶悖의 外部에 덧붙여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1. 雨林과 둠밈을 凶悖위의 12寶石과 同一視하는 것이다.

그러나 레위기 8:8에 依하면 雨林 과 둠밈을 凶悖위의 12寶石과 同一視하는 것은 不可能하다. 雨林과 둠밈을 適切한 場所에 두는 것을 言及하고 있기 때문이다. 레위기 8:8과 出埃及28:30은 分明히 雨林 과 둠밈을 어떤 場所에 놓을 수 있는 一種의 類型의 物件으로 描寫하고 있기 때문이다. 結局 雨林과 둠밈은 만질 수 있고 實體的이며 類型의 正體性을 지닌 어떤 物體로 보는 것이 더 說得力이 있다. [2]

舊約聖經 本文에 나타난 雨林과 둠밈 [ 編輯 ]

舊約聖經에서 雨林과 둠밈은 일곱 個의 本文에 登場한다. 함께 記錄되어 있거나 雨林만 記錄되어 있기도 하며 順序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出埃及記 28:30; 레위기 8:8; 民數記 27:21; 申命記 33:8; 사무엘上 28:6; 에스라 2:63; 느헤미야 7:65). 雨林과 둠밈에는 定款社가 使用되고 있다(출 28:30; 레 8:8, 민 27:21; 三相 28:6; 參照. 新 33:8). 出埃及記 29:30과 레위기 8:8는 처음 雨林과 둠밈이 登場하여 紹介되는 本文이지만 雨林과 둠밈에 各各 定冠詞를 使用하는 것을 보아 잘 알려져 있던 것임을 斟酌할 수 있다. 各各 使用되었다는 것은 雨林과 둠밈을 하나로 보는 것이 아니라 各各의 物體로 認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申命記 33:8에서는 定冠詞 代身 人稱代名詞가 使用되고 있다. "注意 둠밈과 雨林"을 레위 子孫에게 주시기를 懇求하고 있다. 하나님께 屬해 있던 雨林과 둠밈이 레위 子孫, 大祭司長에게 주어졌다고 理解할 수 있다. 에스라2:63과 느헤미야 7:65에서는 定冠詞를 붙이지 않는데 이는 固有名詞化된 것으로 理解할 수 있다. 雨林과 둠밈을 통해 神託을 求하는 것은 出埃及 曠野때부터 王政 初期 사울 王 時節까지만 나와 있다.

에스라와 느헤미야에서는 雨林과 둠밈을 가진 祭司長이 일어나기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存在 有無를 特定할 수 없다. 사울 王은 雨林과 둠밈을 통해 블레셋과 戰爭에 臨해도 되는지 信託을 묻지만 應答을 받지 못한다. 祭司長이 아니었던 사울 王이 使用하려고 試圖하였지만 應答을 받지 못하고 에스라 때에 이르기까지 舊約聖經에서 雨林과 둠밈을 言及하지 않는다. [3]

第2性全時期의 雨林과 둠밈의 存在 [ 編輯 ]

雨林과 둠밈이 第 2聖戰 時代에 使用되었는지에 對한 論議는 에스라(2:59-63 , 느7:63-65)에서 ”雨林과 둠밈을 가진 祭祀場“ 에 對한 기다림이 現實的으로 可能한지에 對한 重要한 端緖가 된다. 第 2聖戰 時代의 文獻들 가운데에서는 다양한 文書들이 雨林과 둠밈을 言及하고 있다. 舊約聖經의 헬라語의 逆本人 七十人譯(主戰3-2世紀)에는 雨林과 둠밈에 對한 飜譯과 理解가 담겨 있다. 七十人譯 五經과 사무엘上 本文에서는 雨林을 d?l?sis,(啓示 , 나타남)이라고 飜譯하고 있으며 둠밈은 (眞理 al?theia) 있다. (출 28:30; 레 8:8; 민 27:21; 新 33:8; 三相28:6; 參照. 三相 14:41; 號 3:4). 反面 에스라 2:63와 平行本文인 느헤미야 7:65은 雨林을 (ph?tiz?, “빛나다”)의 分詞型으로 飜譯하고 있으며 둠밈을 teleios, (“完全한”)로 飜譯하고 있다. 七十人譯은 飜譯된 單語들을 통해 第2聖戰時代에 雨林과 둠밈 單語의 意味를 어떻게 생각했는지 情報를 提供하지만 第2性全時期에 雨林과 둠밈이 存在하였는지 或은 使用되는지에 對한 情報는 提供하지 않는다. 七十人譯은 飜譯된 單語들을 통해 第2聖戰時代에 雨林과 둠밈 單語의 意味를 어떻게 생각했는지 情報를 提供하지만 第2性全時期에 雨林과 둠밈이 存在하였는지 或은 使用되는지에 對한 情報는 提供하지 않는다.시락서(주전 200-180年)에는 雨林과 둠밈에 關한 두 句節이 包含되어 있다. 시락 33:3에는 “지혜로운 사람은 律法을 信賴하고 그에게는 律法이 雨林의 質問처럼 믿을 만한 것이다. ”時落書가 記錄된 時期까지 雨林과 둠밈이 사라졌고 全혀 기능하지 못하였다고 한다면 시락書에서 律法에 對한 信賴性을 雨林과 둠밈에비교한다는 것은 合理的이지 않다. 同時代人들에게 傳說的으로 내려오는우림과 둠밈을 比較의 對象으로 삼기보다는 同時代人들에게 친숙하고 信賴性이 있기에 比較의 對象으로 삼았다는 것이 더 合理的인 推論이다.

第2聖殿의 滅亡 以後 雨林과 둠밈을 言及한 文獻들 [ 編輯 ]

요세푸스(37-100 CE)는 『유대 古代史』에서 第2性全時期에 雨林과 둠밈이 있었고 大祭司長에 依해 使用되었다고 記錄한다. 요세푸스는 雨林과 둠밈이 에봇 凶悖 안에 있었으며, 雨林과 둠밈이 信託을 알려줄 때 凶悖의 12個의 寶石으로부터 “宏壯히 莊嚴한 [빛이] 비추었다”고 記錄하고 있다. 탈무드와 미쉬나의 記錄들은 雨林과 둠밈이 第2聖戰時代에 存在하였는가에 對해서는 大體로 肯定的이지만 機能은 하지 못하였다고 본다. 프라이드는 TB Yoma 21b에서 第2聖戰時代에 사라진 다섯 가지를 言及한다: “이 다섯 가지는 제1성전과 第2性前時期를 [區分한다]: 言約櫃, 言約櫃 덮개, 涕淚빔, [하늘로부터 내려온] 불, 쉐키나, 거룩한 영(예, 豫言者의 영) 그리고 雨林과 둠밈이다(TB Yoma 21b).” 블렌킨솝 또한 미쉬나와 탈무드(M.So a 9:12; TB So a 48b; TB Yoma 21b)를 引用하며 雨林과 둠밈이 第2聖戰 時期에 사라진 다섯 가지 中 하나이며 이 다섯 가지는 제2성전 時期에 사라지나 메시아 時代에 다시 나타나게 될 것이라는 點을 指摘하며 雨林과 둠밈이포로후기에 使用되었는지에 對해 疑問을 表示한다. 프라이드는 에스라 2:61-63(느 7:63-65) 本文을 제2성전시대 雨林과 둠밈이 사라진 것과 聯關하여 理解하여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TBYoma 21b는 第1性前時代로부터 第2聖戰時代에 다섯 가지가 사라졌다기보다는 다섯 가지가 ‘區分된다’ 或은 ‘달라졌다’고 理解해야 한다. 半 담은 TB Yoma 21b:17의 第1性前時代로부터 第2聖戰時代에 區分되는 다섯 가지 目錄 以後 문장인 “(다섯 가지는) 있었지만 기능하지 않았다”를 言及하며 雨林과 둠밈이 第2性全時期에 存在하지 않았다기보다는 雨林과 둠밈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求하지 못하는 機能의 喪失로 理解한다. 베이컨은 바빌론 탈무드를 引用하여 “다윗, 사무엘, 솔로몬” 時期 以後로는 雨林과 둠밈이 더 以上 使用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TB So a 48b). 베이컨은 雨林과 둠밈을 더 以上 使用하지 않게 된 原因으로 이스라엘에서 豫言者들이 하나님께 묻고 그 應答을 듣는 役割을 하였기 때문으로 主張한다.

豫言者들의 信託은 雨林과 둠밈보다 하나님과 더 人格的이고, 直接的이었기에 信託을 求하는 일에 있어 雨林과 둠밈을 凌駕하게 되었다고 主張한다. TB So a 48b:9는 에스라 2:63의 “方伯이 그들에게 命令하여 雨林과 둠밈을 가진 祭司長이 일어나기 前에는 知性물을 먹지 말라 하였느니라”는 句節을 引用하여 누군가 이렇게 말한다면 “죽은 者가 復活하고 다윗의 子孫 메시아가 올 때”에 일어날 것이라고 應答하라고 記錄하고 있다. 에스라 2:63을 가까운 未來에 일어날 일이 아닌 먼 未來에 일어날 일로 言及하고 있다. 第2聖殿의 滅亡 以後 記錄된 유대 文獻들은 大體로 雨林과 둠밈이 第2聖戰 時期에 存在하였으나 그 機能은 喪失했다고 理解한다. 요세푸스의 境遇 존 히르카누스가 死亡하기 前(主戰 104年)까지는 雨林과 둠밈이 祭祀場들에 依해 使用되었다고 보는 反面, 미쉬나와 탈무드의 記錄들은 第2聖戰時期 동안 雨林과 둠밈은 全혀 役割을 하지 못한 것으로 記錄하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강승일, 2012年 6月, 雨林과 둠밈, 에봇, 그리고 言約櫃, 韓國舊約論壇

權鈞韓, 2003年 11月, 古代 이스라엘의 祭祀場 信託에 關한 硏究, 목원대학교 神學大學院 碩士學位 論文

김준, 2019年 10月 雨林과 둠밈을 가진제사장이 일어나기 前에는”(스 2_63)에 關한 小鼓, 韓國舊約論壇

임석원, 2005年 11月, 聖經의 옷에 關한 基督論的 考察

各州 [ 編輯 ]

  1. 강승일, 2012年 6月, 雨林과 둠밈, 에봇, 그리고 言約櫃, 韓國舊約論壇
  2. 權鈞韓, 2003年 11月, 古代 이스라엘의 祭祀場 信託에 關한 硏究, 목원대학교 神學大學院 碩士學位 論文
  3. 김준, 2019年 10月 雨林과 둠밈을 가진제사장이 일어나기 前에는”(스 2_63)에 關한 小鼓, 韓國舊約論壇, 49-5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