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言콘퍼런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言콘퍼런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한 言콘퍼런스의 오픈 스페이스 세션 스케줄링

言콘퍼런스 (Unconference)는 參席者 志向的인 會議 方式의 하나이다. 現存의 콘퍼런스 들은 費用이 많이 들고 參與者 發言의 機會는 적고 스폰서 의 입김에 露出될 憂慮는 큰 데다 上意下達 ( Top-down )式이라 版에 박히고 非效率的이라는 短點이 있어 이를 克服해 보자하는 새로운 會議 技法이다.

歷史 [ 編輯 ]

해리슨 五言 (Harrison Owen)은 1980年代 中盤에 오픈 스페이스 技法 ( Open Space Technology )을 考案했는데, 1993年에는 Open Space Technology: a User's Guide 를 出版했다. 이 때 그는 "Unconference"라는 말은 안 썼지만 요즘의 言콘퍼런스에 該當되는 技術들에 對해 說明했다. "Unconference"는 XML 開發者들의 年例 콘퍼런스를 알리는 公知에서 1998年에 처음으로 使用됐다.

言콘퍼런스 形態라 할 第 1次 블로거콘 ( BloggerCon ) 가 2003年 10月 4日 하바드 臺 버크먼 인터넷 센터 ( Berkman Center for Internet & Society )에서 열렸다.
"言콘퍼런스"는 블로거콘을 論議하던 렌 프라이어 (Lenn Pryor)가 그 무렵 使用했는데, 블로커콘 主催者인 데이비드 와이너 ( David Winer )가 2004年 4月에 또 써서 有名해졌다.

사라 윈地(Sarah Winge)는 오픈 스페이스 에 關한 해리슨 五言 과의 對話에 着眼하여 팀 오라일리 ( Tim O'Reilly )와 함께 2003年 10月 10日에 캘리포니아 의 小都市 세바스토폴 (Sebastopol)에서 第 1回 푸캠프 ( Foo Camp )를 主催했다.
2005年 8月 19日에 팰로 앨토 에서 열린 第 1回 바캠프 는 言콘퍼런스 擴散을 위한 커다란 契機이다.
2006年에는 CNNMoney 가 푸캠프 ( Foo Camp ), 바캠프 , 블로거콘 ( BloggerCon ), 每時業 캠프 (Mashup Camp) 等의 이벤트 들에다가 "Unconference"라는 말을 붙였다. [1]

푸캠프 와 바캠프는 "參席者들이 아젠다를 만들어 내지 않는 限.. 아젠다가 없다"는 말을 流行시켰다.

포맷 [ 編輯 ]

言콘퍼런스의 典型은 '參席者들이 아젠다를 모임의 바로 初入에 創出한다'라는 것이다. 어떤 話題에의 論議를 始發코자하는 그 누구라도 時間 및 空間을 얻을 權限을 갖는다. 單 한 名의 發言者가 參席者들의 앞자리에서 發言하진 않고, 모든 이가 公共의 討議를 形成하며, 포맷 에는 制限이 없다. 이 形式의 콘퍼런스는 사람들이 專門知識이나 높은 識見을 가지고 參席할 때면 더더욱 有用하다 할 수 있다.

各州 [ 編輯 ]

  1. Craig, Kathleen (2006年 6月 6日). “Why "unconferences" are fun conferences” . Business 2.0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