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이人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알타이 共和國과 周邊 地域의 알타이人 人口 比率

알타이人 ( 南部 알타이語 : Алтай-кижи, Алтайлар )은 러시아 알타이 共和國 에 主로 居住하는 튀르크 系의 시베리아 原住民 族이다. 人口는 約 8萬 名으로, 그 中 大部分이 居住하는 러시아 밖에도 數千 名의 알타이人이 몽골 中國 신장 알타이 地球 에 居住하나, 中國에서는 政府에 依해 公認되지 않은 集團으로 남아 있으며 "오이라트"라는 이름으로 記載된다. [1] 카자흐스탄 에도 約 200名이 居住한다. [2] 다른 名稱으로 텔레 , 카라 타타르 , 오이라트 等이 있다.

알타이人은 實際로는 여러 下位 民族 集團으로 이루어진 大分類로, 크게 南部 알타이人과 北部 알타이人으로 나눌 수 있다. [3] 南部 알타이人에는 固有 알타이族(Altai-Kizhi), 텔레우트族 (Teleut), 텔렝기트족 (Telengit)이 包含되며, 北部 알타이人에는 첼칸족 (Chelkan), 쿠만딘族 (Kumandin), 투발라르族 (Tubalar)가 包含된다.

文化 [ 編輯 ]

言語는 튀르크語族 系統의 알타이語 를 使用하는데 南北 方言 差異가 커서 南部 民族들이 쓰는 南部 알타이語 와 北部 民族들이 쓰는 北部 알타이語 의 2個 言語로 區分하는 境遇가 많다.

傳統的으로 알타이 샤머니즘 信仰을 믿어왔으며 19世紀에 佛敎와 러시아 宗敎會議 宣敎 試圖가 있었으나 大體로 成功的이지 못했다. 1904年부터는 부르칸교 라는 獨特한 信仰 運動이 알타이人 사이에 퍼지기 始作했으나 볼셰비키가 權力을 얻으며 彈壓을 받아 크게 弱化되었다. 最近에는 부르칸교와 샤머니즘의 復興이 돋보이는데, 한 調査에 따르면 最大 87%의 알타이人이 샤머니즘 等 "土着 信仰"을 維持하고 있으며 以外에 約 11%의 러시아 正敎 신자, 約 2%의 티베트 佛敎 信者가 있다. [4]

歷史 [ 編輯 ]

明確한 起源은 不明이며, 알타이 地域은 古代에 次例로 스키타이 , 匈奴 , 柔軟 , 突厥 , 위구르 帝國 , 예니세이 키르기스 等의 影響圈에 있었다. 南部 알타이人은 킵차크 族이 몽골族과 섞여 形成된 한便, 北部 알타이人은 튀르크族이 사모예드족 , 케트族 等의 시베리아 民族들과 섞여 形成된 것으로 推定된다. [5]

13世紀부터 18世紀까지 알타이人은 政治的, 文化的으로 몽골의 影響을 剛하게 받았다. 北元 時代에 몽골人들은 이들을 "텔렝기드"라고 불렀으며 16世紀에 서몽골의 오이라트 4部族 聯盟 에 合倂되었다. 18世紀 準가르 칸國 이 滅亡하고 나서는 淸나라 에 服屬하여 隣近의 오이라트 몽골族과 함께 "알타이 우량카이 "의 一部로 여겨졌다. 한便 18世紀부터 러시아가 이 地域으로 擴張하며 이들과 接觸이 始作되었고 1864年부터는 알탄 누르가 公式的으로 러시아의 領土가 되었다. 러시아 革命 이 일어나고 1918年 알타이人들은 카라코룸 政府 를 세워 獨立 國家를 形成하려 試圖하고 멘셰비키 側을 支援했으나, 內戰이 볼셰비키 의 勝利로 끝나고 이오시프 스탈린 의 統治가 始作되며 이들은 潛在的인 "反革命 分子"로 여겨져 彈壓을 받았다. 蘇聯의 産業化 以後 相當한 規模의 러시아人들이 이 地域으로 移住해 왔으며 21世紀 初 알타이 共和國 人口 中 알타이人 比率은 約 31%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Olson, James S. (1998). 〈Altai〉 .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China》. Westport, Conn: Greenwood Press. 9?11쪽. ISBN   0-313-28853-4 .  
  2. Agency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on statistics. 2009 Census 保管됨 2012-04-24 - 웨이백 머신
  3. Zhukovskaia, Natalia L. (2007) [1999]. 〈Алтайцы〉 [Altaians] . L.M. Mints. 《Народы мира: Энциклопедия [Peoples of the World: an Encyclopedia]》 (러시아語). Moscow: OLMA Media Group. 34?35쪽. ISBN   978-5-373-01057-3 .  
  4. “Пандито Хамбо лама: Алтайцам следует принять буддизм” . 2019年 1月 17日.  
  5. Skutsch, Carl, 編輯. (2005).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1 . New York: Routledge. 82쪽. ISBN   1-57958-46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