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顔元 (1635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顔元 (1635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顔元

顔元 (顔元, 1635年 ~ 1704年 )은 中國 初의 學者이다. 직례성(直隷省) 博夜縣(博野縣, 現在의 허베이省 안국현에 屬함) 出身이며, 者는 役職(易直)·渾然(渾然), 號는 습재(習齋)이다.

어려서부터 逆境에서 成長하고, 過去 (科擧)에도 及第하지 못하고 괴로운 生活을 繼續하면서 六王學 (陸王學) 外에도 朱子學 (朱子學)을 工夫하였으나 滿足하지 않고 드디어 讀者의 復古的·實踐主義的인 學問을 樹立하였다.

그의 著書 《사존便(四存編)》은 孔孟(孔孟)의 學問에 關하여 徹底한 實踐을 强調하고 있다. 또 그는 經世致用의 實學(實學=現實의 政治·社會에 소용되는 實際的인 學問)을 提唱하고 《司書正午(四書正誤)》를 著述하였다. 《습재寄與(習齋記餘)》는 그의 文集이다. 그의 學問은 弟子인 李公, 王원(王源) 等에 繼承되었으나, 그 徹底한 實踐主義로 하여 그다지 공명자(共鳴者)를 얻지 못하고 王원(王源)에서 斷絶됐으나 淸末에 이르러 대망(戴望)에 依하여 復活되었다.

같이 보기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