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亞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亞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亞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
바티칸 博物館 의 亞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 彫刻像
作家 情報
出生 117年
미시아 하드리아니
(오늘날 터키 부르사週 오르下넬리 )
死亡 181年
言語 古代 그리스어
장르 修辭學
主要 作品
Sacred Tales

푸블리우스 亞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 테오도로스 ( 그리스어 : Α?λιο? ?ριστε?δη? ; 書記 117年?181年)는 그리스人 演說家이자 著述家로, 네로 在位부터 大略 서기 230年까지 蕃盛했던 有名하고 대단한 影響力을 지녔던 演說家 集團인 第2 소피스트 出身 中 가장 뛰어나다고 評價받는다.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在位 때부터의 것으로 推定되는, 50個 以上의 演說文 및 다른 著作들이 남아 있다. 그의 初期 成功은 長期間 앓던 疾病으로 인해 中斷되고 마는데, 그는 이 疾病에 對하여 醫療의 神 아스클레피오스 와의 神聖한 對話를 통해 症狀 緩和를 바랐고, 그의 聖地에서 잠을 자는 동안 꿈에서 나온 內容을 解釋하고 따르는 것으로 效果를 받았다. 나중에 그는 이때의 經驗을 '神聖한 이야기'(Hieroi Logoi)라는 이름의 談話論에 記錄해 두었다. 時間이 흘러, 아리스티데스는 演說家로서 生活을 다시 始作하는데, 필로스트라토스 가 "아리스티데스는 그의 分野에서 가장 造詣가 깊은 소피스트들 中 하나"라는 評價를 내릴 程度로 대단한 成功을 거뒀다. [1]

生涯 [ 編輯 ]

아리스티데스는 미시아 의 農村 地域인 하드리아니 에서 태어난 것으로 推定한다. [2] 富裕한 地主였던 그의 아버지는 아리스티데스가 最上의 敎育을 받을 수 있게끔 해주었다. 아리스티데스는 처음에는 스미르나 에서 코티아이움의 알렉산드로스 (나중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個人 敎師)밑에서 工夫를 하였고, 그 後로는 當時 가장 뛰어난 소피스트들에게 배움을 얻기 위하여 여러 都市로 旅行을 떠났으며 이 中에는 아테네 알렉산드리아 等이 있었다. [2]

그의 學習에 주춧돌은 書記 141年의 이집트로 向한 것이었다. 이집트로 가던 中에 그는 演說家로서 生活을 始作했고, 코스, 크니도스, 로도스, 알렉산드리아에서 演說을 했다. 이집트에서 旅程 中에 나일江 水原을 찾고자 上流를 거슬러 올라가기도 했으며, 그는 以後 '이집트 談論'에 이 內容을 仔細히 傳하였다. 病을 앓으면서, 그는 스미르나로 돌아왔고, 이집트 新 세라피스 에게 助言을 求하며 健康을 回復해보고자 하였다 (그의 가장 草創期 演說文 '세라피스에 對하여'에 記載).

演說家로서 自身의 職業을 한層 발전시키기 위하여, 書記 143年 말에 그는 로마로 떠났으나, 그의 熱望은 深刻한 持病으로 挫折되고 말았다. 그는 스미르나로 돌아왔다. 回復을 바랐던 그는 마침내 '古代 世界의 最高 治療의 神' 아스클레피오스 에게 依託했고, '古代 世界 最高의 治療所'였던 페르가뭄 의 아스클레피오스 神殿으로 向하였는데, 이곳에선 患者들이 神殿의 바닥에서 잠을 잤는데, 그러면 꿈에서 받은 神으로부터 處方을 記錄하였다. 아리스티데스에게는 處方이 斷食, 特異한 食單, 防血, 館長, 嘔吐, 그리고 沐浴을 삼가하는 等이었다. [3]

再發한 持病에도 不拘하고, 서기 147年 쯤에 아리스티데스는 著述家 및 非定期 講師로서 經歷을 이어나갔으며, 그러면서도 그는 그의 地位의 市民으로서 期待되는 여러 公共 및 宗敎的 義務로부터 合法的인 免除를 바랐다. 書記 154年에 그는 自身의 經歷을 全面的으로 再開할 만큼 充分히 健康했으며, 그리스 및 로마로 講演을 떠나, 로마에서는 皇宮에 出入하기도 했는데, 여기서 그는 그의 가장 有名한 演說文 '로마에 對하여'를 演說하였다. [4] 그는 또한 弟子들을 두기도 했으며, 가장 有名한 이가 소피스트 다미아노스 이다.

書記 165年에, 아리스티데스는 當時 로마 帝國을 쑥대밭으로 만들던 이른바 안토니누스 疫病 ( 天然痘 )과 마주쳤다. 그는 살아남았지만, 活動이 줄게 됐고 아스클레피오스에 對한 獻身을 再開하였다. 書記 171年에 그는 거의 30年이 넘는 동안에 꿈에서 아스클레피오스에게서 받은 다양한 啓示와 識見을 記錄한 '神聖한 이야기'를 쓰기 始作하였다.

그의 最大 經歷적 成功은 書記 176年에 이뤄졌는데, 이때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스미르나를 訪問했고 아리스티데스는 皇帝가 대단히 印象을 받은 演說을 하였다. [1] 그의 最大의 公人으로서 成功은 西紀 177年에 이뤄졌으며, 이때 地震이 스미르나를 破壞했고, 아리스티데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勝게 呼訴文을 적어 보냈는데 이 呼訴文은 破壞된 스미르나의 再建을 위한 帝國의 基金을 마련하는 데 몹시나 效果的이어서 필로스트라토스는 "아리스티데스가 스미르나를 세웠다고 말하는 것은 單純히 誇張된 讚辭가 아니라 가장 正確한 眞實이다."이라고 할 程度였다. [1] 아리스티데스의 靑銅像이 스미르나의 市場에 세워졌고, '그의 對한 선량함과 演說을 위하여'라는 文句가 새겨졌다. [5]

아리스티데스는 미시아에 있는 全員 地域에서 隱居하며 末年을 보냈고, 書記 181年에 死亡했다. 아리스티데스 以後 世代를 산, 가장 有名한 古代 時代의 醫師 갈레노스 는 "靈魂이 本然的으로 强靭하고 肉體는 弱한 이들, 나는 그런 者를 거의 보지 못했다. 그런 者들 中 한 名이 아리스티데스였다... [그는] 가장 著名한 演說家였다. 그가 生涯 내내 가르침과 演說 活動을 했기에 그의 모든 肉身이 枯渴되어 버린 일이 일어난 것이다."라고 하였다. [6]

活動 [ 編輯 ]

亞일리우스의 '多方面의 書籍 出版...은 當時 그를 巨物로 만들었고', 그 以後 그의 作品 (公共 및 私的 行事를 위한 演說文, 論爭的 에세이, 歷史的 主題에 對한 演說文, 神들에 對한 讚揚 目的의 散文)에 對한 人氣는 그를 ' 헬레니즘 傳播에 있어 中樞的 人物'이라는 評價를 成立하게 했다 ( 글렌 바워삭 ). [7]

많은 소피스트들과 달리, 아리스티데스는 卽興的 말하기를 싫어했다. 필로스트라토스에 따르면, "그의 타고난 才能은 卽興的으로 말하는 쪽이 아니었기에, 그는 徹底한 檢討를 거친 後에 입을 열었다...그는 타고난 才能을 갖고 있었으며 無意味한 말을 그의 演說에서 精製해냈다."라고 하였다. 그가 스미르나에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를 만났을 때 皇帝는 그에게 演說을 要請했고, 아리스티데스는 "저는 演說을 마구 吐해내는 者가 아니라 完璧하게 하려는 者이기에, 오늘 主題를 提示하시고 來日 들으러 오십시오."라고 答하였다. [1]

스미르나에 對하여 아리스티데스의 現存하는 著作物 다섯 個가 남아있다. 그 첫 番째인, 都市를 訪問하는 官吏들을 위한 觀光 案內問議 一種인 '스미르나 演說'은 '古代 스미르나에 對한 最高의 描寫'를 傳한다. [8] 다른 著作物은 西紀 177年에 일어난 破壞的인 地震 戰後의 都市를 描寫하며, 여기에는 '스미르나에 關하여 皇帝에게 보낸 書信'이 있는데 當時 도움을 請하는 이 懇請을 읽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書信 위로 눈물을 흘렸다' 고 하며 感銘을 받았다고 하였다. [1]

'플라톤을 向하여: 4人을 擁護하며'에서, 아리스티데스는 '神을 믿지 않는 팔레스타인의 불경한 者들'들과 比較하며 한 群衆 무리를 嘲弄하며 批判하였다:

이 者들이 阿諂꾼이나 自由民만으로서 分類되어서는 안 된다. 그들이 阿諂꾼들 마냥 欺瞞을 하고, 마치 높은 地位에 있는 것처럼 無禮한데, 두 가지 極端的이고 兩班되는 惡, 卑劣함, 故意性과 聯關되어 있고 팔레스타인의 불경한 者들처럼 行動하기 때문이다. 그 者들의 佛經에 對한 證據는 이들이 神을 믿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특정한 方式에서 이 者들은 그리스 民族, 正確히는 高等한 그 모든 것들로부터 떨어져 나갔다. [9]

그의 가장 有名한 演說文은 '로마에 對하여'로, 그는 이를 로마에 있는 皇宮 앞에서 演說했는데, 演說 中에 아리스티데스는 '로마 帝國 그리고 그에 對한 意見 팍스 로마나 '를 讚美하고, [10] '로마의 業績에 對한 莊嚴한 靑寫眞을 그렸다.'. [7] "結論을 짓는 內容을 담은 한 句節은...로마 世界의 創造를 秩序 있는 宇宙의 創造와 比較하고 로마 世界를 神들이 즐거워 할 수 있는 完璧한 狀態로 表現하는데, 倭나하면 로마가 이런 것들에 眞心을 다하기 때문이다." [11] 이 演說은 '안토니누스 王朝에 對한 歷史의 友好的 評價의 基盤'이 되었을 것이며, 도미티아누스에서 콤무두스까지 期間이 人類史의 最大 幸福한 時期라고 한 기번 의 有名한 宣言에 令監을 미쳤다. [12]

神聖한 이야기 [ 編輯 ]

6卷으로 構成된 '神聖한 이야기'는 古典 名作이다. 治癒新 아스클레피오스가 꿈에서 아리스티데스에게 한 啓示들에 對한 記錄으로... 神殿 醫療들과 關聯된 風習들의 證據로서, 그리고 西歐圈에서는 非基督敎人 作家가 傳한, 個人의 宗敎的 經驗에 對한 直接的 記錄物로서 重要하다. [13] 현대 學界는 亞일리우스의 疾病 (眞짜이던 或은 想像에 依한 것이던)에 對한 屬性 및 그의 宗敎的 經驗에 對한 意味에 關한 擴張을 目擊했고, 多數의 學者들은 亞일리우스의 引上 管理에 精神分析學的 理論들을 適用시키고 여러 結論들에 到達하고 있다. [14]

各州 [ 編輯 ]

  1. Wright, II.9.
  2. Saavedra Monroy, Mauricio (2015). 《The Church of Smyrna: History and Theology of a Primitive Christian Community》. Frankfurt am Main: Peter Lang Edition. 42쪽. ISBN   9783631662359 .  
  3. Behr (1986), pp. 1-2.
  4. Behr (1968), p. 88.
  5. Behr (1968), p. 111, note 64.
  6. Behr (1968), p. 162.
  7. Hornblower, p. 160.
  8. Behr (1981), p. 356, note 1.
  9. Behr (1986), p. 275.
  10. Behr (1968), pp. 88-89.
  11. Oliver, p. 874.
  12. Grant, pp. 104 and 147.
  13. Hornblower, pp. 160-161.
  14. Petsalis-Diomidis (2010), p. 123.

參考 文獻 [ 編輯 ]

  • Behr, C.A., 1968. Aelius Aristides and the Sacred Tales . Amsterdam: Hakkert.
  • Behr, Charles A., trans., 1981. P. Aelius Aristides: The Complete Works , vol. 2 (published first). Leiden: Brill.
  • Behr, Charles A., trans., 1986. P. Aelius Aristides: The Complete Works , vol. 1 (published second). Leiden: Brill.
  • Grant, Michael, 1994. The Antonines: The Roman Empire in Transition . London & New York: Routledge.
  • Hornblower, Simon and Antony Spawforth, editors, 1996. The Oxford Classical Companion , Third Edition. Oxford Univ. Press.
  • Oliver, James H., 1953. "The Ruling Power: A Study of the Roman Empire in the Second Century after Christ through the Roman Oration of Aelius Aristides" (including full Greek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of the oration) in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 Vol. 43, No. 4 (1953), pp. 871?1003.
  • Petsalis-Diomidis, Alexia, 2010. Truly Beyond Wonders: Aelius Aristides and the Cult of Asklepios . Oxford Univ. Press (Oxford Studies in Ancient Culture & Representation).
  • Trapp, Michael, ed. and trans. Aelius Aristides: Orations, Volume I . Loeb Classical Library 533.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7.
  • Wright, Wilmer C., trans., 1922. Philostratus: Lives of the Sophists . Loeb Classical Libr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