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殲滅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殲滅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殲滅戰 (殲滅戰, battle of annihilation)은 決定的 戰鬪 에서 敵軍의 軍事的 能力을 物理的으로 完全히 破壞시키고자 하는 軍事戰略이다. 이 目標는 戰術的으로 意表를 찌르거나, 核心的인 瞬間에 壓倒的 兵力을 動員하거나, 其他 戰鬪 途中 또는 戰鬪 直前에 遂行한 戰術을 통해 可能해진다.

殲滅戰의 最終 目的은 敵의 軍事能力을 物理的으로 去勢함으로써 더 以上 攻擊的 이거나 防禦的인 軍事 行動을 할 수 없게 되자 敵國 政府가 首都를 비롯한 核心 地域을 빼앗기지 않고자 平和를 要請하게 만드는 것이다.

敵軍의 物理的 破壞란 赤軍 兵士 하나하나를 모두 죽이거나 捕虜로 잡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敵軍이 하나의 結合된 軍事 組織으로서 存在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有意味한 抵抗을(비록 一時的이라도) 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이 殲滅戰의 目的인 "破壞"이다.

意義 [ 編輯 ]

古代와 古典 時代에는 大部分의 戰鬪가 한 쪽의 全滅로 끝났다. 칸나에( Cannae ), 자마( Zama ) , 아드리아노 플( Adrianople) 戰鬪 가 有名한 例다. 그러나 르네상스 以後로 유럽에서는 '全滅 戰爭' 戰略이 더 以上 使用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유럽에서의 戰爭의 가장 큰 例外는 나폴레옹의 보나파르트 戰鬪에서 볼 수 있는데 , 現代的 意味의 '全滅戰鬪'와 가장 密接하게 聯關되어 있으며, "나폴레옹 全滅戰鬪"라는 用語가 때때로 使用된다. 아우스터리츠 戰鬪는 현대 絶滅 戰鬪의 模範으로 자주 引用된다.

아우스터리츠(1805)와 예나(1806)에서 나폴레옹의 勝利는 古典的인 絶滅 戰鬪의 例示로써 자주 引用된다. 나폴레옹 自身도 다시는 그러한 決定的인 結果를 얻을 수 없었다. 그의 敵들이 그의 戰術에 適應하기 始作했기 때문이다. 例를 들어, 보로디노 戰鬪는 勝利를 거두었지만 러시아 軍隊를 破壞하는 結果를 가져오지는 못했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