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說文解字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說文解字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說文解字 》(說文解字)는 中國 의 가장 오랜 自轉 (字典)으로, 中國 後漢 의 經學者(經學者)로 알려진 許愼 이 畢生의 努力을 기울여 著述한 冊으로 알려져 있다. 許愼은 油價 의 古典에 精通하였다고 傳해지면서 古典學者 家規(賈逵)에 師事했다는 過去에 注目하기도 한다. 內容을 보면 無慮 1萬餘 字에 達하는 漢字 하나하나에 對해, 本來의 글字 模樣과 뜻, 發音을 綜合的으로 解說한 冊이다.

特徵 [ 編輯 ]

漢字 를 처음 만들어질 때의 뜻과 模樣 그리고 獨吟 (讀音)에 對해 綜合的으로 解說한 中國 最初의 自轉 (字典)으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 冊은 漢字 의 字形(字形)을 硏究하는 文字學 (文字學), 子音(字音)을 硏究하는 聲韻學 (聲韻學), 者의(字義)를 硏究하는 訓詁學(訓?學), 그리고 油價 (儒家)의 經典 (經傳)을 硏究하는 經學 (經學) 等의 分野에서 必讀書로 손꼽히고 있다.

中國學 硏究의 精髓라고 일컫는 學者가 있을 만큼 中國 의 傳統的인 學問 分野에서 硏究되는 古典으로 特히 中國語學(中國語學) 分野에서는 經典(經典)으로 꼽힐 程度로 그 價値를 인정받고 있는 冊이다.

例를 들면 漢字 休(休)는 두 漢字를 合해 만든 會意字(會意字)인데 ‘人’과 ‘木’을 合해 ‘쉬다’는 뜻으로 《說文解字》는 사람이 나무에 依支해 쉬고 있다고 풀이한다. 곧 사람이 나무 아래에서 쉰다는 뜻이다.

犬(犬)의 옛글字를 보면 홀쭉한 배와 긴 다리인데 《說文解字》에서는 다리가 긴 개를 '犬'이라고 했다.

曲(谷)은 윗部分의 빗금은 물줄기가 흘러 내려오는 모습을 나타냈고, 아랫部分은 溪谷의 入口를 表現했는데 《說文解字》에서는 ‘穀(谷)’을 샘물이 나와 千(川)과 합쳐져 만들어진 골짜기를 뜻하고 (윗部分에) 水가 折半만 보이는데, ‘구멍에서 물이 나온다는 뜻이다.’ 라고 풀이했다.

이밖에 《說文解字》에 보면 철(鐵)은 黑金(黑金)이라 하고 鐵(鐵)字의 故字(鼓子)를「철(?)」라고 했다. 이를 直譯하면 곧「夷(李)의 쇠(金)」이라는 뜻으로 쇠는 이(夷)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夷)는 ‘쇠붙이를 처음 만들었다’고 하여 쇠 金(鐵)의 고어에 使用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렇듯이 許愼은 『說文解字痛惜(說文解字通釋)』을 통하여 글字마다 仔細한 풀이를 해주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