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選好投票制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選好投票制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選好投票 에서 넘어옴)

選好投票制의 投票用紙(例示)

選好投票制 (選好投票制, 英語 : ranked voting system, preferential voting, rank voting )는 有權者가 出馬한 候補 全員에 對해 選好 順位를 매겨 투표하는 制度의 하나이다.

매커니즘은 最下位 候補를 하나씩 빼는 式으로, 最終 1人의 當選者가 나올 때까지 決選投票를 無限히 反復하는 것. 그리고 그 作業을 候補者 選好 順位를 表記하는 것으로 단 1番의 投票로 簡素化시키는 것이다.

哲學者 존 스튜어트 밀 은 그의 著書 『大義政府論』에서 選好投票制에 對해 "政治에 있어서 偉大한 發見"이라고 極讚하며, 이 制度의 導入을 主唱한 바 있다.

方式 [ 編輯 ]

投票 方式

投票者는 投票用紙에 候補者 全員의 選好 順位를 記入한다.
예) 1順位 - 洪吉童, 2順位 - 李舜臣, 3順位 - 김유신, 4順位 - 임꺽정

開票 方式(當選者 決定 方式)

1. 各 投票者가 記入한 1順位 候補를 集計한다. 여기서 過半 得票者가 나오면 그를 當選者로 決定하고, 開票는 終了한다.
2. 過半 得票者가 나오지 않을 境遇 最低 得票者를 탈락시킨 뒤, 最低 得票者가 받은 票를 該當 票에 적혀 있는 2順位 候補들에게 分配하여 合算(再集計)한다. 이를 過半 得票者가 나올 때까지 反復한다.

用語 [ 編輯 ]

用語의 混線 [ 編輯 ]

《選好投票制》라는 用語와 《 短期 이양식 投票 制度 》라는 用語 간 意味의 混線이 있다. 一部 文獻들은 두 用語를 同義語로 取扱한다. 反面 相當數 文獻들은 選好投票 方式 [1] 이 小選擧區처럼 1人의 當選者를 選出하는 境遇에 使用되면 選好投票制라고 부르고, 中·大選擧區처럼 2人 以上의 當選者를 選出하는 境遇에 使用되면 短期 이양식 投票 制度라고 부른다. [2]

한便 이 文書에서는 後者의 方式에 따라 記述하였다. 따라서 이 文書에서의 選好投票制에 對한 說明은 小選擧區처럼 1人의 當選者를 選出하는 狀況을 前提하고 있다. 反面 選好投票 方式이 中·大選擧區처럼 2人 以上의 當選者를 選出하는 境遇에 使用될 때에 對해서는 短期 이양식 投票 制度 文書에서 說明한다.

IDEA(International Institute for Democracy and Electoral Assistance) 等의 資料에서는 選好投票制는 有權者들이 투표하는 方式을 이르며, 短期 이양식 投票 制度는 選好投票制를 活用한 議席 配分 方式의 하나인 것으로 整理하고 있다. 卽, 投票時 有權者들이 候補들에 對한 選好 順位를 매겨 투표하는 選好投票制를 小選擧區制와 結合시키는 것이 代案投票制, 或은 卽席決選透表制이며 中·大選擧區制와 結合시키는 것이 短期 이양식 投票 制度인 것이다. 이 文獻에서 選好投票制는 多數制의 한 種類이며 短期 이양식 投票 制度는 比例代表制의 한 種類인 것으로 나온다. [3] [4]

長點 [ 編輯 ]

選好投票制는 決選投票制 를 改善한 制度라고 해도 過言이 아니다. 따라서 選好投票制의 長點은 決選透表制와 對備해서 볼 때 잘 드러난다.

決選透表制에서와 同一한 長點 [ 編輯 ]

代表性 確保 [ 編輯 ]

選好투표제에서 當選者는 반드시 過半 得票를 하므로, 投票者의 絶對多數로부터 支持받은 者가 된다. 代表性이 確保된다고 할 수 있다.

辭表 發生率 抑制 [ 編輯 ]

辭表(死票)란 當選에 寄與하지 못한 票, 卽 結果的으로 落選者에게 던져진 票를 말한다. 單純 多數制에서는 假令 30%의 得票率로도 當選이 될 수 있다. 이 境遇 70%의 票는 師表가 되는 것이다. 辭表가 많이 나오면, 選擧 結果가 國民 全體의 意思와 동떨어질 可能性이 높다. 하지만 選好投票制를 採擇할 境遇, 當選者는 반드시 50%를 超過하는 得票를 하게 되므로 辭表를 50% 未滿으로 抑制할 수 있다.

콩도르세 敗者(예: 87年 노태우 候補)의 當選 不可能 [ 編輯 ]

總 100名의 有權者들을 세 候補 A, B, C에 對한 選好 順序에 依해 區分하면 아래와 같다. 假令 A>B>C 順으로 候補를 選好하는 有權者는 10名임을 아래 表를 통해 알 수 있다.

選好 順序 人員
① A>B>C 10名 40名
② A>C>B 30名
③ B>A>C 5名 35名
④ B>C>A 30名
⑤ C>A>B 0名 25名
⑥ C>B>A 25名

그리고 위 資料를 바탕으로 候補 間 一對一 對決을 할 境遇, 各 結果를 整理하면 아래와 같다.

一對一 對決 相對 結果
勝者 得票
A vs B B A: 40票(①+②+⑤) B: 60票(③+④+⑥)
A vs C C A: 45票(①+②+③) C: 55票(④+⑤+⑥)
B vs C C B: 45票(①+③+④) C: 55票(②+⑤+⑥)

위의 表에서 確認할 수 있듯이, A는 어느 누구와 一對一 對決을 하여도 진다. 이처럼 다른 모든 候補들과의 一對一 對決에서 지는 候補가 있을 詩, 그 者를 콩도르세 敗者 (Condorcet loser)라고 한다. 反面 C는 어느 누구와 一對一 對決을 하여도 이긴다. 이처럼 다른 모든 候補들과의 一對一 對決에서 이기는 候補가 있을 詩, 그 者를 콩도르세 勝者 (Condorcet winner)라고 한다. 卽 위의 境遇 A는 콩도르세 牌자고. C는 콩도르세 勝者다. 한便 콩도르세 勝者는 選好度가 가장 높은 候補, 콩도르세 敗者는 選好度가 가장 낮은 候補로 理解되고 있다. 그리고 많은 學者들은 공정한 投票制度가 갖춰야 할 條件의 하나로 '萬若 콩도르세 勝者가 있다면 그는 當選되어야 하고, 萬若 콩도르세 敗者가 있다면 그는 當選되어선 안된다.'를 提示하고 있다.

그런데 세 候補 間 3者 對決을 하면, 아래 表에서 보듯이 콩도르세 敗者인 A가 1位를 하여 當選되고, 콩도르세 勝者인 C는 꼴찌가 된다.

3者 對決 結果
勝者 得票
A vs B vs C A A: 40票(①+②) B: 35票(③+④) C: 25票(⑤+⑥)

이처럼 單純 多數決에 依한 投票制度, 卽 單純 多數制 [5] 에서는 候補가 3名 以上일 境遇, 콩도르세 敗者가 當選되거나, 콩도르세 勝者가 落選되는 異常한 일이 벌어질 수도 있다. 代表的인 事例가 1987年 大韓民國 大統領 選擧 다. 當時 與圈에선 盧泰愚 候補가, 野圈에선 金永三 候補와 金大中 候補가 出馬하였다. [6] 各 候補에 對한 支持도 資料에 依하면, 김영삼 候補는 노태우 候補와의 一對一 맞對決에서 이길 뿐만 아니라 김대중 候補와의 一對一 맞對決에서도 이기는 것으로 分析되었다. 反面 노태우 候補는 다른 두 候補와의 一對一 맞對決에서 지는 것으로 分析되었다. 卽 김영삼 候補는 콩도르세 勝者, 노태우 候補는 콩도르세 敗者였다. 따라서 當時 노태우 候補는 選好度가 가장 낮은 候補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選擧 結果, 콩드르歲 敗者인 노태우 候補가 36.6%의 票를 얻어 大統領에 當選되었다.

그런데 萬若 選擧가 選好投票制로 치러진다면, 콩도르세 敗者의 當選은 不可能하다. 理由를 說明하면 다음과 같다. 選好투표제에서 當選되기 위해서는 過半 得票를 해야 한다. 그런데 콩도르세 敗者는 그 槪念 正義上, 다른 候補와의 兩者對決에서 過半 得票를 할 수 없는 者이다. 한便 兩者對決에서조차 過半得票가 不可能하므로 多者對決에서는 當然히 過半 得票가 不可能하다. 따라서 選好투표제에서 集計가 거듭되면서 다른 候補들과의 多者對決이 펼쳐지든, 特定 候補와의 兩者 對決이 펼쳐지든 콩도르세 敗者는 過半 得票를 할 수 없고, 當選 不可能하다. 그러므로 萬若 위 1987年의 選擧에 選好投票制가 採擇되어 있었다면, 콩도르세 敗者인 노태우 候補의 當選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決選投票制 對備 長點 [ 編輯 ]

2回 投票 不必要 [ 編輯 ]

決選投票制는 投票를 두 次例 實施해야 할 수도 있다. 反面 選好投票制는 한 次例의 投票만 하면 된다. 따라서 選好投票制는 決選透表制와 달리 投票를 두 次例 實施해야 함에 따른 번거로움이 없고, 諸般 費用이 적게 들 수도 있다.

個別 有權者 選好의 보다 精密한 反映 [ 編輯 ]

決選投票制下에서는 1次 投票에서 여러 名의 候補가 한꺼번에 脫落될 수도 있다. 따라서 特定 有權者의 立場에서는 1次 投票에서 投票한 自身의 1順位 候補뿐 아니라 自身의 2順位 候補도 1次 投票에서 同時에 탈락해버릴 수가 있다. 이 境遇 該當 有權者는 2次 投票에서 自身의 2順位 選好를 表로 標示하여 投票 結果에 反映시킬 方法이 없다.

反面 選好投票制는 當選者가 決定될 때까지 한 番의 集計마다 最低得票子 한 名씩을 탈락시킨다. 따라서 選好投票制下에서의 有權者에겐 自身의 1順位 候補와 2順位 候補가 어느 集計에서 同時에 탈락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自身의 1順位 候補가 어느 集計에서 脫落하더라도, 그 다음 集計에서 自身의 2順位 選好를 結果에 反映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2順位 候補가 어느 集計에서 탈락해도, 3順位 選好를 그 다음 集計에서 結果에 反映시킨다. 이처럼 當選者가 決定될 때까지 自身의 先順位 候補가 脫落하더라도 車順位 選好를 다음 集計結果에 反映할 수 있다. 卽 選好投票制는 決選透表制보다 個別 有權者의 選好를 훨씬 精密하게 反映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른 效果로서 有權者의 辭表防止心理 作動의 餘地도 줄여준다. 具體的인 例를 들어 說明하면 아래와 같다.

具體的인 예

假令 決選透表制로 치러지는 選擧에 A, B, C, D가 出馬하였는데, 1次 投票 結果 A와 B가 決選에 進出했고, C와 D는 各各 3位, 4位가 되어 탈락했다고 하자. 이 境遇 1次 投票에서 D에게 투표했던 有權者들 中에는 'D를 가장 選好하고, 2順位로 C를 選好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自身의 2順位 選好를 投票로 表示할 方法이 없다. 왜냐하면 C는 1次 投票에서 脫落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投票 前에 實施한 輿論調査에서도 C가 3位, D가 4位로 나타났다면 'D를 가장 選好하고, 2順位로 C를 選好'하는 有權者들 中에는 辭表防止心理에 依해 D에 對한 投票를 抛棄하고, 그나마 D보다는 決選進出 可能性이 높다고 判斷되는 C에게 투표하는 境遇도 있을 것이다.

反面 똑같은 境遇 選好投票制下에서는 1次 集計에서 D만을 탈락시킨다. 그리고 1順位로 D를 찍었던 有權者들의 票는 師表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2順位로 찍은 候補들에게 分配된다. 假令 1順位로 D를, 2順位로 C를 찍은 有權者들의 票는 C가 1次 集計에서 얻은 票와 합쳐져 재집계된다. 따라서 앞서 본 決選透表制에서의 境遇와 달리 'D를 가장 選好하고, 2順位로 C를 選好'하는 有權者들의 該當 選好는 2次 集計에 反映된다. 또한 投票 前에 實施한 輿論調査에서 設令 D가 4位로 나타났더라도, D를 가장 選好하는 有權者들로선 師表가 될까봐 두려운 마음에 D에 對한 1順位 投票를 抛棄(辭表防止心理에 따른 選擇)할 理由가 없다. 왜냐하면 實際 1次 集計에서 D가 4位가 되어 탈락하면 D를 1順位로 찍었던 有權者들의 票는 師表가 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 集計에서 그들의 2順位 候補에게 分配되어 結果에 反映되기 때문이다.

短點 [ 編輯 ]

決選透表制에서와 同一한 短點 [ 編輯 ]

單調性 條件 不充足 [ 編輯 ]

學者들이 말하는 공정한 投票制度가 갖춰야 할 條件 中 한 가지가 單調性인데, 어떤 候補에 對한 支持가 늘어났으면 그 候補가 不利해지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選好投票制는 (決選透表制와 마찬가지로) 이 單調性 條件에 違背되는 境遇가 存在한다. 具體的 事例를 들면 아래와 같다.

事例

選好投票制로 치러지는 選擧에 A, B, C 가 出馬했다. 總 100名의 有權者가 투표하는데, 이들을 候補들에 對한 選好 順序에 따라 區分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의 表에서 假令 A>B>C 라는 것은 A를 가장 選好하고, 그 다음으로 B, C의 順序로 選好한다는 뜻이다.)

選好 順序 人員
A>B>C 10名 40名
A>C>B 30名
B>A>C 9名 33名
B>C>A 24名
C>A>B 11名 27名
C>B>A 16名

萬若 이대로 選擧가 치러진다면, 1次 集計에서는 A가 40票, B가 33票, C가 27票를 얻어 C가 탈락하고, C가 받은 票는 A와 B에게로 分配된 뒤, 2次 集計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2次 集計에선 A가 B를 누르고(A: 51票, B: 49票) 當選된다. 그런데 選擧日을 앞두고 A가 쓴 冊이 큰 人氣를 끄는 바람에 A를 支持하는 사람이 더 늘어났다고 하자. 支持者가 늘었으니 當然히 A의 當選이 더욱 더 確固해져야 한다. 그러나 選好投票制에서는 支持者가 늘어나는 것이 오히려 逆效果를 낼 수가 있다. 예컨대 冊 出版 後에 A를 支持하기로 마음을 바꾼 사람들이 모두 前에는 B를 支持하던 사람들, 그 中에서도 B>A>C의 選好 順序를 가진 사람들이었다고 하자. 그렇게 되면 1次 集計 結果, A가 49票, B가 24票, C가 27票를 얻어 B가 탈락하고, B가 받은 票는 A와 C에게로 分配된 뒤, 2次 集計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2次 集計에서는 C가 A를 누르고(A: 49票, C: 51票) 當選된다. 結局 A에 對한 支持度가 높아졌는데, 이 때문에 A가 탈락하게 되는 異常한 일이 벌어진 것이다.

콩도르세 勝者의 落選 可能 [ 編輯 ]

學者들은 공정한 投票制度가 갖춰야 할 條件으로 위에서 說明한 單調性을 包含하여 共通的으로 세 가지 條件을 提示한다. 그 밖에 많은 學者들은 콩도르세 條件을 追加하기도 한다. 콩도르세 條件은 '萬若 콩도르세 勝者가 있다면 그는 當選되어야 하고, 萬若 콩도르세 敗者가 있다면 그는 當選되어선 안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위 長點 文壇에서 說明하고 있듯이, 選好투표제에서 콩도르세 敗者의 當選은 不可能하다. 하지만 (決選透表制와 마찬가지로) 콩도르세 勝者의 落選은 일어날 수 있다. 具體的인 事例를 들어 說明하면 다음과 같다.

事例

選好投票制로 치러지는 選擧에 A, B, C 가 出馬했다. 總 100名의 有權者가 투표하는데, 이들을 候補들에 對한 選好 順序에 따라 區分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의 表에서 假令 A>B>C 라는 것은 A를 가장 選好하고, 그 다음으로 B, C의 順序로 選好한다는 뜻이다.)

選好 順序 人員
A>B>C 10名 40名
A>C>B 30名
B>A>C 5名 35名
B>C>A 30名
C>A>B 15名 25名
C>B>A 10名

이 境遇, 萬若 C가 A와 一對一 對決을 하면 C가 55票, A가 45票를 얻어 C가 이긴다. 또한 B와 一對一 對決을 하여도 C가 55票, B가 45票를 얻어 C가 이긴다. 따라서 C는 콩도르세 勝者다.

그런데 萬若 3者 對決이 펼쳐진다면 異常한 일이 벌어진다. 卽 A가 40票, B가 35票, C가 25票를 얻어 C는 3位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選好投票制로 펼쳐지는 위 選擧에서 C는 1次 集計에서 最低 得票者가 되어 탈락한다. 卽 콩도르세 勝者가 落選한다. 콩도르세 條件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기타 [ 編輯 ]

많은 候補가 出馬하는 境遇 有權者들이 모든 候補들을 認知해 選好 順序를 定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開票過程이 複雜하여 時間이 오래걸릴 수가 있다.

2002年 프랑스 大選이 選好投票制로 치러졌다면? [ 編輯 ]

프랑스 의 大統領 選擧는 決選投票制 로 치러진다. 卽 1次 投票에서 過半 得票者가 없을 境遇, 1次 投票의 上位 2名만을 對象으로 決選投票를 치른다.

한便 2002年 大統領 選擧를 앞둔 프랑스에서는 當時의 各種 資料를 볼 때, 左派 支持者가 右派 支持者보다 훨씬 많았다. 卽 右派의 執權보다 左派의 執權을 바라는 有權者가 많았다. 따라서 當時 選擧에선 左派 候補의 當選이 多數의 意思에 符合하는 結果였다. 그리고 그것이 多數決을 原則으로 하는 民主主義에 符合하는 結果라고 할 것이다. 하지만 當時 左派 候補가 亂立하는 바람에 左派 支持者들의 票가 分散되었다. 結局 左派 候補는 아무도 決選에 오르지 못하고, 右派 候補 2名만이 決選에 進出하였다. 當時 1次 投票에서 左派 候補들의 得票率 總合은 無慮 60%를 넘었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프랑스 有權者들은 決選에서 右派 候補들 中에서만 한 名을 擇해야 하는 아이러니한 狀況을 맞은 것이다.

萬若 當時 最低 得票者를 탈락시키는 選擧를 反復해서 했다면, 左派 候補가 最終 當選되었겠지만, 이 方式은 지나치게 번거롭다는 問題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번거로움을 解決해주는 制度가 바로 選好投票制다. 卽 2002年 프랑스 大選이 決選透表制가 아니라 選好投票制로 치뤄졌다면, 左派 候補가 當選되어 多數의 意思에 符合하는 結果가 나왔을 것이다.

2002年 프랑스 大選을 選好投票制로 치렀을 境遇의 시뮬레이션
1. 前提
  • 2002年 프랑스 大統領 選擧가 選好投票制로 치러졌다고 假定하자.
  • 選擧에 總 m名의 候補(P1, P2, ..., Pn, Pn+1, ..., Pm)가 出馬했다. 候補들 中 (P1, P2, ..., Pn)은 左派 候補이고, 나머지 (Pn+1, ..., Pm)은 右派 候補이다.
  • 左派 候補는 2名 以上, 右派 候補 亦是 2名 以上이다. [7]
  • 左派 支持者는 任意의 左派 候補 a와 任意의 右派 候補 b에 對하여, a를 b보다 選好한다. [8]
  • 全體 投票者의 過半은 左派 支持者다.
  • 選好投票制는 過半 得票者(當選者)가 나올 때까지 한 番의 集計마다 最低 得票者 한 名씩을 탈락시킨다. 이때의 脫落을 以下에서는 中道脫落이라고 부르기로 하자.
2. 集計 結果
가. 1次 集計

左派 支持者의 票는 左派 候補들에게로 分散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左派 支持者의 票를 合하면 全體 票의 過半이다. 따라서 右派 候補들 中에는 過半 得票者(當選者) 있을 수 없다. 反面 左派 候補들 中에서는 過半 得票者가 있을 수도 있는데, 萬若 過半 得票者가 있다면 그 者가 當選者로 決定되고 集計는 終了된다.

나. 2次 集計 以後

1次 集計에서 過半 得票者가 없으면 最低 得票者를 탈락시키고 2次 集計, 그래도 過半 得票者가 없으면 또 最低得票者를 탈락시키고 3次 集計 等 再集計가 進行된다. 하지만 再集計를 하여도 左派 候補들 中에 中道脫落者가 없는 限, 위와 똑같다. 卽 全體 票의 過半에 該當하는 左派 支持者들의 票를 左派 候補들이 모두 차지하고 있으므로, 右派 候補들 中에서는 過半 得票者가 있을 수 없다.

또한 設令 左派 候補들 中에서 中道脫落者가 發生하여도, 該當 脫落者가 받은 票 中 左派 支持者로부터 받은 票는 左派 候補들 中 脫落되지 않고 남아 있는 候補들에게 移轉되어 합쳐질 것이다. 그리하여 結局 全體 票의 過半에 該當하는 左派 支持者들의 票는 如前히 左派 候補들(勿論 그 中 中道脫落者는 除外)가 가진다. 따라서 如前히 右派 候補들 中에는 過半 得票者가 있을 수 없다. 反面 左派 候補들(勿論 그 中 中道脫落者는 除外) 中에는 過半 得票者가 있을 수도 있는데, 萬若 過半 得票者가 있다면 그 者가 當選者로 決定되고 集計는 終了된다.

한便 過半 得票者가 나오지 않아 再集計가 거듭되면서 左派 候補들이 한 名씩 中道脫落하고, 左派 候補들 中 單 한 名만이 남게 된다면, (全體 票의 過半을 차지하는) 左派 支持者들의 票는 그 한 名의 左派 候補가 다 갖게 된다. 그리고 그 境遇 그 者는 當然히 過半 得票者이므로 當選이 되고, 集計는 終了된다.

要컨대 1次 集計든, 2次 集計 以後든 左派 候補들이 두 名 以上 남아 있는 限, 當選者는 左派 候補들 中에서 나오면 나왔지 右派 候補들 中에서는 나올 수 없다. 그리고 左派 候補들이 한 名씩 中道脫落하여 單 한 名만 남게 될 境遇엔 그 者가 當選者가 되고 集計는 終了된다. 따라서 어떠한 境遇에도 右派 候補들 中에서는 當選者가 나올 수 없다.

3. 結論

2002年 프랑스 大統領 選擧가 選好投票制로 치러졌다면, 左派 候補들 中에서 當選者가 나왔을 것이다.

採擇 國家 [ 編輯 ]

中央 議會에서 이 方式을 採擇한 境遇는 濠洲 의 下院選擧 [9] 가 代表的이다. 美國 에서는 一部 州에서 使用되고 있으며, 버락 오바마 前 美國 大統領은 上院 議員 時節 選好投票制를 美國 全 地域에 導入하자고 主張하며 關聯 法案을 發議한 적 있다. 또한 美國의 代表的 映畫 施賞式人 아카데미 作品賞 投票에도 選好投票制가 採擇되어 있다.

大韓民國 에서는 2002年 民主黨 大統領 候補 決定 過程에서 部分的으로 援用되었고, 2004年 열린우리당의 大韓民國 第17代 國會議員 選擧 黨內 競選과 2014年 새정치민주연합의 7.30 再補闕選擧 黨內 競選에서 活用되었다.

變形된 選好投票制 [ 編輯 ]

選好투표제에서 投票者는 候補者 全員의 選好 順位를 標示해야 한다. 假令 10名이 出馬했으면 投票者는 1順位 候補부터 10順位 候補까지 表示해야 한다. 그런데 出馬者가 너무 많으면 選好 順位를 標示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選好 順位 標示를 投票者가 願하는 만큼만 하도록 할 수 있다. 假令 10名이 出馬한 選擧에서 3順位 候補까지만 表示하고 싶은 사람은 3順位 候補까지만 標示하고, 10順位 候補까지 모두 表示하고 싶은 사람은 그렇게 하는 式이다. 이 境遇 集計가 거듭됨에 따라 더 以上의 移轉이 不可能한 票가 나올 수 있는데 [10] , 該當 票는 以後 集計에선 無效票로 處理한다.

한便 候補者 全員의 選好 順位를 적게 하되, 1次 集計에서 過半 得票者가 없을 境遇, 1次 集計의 1位, 2位만을 남기고 나머지 모두를 탈락시킨 뒤, 脫落者들이 받은 票는 各 表에 미리 적혀 있는 選好 順位에 依해 1次 集計의 1位 또는 2位에게 移轉하는 方式으로 分配하여 2次 集計를 하는 方法이 있다. 이는 그야말로 卽席決選透表制 다.

보르다 投票制와의 差異 [ 編輯 ]

보르다 投票制 는 18世紀 프랑스의 數學者인 보르다(Borda)가 創案안 方式이다. 이 方式에서는 有權者가 매긴 選好 順位에 點數를 매긴다. 假令 1順位는 4點, 2順位는 3點, 3順位는 2點, 4順位는 1點 等으로 點數를 附與한다. 그리하여 가장 많은 點數를 얻은 候補가 當選되는 方式이다. 候補者 全員에게 選好 順位를 매긴다는 點에서는 選好投票制와 類似하지만 選好投票制와 달리 여러 番의 開票가 必要없다. 보르다 計算法(Borda count)이라고도 불린다. 美國의 메이저리그 野球에서는 MVP를 選定할 때 이와 같은 方法을 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① 投票時 有權者들이 候補 全員에 對해 選好 順位를 매김 ② 開票時 當選者가 決定될 때까지 最低得票子 한 名씩을 脫落시키되, 脫落者가 받은 票는 脫落되지 않고 남아 있는 候補들에게 以前函
  2. 假令, 《大統領選擧 決選投票制 導入論議와 代案의 摸索 "變形된 選好投票制(Modified AV)"를 提案하며, 김종갑, 韓國選擧學會 發刊 選擧硏究 4卷1號 (2014), pp.23》
  3. 《民主主義 發展을 위한 多數制와 比例代表制의 比較 硏究》, 高麗大學校 平和와 民主主義 硏究所, 中央選擧管理委員會 硏究用役 報告書 (2015), pp.24-25
  4. Bormann, Nils-Christian and Matt Golder. 2013. “Democratic Electoral Systems around the World, 1946?2011.” Electoral Studies 32: 360?369.
  5. 相對 多數, 卽 (過半 得票 等의 與否와 關係없이) 相對的으로 多數의 得票를 한 者를 當選者로 定하는 制度. 現行 大韓民國 大統領 選擧가 이 方式으로 치러진다.
  6. 이 밖에도 群小 候補들이 더 있었으나, 論議의 便宜上 위 3名의 候補만 있었다고 假定하고 說明한다.
  7. 卽 n과 m 모두 2以上의 自然數
  8. 이들은 投票用紙의 1順位부터 n順位까지를 左派 候補들만으로 채울 것이다. 예) 1順位: P2, 2順位: Pn, ..., n順位: P1, (n+1)順位: Pm , ..., m順位: Pn+1
  9. 濠洲의 下院選擧는 小選擧區制다. 反面 濠洲의 上院選擧는 中·大選擧區制로서 短期 이양식 投票 制度 가 實施된다.
  10. 假令 1順位 選好 候補만 表示한 사람의 票는 該當 候補者가 最低得票를 하여 탈락하면 다음 集計에서 다른 候補로의 移轉이 不可能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