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生成物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生成物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生成物 (生成物, 英語 : product )은 化學 反應 으로 形成되는 化學種 이다. [1] 化學 反應이 일어나는 동안 反應物 은 高에너지 轉移 狀態 를 通過한 後 生成物로 轉換된다. 反應物은 化學 反應을 통해 消費된다. 化學 反應은 自發的인 反應일 수도 있고, 轉移 狀態의 에너지를 낮추는 觸媒 에 依해 매개되거나 反應이 일어나기 위해 必要한 化學的 環境을 提供하는 溶媒 에 依해 매개될 수도 있다. 化學 反應式 으로 表現될 때, 可逆 反應 인 境遇에도 生成物은 慣例에 따라 오른쪽에 表記한다. [2] 에너지와 같은 生成物의 特性은 反應이 에너지 放出反應 認知 에너지 吸收反應 認知와 같은 化學 反應의 몇 가지 特性들을 決定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生成物의 特性은 特히 生成物이 反應物과 다른 物質 狀態 일 境遇 化學 反應에 따라 抽出하고 整齊하는 것을 더 쉽게 할 수 있다. 反應物 은 化學 反應을 일으키는데 使用되는 化學種이다. 化學 反應에서 原子 는 生成되거나 破壞되지 않는다. 反應物은 化學 反應 中에 再配置된다.

化學 硏究의 相當 部分은 有益한 生成物의 合成 및 特性 分析, 바람직하지 않은 生成物의 檢出 및 除去에 焦點을 맞추고 있다. 合成化學者는 새로운 化學 物質을 設計하고 化學 物質 合成을 위한 새로운 方法을 開拓하는 硏究化學者와 化學 物質의 生産을 擴大하고 安全하고 보다 環境的으로 持續可能하며, 더 效率的으로 過程을 만드는 工程化學者로 細分化될 수 있다. [3] 다른 分野로는 살아있는 生物에 依해 만들어진 生成物을 分離하고, 이러한 生成物을 특징짓고 硏究하는 天然物化學者들이 있다.

反應의 決定 [ 編輯 ]

化學 反應의 生成物은 反應의 몇 가지 側面에 影響을 미친다. 生成物이 反應物보다 에너지가 낮으면, 反應은 에너지 放出反應 이 된다. 에너지 放出反應은 熱力學的으로 유리하며, 自發的으로 일어나는 傾向이 있다. 그러나 反應의 動力學 이 充分히 높으면, 反應이 너무 느리게 일어나거나 아예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大氣壓 에서 다이아몬드 가 低에너지 狀態의 黑鉛 으로 轉換되는 境遇로, 이러한 反應에서 다이아몬드는 準安定 狀態로 看做되며 黑鉛으로 轉換되는 것이 實際로 觀察되지는 않을 것이다. [4] [5]

生成物이 反應物 보다 化學 에너지 가 더 높을 境遇, 反應을 進行시키는데 에너지가 投入되므로 에너지 吸收反應 이 된다. 또한 生成物이 反應物보다 安定하지 못한 境遇, 레플러의 家庭(Leffler's assumption)은 轉移 狀態 가 反應物보다 生成物과 더 類似할 것이라고 假定한다. [6] 때때로 生成物은 反應物과 相當히 다를 境遇, 例를 들면 反應物이 溶解 될 때, 生成物이 不溶性이거나 溶液 에서 沈澱 되는 境遇와 같이 反應 後에 쉽게 精製될 수 있다.

歷史 [ 編輯 ]

19世紀 中盤 以來로 化學者 들은 化學 物質 을 合成하는데 沒頭해왔다. [7] 天然物 化學者와 같이 生成物의 分離와 特性을 硏究하는데 焦點을 맞춘 分野는 現場에서 如前히 重要하며, 合成化學者들과 함께 天然物化學者들의 成果들은 오늘날 化學 을 理解하는데 많은 寄與를 하였다. [7]

化學 合成 의 大部分은 새로운 合成 技術의 發見 뿐만 아니라 新藥의 설게와 生成에서 發生하는 새로운 化學 物質의 合成과 關聯이 있다. 2000年代 初부터 公正化學은 化學 合成을 産業的인 水準으로 擴張하고, 이러한 過程들을 보다 效率的이고, 安全하며, 環境的으로 責任있게 만드는 方法들을 찾는데 焦點을 맞춘 合成化學의 뚜렷한 分野로 浮上하기 始作했다. [3]

生化學 [ 編輯 ]

落테이스 (酵素)에 依한 二糖類 젖糖 (기질)李 單糖類 갈落토스 (生成物)와 葡萄糖 (生成物)으로 轉換되는 過程

生化學 에서 酵素 氣質 을 生成物로 轉換시키는 生物學的 觸媒 로 役割을 한다. [8] 例를 들어 落테이스 의 生成物은 갈落토스 葡萄糖 이며, 氣質인 젖糖 으로부터 生成된다.

  • 여기서 S는 氣質이고, P는 生成物이며, E는 酵素이다.

生成物 多重機能性 [ 編輯 ]

어떤 酵素들은 單一 氣質을 여러 가지의 다른 生成物들로 전환시키는 一種의 多重機能性(promiscuity)을 나타낸다. 이것은 反應이 다양한 生成物들로 分解될 수 있는 高에너지 轉移 狀態 를 통해 일어날 때 發生한다. [9]

生成物 沮害 [ 編輯 ]

어떤 酵素 들은 反應의 生成物이 酵素와 結合하고, 酵素의 活性을 감소시키는 것에 依해 沮害 된다. [10] 이것은 代謝 經路 를 調節하는 陰性 피드백 의 한 形態로서 大使 의 調節에 重要할 수 있다. [11] 이 效果를 克服하면 生成物의 生産量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生成물 沮害는 生命工學技術 分野의 重要한 主題이다. [12]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McNaught, A. D.; Wilkinson, A. (2006). 《[product]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doi : 10.1351/goldbook . ISBN   978-0-9678550-9-7 .  
  2. McNaught, A. D.; Wilkinson, A. (2006). 《[chemical reaction equation]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doi : 10.1351/goldbook . ISBN   978-0-9678550-9-7 .  
  3. Henry, Celia M. “DRUG DEVELOPMENT” . Chemical and Engineering News . 2014年 9月 13日에 確認함 .  
  4. McNaught, A. D.; Wilkinson, A. (2006). 《[diamond]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doi : 10.1351/goldbook . ISBN   978-0-9678550-9-7 .  
  5. McNaught, A. D.; Wilkinson, A. (2006). 《[metastability]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doi : 10.1351/goldbook . ISBN   978-0-9678550-9-7 .  
  6. McNaught, A. D.; Wilkinson, A. (2006). 《[metastability]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doi : 10.1351/goldbook . ISBN   978-0-9678550-9-7 .  
  7. Yeh, Brian J; Lim, Wendell A (2007). “Synthetic biology: lessons from the history of synthetic organic chemistry”. 《Nature Chemical Biology》 3 (9): 521?525. doi : 10.1038/nchembio0907-521 . PMID   17710092 .  
  8. Cornish-Bowden, A (2013年 9月 2日). “The origins of enzyme kinetics.”. 《FEBS Letters》 587 (17): 2725?30. doi : 10.1016/j.febslet.2013.06.009 . PMID   23791665 .  
  9. Yoshikuni, Y; Ferrin, TE; Keasling, JD (2006年 4月 20日). “Designed divergent evolution of enzyme function.”. 《Nature》 440 (7087): 1078?82. Bibcode : 2006Natur.440.1078Y . doi : 10.1038/nature04607 . PMID   16495946 .  
  10. Walter C, Frieden E (1963). 《The prevalence and significance of the product inhibition of enzymes》. 《Adv. Enzymol. Relat. Areas Mol. Biol.》. Advances in Enzymology - and Related Areas of Molecular Biology 25 . 167?274쪽. doi : 10.1002/9780470122709.ch4 . ISBN   978-0-470-12270-9 . PMID   14149677 .  
  11. Hutson NJ, Kerbey AL, Randle PJ, Sugden PH (1979). “Regulation of pyruvate dehydrogenase by insulin action”. 《Prog. Clin. Biol. Res.》 31 : 707?19. PMID   231784 .  
  12. Schugerl K, Hubbuch J (2005). “Integrated bioprocesses”. 《Curr. Opin. Microbiol.》 8 (3): 294?300. doi : 10.1016/j.mib.2005.01.002 . PMID   159393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