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皮 組織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上皮組織 에서 넘어옴)

上皮
各種 上皮. 各各 사람 輸尿管 , , 訃告宦官 , 그리고 고양이 網膜色素上皮 를 나타내었다.
情報
識別子
라틴語 epithelium
英語 epithelium
MeSH D004848
TH H2.00.02.0.00002
FMA 9639

上皮 組織 (上皮組織, 英語 : epithelium )은 結合組織 , 筋肉組織 , 神經組織 과 더불어 動物의 네 가지 基本 組織 에 屬한다. 動物의 體表나 體腔 및 冠狀 將棋의 內部 表面을 덮는 組織, 그리고 內分泌샘 外分泌샘 等 샘을 이루는 組織이 上皮 組織에 該當한다. [1] 털·손톱·발톱·齒牙 等의 構造 亦是 上皮 組織이 變한 것이다.

上皮 組織은 다양한 機能을 遂行한다. 物質을 內腔 으로 分泌하는 샘上皮나 物質을 內腔으로부터 吸收하는 所長 上皮의 境遇처럼, 몸 안팎의 物質 交換은 上皮 組織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呼吸系統 의 境遇처럼 上皮細胞의 纖毛에 依해 上皮 表面을 따라 物質이 運送되기도 한다. 皮膚 膀胱 의 相避는 外部 刺戟으로부터 몸을 保護하는 機能을 하며, 粘膜이나 網膜 의 相避는 外部 刺戟을 받아들이고 傳達하는 感覺 受容體로 기능한다. [1]

形態 [ 編輯 ]

上皮 組織은 다음과 같은 形態的 特徵을 갖는다.

  • 細胞 들이 가까이 붙어 있으며, 다양한 細胞延接 을 통해 서로 結合되어 있다.
  • 基底膜 또는 바닥膜(basement membrane)이 存在하여 上皮와 周邊 組織을 區分해 준다.
  • 各 細胞는 極盛(polarity)이 있어, 內腔과 맞닿은 自由면(free surface) 或은 꼭대기面(apical surface), 이웃 細胞와 맞닿은 街쪽面(lateral surface), 그리고 基底膜과 맞닿은 바닥面(basal surface)으로 細胞의 表面을 區分할 수 있다.

細胞끼리 密集해 있고 서로 結合하려는 性質을 갖고 있다는 點은 上皮 組織의 가장 큰 特徵이다. 上皮 組織을 各自 分離시킨 뒤 그냥 놓아두면 細胞는 다시 元來대로 結合한다. 이와 같은 性質은 다른 組織 細胞에서는 全혀 볼 수 없는 現象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組織 細胞가 마치 上皮 組織처럼 서로 結合되어 있을 境遇에는 이를 有(類)上皮 또는 上皮模樣(epitheloid) 組織이라고 하며, 結合하는 性質을 어떤 理由로 2次的으로 獲得한 境遇에는 上皮化했다 또는 上皮 兩邊性을 일으켰다고 한다. 上皮模樣 組織은 많은 內分泌샘에서 觀察할 수 있으며, 感染 等 특정한 境遇에는 큰飽食細胞 가 이와 같은 組織을 形成하기도 한다. [1]

上皮細胞의 꼭대기面, 街쪽面, 바닥面은 形態的·機能的 特徵이 서로 다르다. 어떤 組織에서는 各 表面에 特秀한 構造가 發達하기도 한다. 各 表面의 形態的 特徵을 다음과 같이 整理할 수 있다.

꼭대기面 [ 編輯 ]

꼭대기面은 上皮와 內腔이 맞닿은 面을 가리킨다. 一部 上皮細胞는 꼭대기面에 微細絨毛, 不動纖毛, 纖毛 等 突出된 構造가 存在한다.

微細絨毛 [ 編輯 ]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소장 상피의 미세융모가 매우 밀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구조는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줄무늬가장자리로 나타난다.
所長 上皮의 微細絨毛

微細絨毛(microvilli)는 上皮細胞 꼭대기面으로부터 突出된 1-2 μm 길이의 構造로, 中心部에 에스핀(espin), 핌브린(fimbrin) 等의 蛋白質을 통해 서로 連結된 액틴 微細纖維 다발이 位置한다. 主로 內腔으로부터 물·電解質·營養素 等을 吸收하는 組織에 微細絨毛가 存在하는 境遇가 많은데, 代表的으로 腎臟 細尿管 및 所長의 上皮가 여기에 該當한다. 特히 이들 組織의 微細絨毛는 서로 매우 가깝게 密集해 있어, 꼭대기麵의 表面的을 15-30倍까지 넓힌다. 光學 顯微鏡 으로 觀察할 때, 密集된 微細絨毛는 上皮와 內剛의 境界 部位에 뚜렷한 區分線을 形成한다. 이 區分線을 솔가장자리 라고 부르며, 所長 上皮에 나타나는 솔가장자리를 줄무늬가장자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2] [3]

不動纖毛 [ 編輯 ]

不動纖毛(stereocilia, stereovilli)는 微細絨毛와 비슷하게 上皮細胞 꼭대기面으로부터 突出된 構造이며, 핌브린 蛋白質을 통해 相互 連結된 액틴 微細纖維 다발이 中心部에 位置한다. 하지만 微細絨毛와 달리 不動纖毛는 길이가 10-50 μm 程度로 훨씬 길고 運動性度 없다. 定款 近位部 및 副睾丸 의 上皮細胞, 그리고 속귀 털細胞 에서 不動纖毛를 觀察할 수 있다. 男性 生殖系統에서 不動纖毛가 어떤 機能을 하는지 明確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副睾丸의 不動纖毛는 上皮 表面的을 넓혀 亭子 發生 過程에서 物議 再吸收를 促進하는 것으로 推定된다. 속귀 感覺上皮의 不動纖毛는 細胞까지 傳達된 소리 振動에 依해 꺾일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機械的 變形에 依해 칼륨 이온이 流入되면 細胞가 脫分極되고 聽覺 信號 傳達이 開始된다. [2] [3]

纖毛 [ 編輯 ]

세기관지의 가로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에서 세기관지 상피세포 운동섬모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미세소관이 가운데에 한 쌍, 그 둘레로 아홉 쌍 배열되어 있는 9+2 구조가 관찰난다.
세기관지의 纖毛 斷面

纖毛(cilia)는 2-20μm 길이의 突出된 構造로, 中心部에 微細小管 다발이 位置한다. 機關 機關紙 喇叭管 의 上皮細胞는 運動性을 갖는 數百 個의 運動纖毛(motile cilia)를 갖는다. 運動纖毛의 中心部에는 微細小管이 9+2 構造로 配列되어 있으며, 디네인(dynein) 蛋白質을 통해 서로 連結되어 있다. 디네인 蛋白質의 ATP 加水分解 酵素 活性은 纖毛에 運動性을 提供한다. 氣管支의 運動纖毛는 粘液이나 먼지 粒子를 입咽頭 쪽으로 쓸어올리는 役割을 하며, 喇叭管의 運動纖毛는 卵子와 液體를 子宮 쪽으로 運送하는 것을 돕는다. [2] [3]

一部 組織에서는 하나의 日次纖毛(primary cilia)만을 갖는 細胞를 觀察할 수 있는데, 이들 纖毛는 微細小管이 9+0 構造로 配列되어 있으며, 디네인도 없으므로 一般的으로 運動性을 갖지 않는다. 日次纖毛는 · 利子 · 콩팥 等 分泌 機能을 갖는 機關에서 流體의 흐름을 感知하는 機能을 遂行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日次纖毛 中 胚芽 의 遠視結節(primitive node)에서 나타나는 纖毛(nodal cilia)는 例外的으로 回轉運動이 可能하다. 이 纖毛의 回轉運動은 體內 將棋의 左右 非對稱性을 形成하는 데에 重要한 役割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3]

街쪽面 [ 編輯 ]

가쪽面에는 다양한 細胞延接이 있어서 細胞를 서로 結合시켜 준다. 特히 꼭대기面에 가까운 位置에는 連接複合體 或은 이음複合體(junctional complex)라고 불리는 構造가 存在해서 各種 物質 移動을 制限하는 障壁 役割을 한다. 이음複合體는 緻密이음 , 附着띠(adherens junction, zonula adherens), 그리고 附着斑點(desmosome, macula adherens) 等의 細胞延接으로 構成된다. 緻密이음은 또한 上皮細胞膜의 燐脂質과 蛋白質이 꼭대기面과 가쪽面을 넘나들지 못하도록 막음으로써 細胞 極盛을 維持하는 데에 寄與하기도 한다. 附着띠와 附着半點은 캐드헤린 等의 蛋白質을 통해 上皮細胞를 서로 連結한다. 이 밖에도 細胞 사이 物質 運送의 通路 役割을 하는 틈새이음 等의 細胞延接이 가쪽面에 存在한다. [4]

바닥面 [ 編輯 ]

바닥面은 바닥膜 및 反附着斑點(hemidesmosome) 等의 構造를 통해 細胞外바탕質 과 이어져 있다. 바닥膜에서는 Ⅳ兄 콜라겐 , 라미닌 (laminin), 그리고 다양한 糖蛋白質 및 프로테오글리칸 으로 이루어진 바닥板(basal lamina)을 觀察할 수 있다. 바닥板은 上皮細胞 바닥面과 細胞外바탕質의 構造的 連結을 媒介하고 上皮와 周邊 結合組織을 分離할 뿐만 아니라, 物質 移動 및 信號 傳達에도 關與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닥板 너머에는 그물纖維(reticular fiber) 卽 Ⅲ兄 콜라겐으로 이루어진 그물版(reticular lamina)李 存在하는데, 이 救助는 上皮로부터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周邊 結合組織에서 祈願한 것이다. 그물版은 바닥板과 함께 바닥膜의 構成要素로 看做되기도 한다. [5]

分類 [ 編輯 ]

上皮 組織의 種類

上皮 組織은 上皮細胞가 이루는 層의 個數에 따라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分類된다.

  • 單層(simple): 외겹으로 된 細胞가 平面的으로 連結되어 있는 境遇
  • 重層(stratified): 細胞가 두 겹 以上으로 配列되어 있는 境遇

單層 相避는 上皮細胞의 形態에 따라, 重層 相避는 가장 꼭대기 쪽에 位置한 上皮細胞의 形態에 따라 다시 여러 가지로 分類된다. 이때 上皮細胞의 形態를 區分하는 基準은 다음과 같다.

  • 扁平(squamous): 細胞의 너비가 높이보다 긴 境遇
  • 立方(cuboidal): 細胞의 너비와 높이가 비슷한 境遇
  • 原州(columnar): 細胞의 너비보다 높이가 긴 境遇

上皮 組織은 이들 基準을 組合하여 分類된다. 이 밖에 꼭대기面에 發達한 特殊 構造의 類型과 같은 基準에 따라 上皮 組織을 追加的으로 分類하기도 한다. 代表的인 上皮 組織의 類型을 다음과 같이 羅列할 수 있다. [1] [6]

單層扁平上皮 [ 編輯 ]

세기관지 주변으로 매우 얇게 퍼져 있는 폐포의 단층편평상피를 관찰할 수 있다.
肺胞의 單層扁平上皮

單層扁平上皮(simple squamous epithelium)는 扁平한 上皮細胞로 이루어진 單層 上皮를 가리킨다. 높이가 낮은 細胞가 한 層으로 配列되어 엷은 膜을 形成하고 있으므로, 擴散을 통한 物質 交換에 有利하다. 肺胞 의 上皮나 血管 · 림프관 의 內部 表面을 덮는 上皮가 여기에 該當한다. 血管·림프관에 存在하는 單層扁平上皮를 內皮 (endothelium)라고 부른다. 한便 體腔을 덮는 心膜·胸膜· 腹膜 等 帳幕의 上皮 亦是 單層扁平上皮에 該當하는데, 이들을 통틀어 中避 (mesothelium)라고 부른다.

單層立方上皮 [ 編輯 ]

單層立方上皮(simple cuboidal epithelium)는 주사위와 같은 模樣의 上皮細胞로 이루어진 單層 上皮를 가리킨다. 吸收·分泌·이온 能動輸送 等 物質 輸送을 위해 特殊化된 境遇가 많다. 신장 集合管, 갑상샘, 침샘 等에서 觀察된다.

單層圓柱上皮 [ 編輯 ]

십이지장의 상피세포들은 원주 모양을 띠며 한 층으로 늘어서 있으므로, 이 상피는 단층원주상피로 분류된다. 내강과 상피의 경계에서 미세융모에 의해 형성된 줄무늬가장자리를 관찰할 수 있다.
十二指腸의 單層圓柱上皮

單層圓柱上皮(simple columnar epithelium)는 圓周 模樣 細胞로 이루어진 單層 上皮를 가리킨다. 이때 細胞의 斷面은 多角形이다. 分泌나 能動的 吸收가 일어나는 곳에서 主로 觀察된다. 營養素의 吸收와 消化液의 分泌가 주된 機能인 醬의 上皮에서 觀察된다.

重層扁平上皮 [ 編輯 ]

표피의 각질중층편평상피 꼭대기 쪽에서는 완전히 각질화되어 핵이 사라진 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다.
表皮의 角質重層扁平上皮

重層扁平上皮(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는 가장 꼭대기 쪽에 位置한 細胞들이 扁平한 模樣을 띤 重層 上皮를 가리킨다. 바닥 쪽에는 活潑하게 分列 하는 바닥細胞(basal cell)가 存在하여 上層部의 細胞들을 持續的으로 代替한다. 꼭대기 쪽으로 갈수록 漸漸 더 噴火 되어 있고 납작하며 케라틴 (keratin)이 豐富한 細胞들이 存在한다. 가장 꼭대기 쪽에 位置한 細胞에 核이 存在하는지 與否에 따라 角質重層扁平上皮(keratinized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와 非角質(nonkeratinized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重層扁平上皮를 區分할 수 있다. 角質重層扁平上皮의 代表的인 例는 皮膚의 表皮(epidermis)로, 가장 꼭대기 쪽 細胞는 核이 없으며 結局 磨耗에 依해 떨어져 나가게 된다. 비각질重層扁平上皮는 食道 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 上皮에서는 가장 꼭대기 쪽 細胞도 核을 갖고 있다. 이처럼 重層扁平上皮는 直接 힘이 加해지는 곳에서 內部를 保護하며, 磨耗되기 쉬운 곳에 存在하여 빠르게 再生한다.

重層立方上皮 [ 編輯 ]

重層立方上皮(stratified cuboidal epithelium)는 가장 꼭대기 쪽에 立方型 細胞들이 位置한 重層 上皮를 가리키며, 매우 드물게 觀察된다. 땀샘의 분비관이나 卵胞 의 上皮 等이 여기에 該當한다.

重層圓柱上皮 [ 編輯 ]

重層圓柱上皮(stratified columnar epithelium)는 가장 꼭대기 쪽에 圓周 模樣 細胞들이 位置한 重層 上皮를 가리키며, 매우 드물게 觀察된다. 主로 外分泌샘의 큰 분비관들이 여기에 該當한다.

거짓重層上皮 [ 編輯 ]

기관의 거짓중층섬모원주상피는 섬모세포, 술잔세포, 바닥세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세포는 바닥막에 닿아 있지만, 바닥세포만은 내강에 닿지 못한다.
機關의 거짓重層纖毛圓柱上皮

거짓重層上皮(pseudostratified epithelium)는 모든 細胞가 바닥膜에 닿아 있지만 一部 細胞가 꼭대기面에 到達하지 못해, 언뜻 보기에 重層 上皮처럼 보이는 單層 上皮를 가리킨다. 定款 및 副睾丸의 거짓重層圓柱上皮(pseudostratified columnar epithelium)가 여기에 該當한다. 이 相避에는 꼭대기面에 不動纖毛를 갖는 圓周 模樣의 細胞와 바닥細胞가 存在하는데, 바닥細胞는 內腔에 닿지 않는다. 한便 機關 및 氣管支의 上皮度 細胞들이 비슷하게 配列되어 있으나, 圓周 模樣의 細胞 꼭대기面에 不動纖毛가 아니라 纖毛가 存在한다. 따라서 이 組織은 거짓重層纖毛圓柱上皮(pseudostratified ciliated columnar epithelium)로 分類된다.

移行上皮 [ 編輯 ]

우산세포가 어느 정도 비대해진 요로상피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尿路上皮

移行上皮(transitional epithelium) 또는 尿路上皮(urothelium)는 尿管 膀胱 에서만 볼 수 있는 특수한 種類의 上皮이다. 尿路相避는 바닥層, 中間層, 그리고 가장 꼭대기쪽에 位置한 얕은층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돔形의 얕은요로상피세포(superficial urothelial cell) 或은 雨傘細胞(umbrella cell)가 얕은층을 이룬다. 尿路上皮의 높이 및 細胞 配列은 膀胱이 修築하거나 弛緩함에 따라 顯著하게 變하는데, 移行上皮라는 이름은 이와 같은 特徵을 反映한 것이다.

上皮 組織의 變形物 [ 編輯 ]

外胚葉附屬器 [ 編輯 ]

齒牙의 構造 A)齒冠 B)齒根
1)琺瑯質 2)象牙質 3)治水 4)齒肉 5)세멘트질 6)뼈 7)血管 8)神經

齒牙 는 齒肉(齒肉) 바깥에 보이는 흰色의 에나멜질이 上皮 細胞의 作用으로 만들어진 部分이다. 그러나 그 上皮 細胞는 齒牙가 남과 同時에 없어지기 때문에 에나멜질은 磨耗되면 再生하지 않는다.

털은 皮膚 表皮가 움푹 들어가 그 各層이 變形되어 생긴 것이다. 人間 體表의 大部分의 皮膚에 存在하지만 손바닥, 발바닥, 입술, 乳頭 等에는 없다. 손·발톱은 皮膚 表皮가 變形하여 角化된 것이다.

[ 編輯 ]

은 특수한 物質을 生産·分泌하는 機能을 갖게 된 上皮細胞로 이루어진 機關 이다. 物質 排出 方法에 따라서 內分泌샘 外分泌샘 으로 區別된다. 內分泌샘에서는 샘細胞의 分泌物이 隣接 毛細血管 으로 分泌되어 血管 을 통해 目的地로 運送되는 反面, 外分泌샘에서는 分泌物이 導管을 통해 目的地로 直接 排出된다. 샘細胞가 그 細胞膜 을 破壞하지 않고 分泌를 할 때는 漏出 分泌(eccrine), 細胞膜이 破壞되고 細胞質 의 一部가 分泌物과 함께 排出될 때는 利出 分泌(apocrine), 細胞 全部가 排出되어 버릴 때는 全分泌(holocrine)라고 한다.

發生 [ 編輯 ]

上皮 組織은 세 가지 胚葉 모두로부터 發生할 수 있다. 各 胚葉으로부터 發生하는 上皮의 例는 다음과 같다. [7]

  • 外胚葉 : 表面外胚葉으로부터 皮膚의 表皮와 角膜의 上皮가 만들어지며, 젖샘과 땀샘·피지샘 等 皮膚와 聯關된 外分泌샘들도 만들어진다.
  • 中胚葉 : 中間中胚葉으로부터 泌尿生殖系統의 上皮가 만들어진다. 한便 街쪽版中胚葉으로부터 內皮와 重피가 만들어진다.
  • 內胚葉 : 內胚葉으로부터 消化管과 祈禱, 그리고 膀胱 및 尿膜館의 上皮가 만들어진다. 間·利子와 갑상샘·不갑상샘·片道 等 一部 構造의 上皮 部分도 內胚葉에서 祈願한다.

歷史 [ 編輯 ]

上皮(epithelium)라는 말은 위 또는 겉을 뜻하는 '에피'( 그리스어 : ?π? )와 乳頭를 뜻하는 '텔레'( 그리스어 : θηλ? )가 합쳐진 것으로 '乳頭 겉 組織'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유두란 實際 젖꼭지 가 아니라 젖꼭지 模樣의 微細한 突起를 뜻하는 組織學 用語이다. 처음 'epithelium'이라는 單語를 쓴 것은 18世紀 네덜란드 解剖學者 프레데릭 라위스 였다. 그는 입술 의 一部인 윗입술中心(prolabium) 表面의 큐티클 層에 對해 다음처럼 敍述하였다. [8]

Nulla sabest huic integumento cutis, ergo epidermis dici nequit quamvis analogiam summam et connexionem cum illa habet (···) comperi prolabia constituta esse ex meris non cutaneis (cutis enim hic revera deest) sed papillis nervosis; itaque integumentum illud supradictum potius epithelida dixero vel integumentum papillare prolabiorum[.]

이곳을 덮는 皮膚는 없으며, 따라서 至極한 類似性과 聯關性이 있을지언정 이것을 表皮(epidermis)라고 부를 수는 없다. (···) 나는 윗입술中心이 그저 皮膚가 아니라 神經이 있는 乳頭로 이루어졌음을 알아냈다. (事實 여기에는 皮膚가 없다.) 그러므로 나는 오히려 앞서 말한 外皮를 上皮(epithelida) 或은 윗입술中心 乳頭 덮개라고 부르겠다[.]

? 《解剖學 大辭典(Thesaurus Anatomicus)》 第 3卷 (1703)

一部 學者들은 특수한 種類의 上皮를 따로 分類하고자 했다. 1865年 빌헬름 히스 는 《몸의 幕과 구멍(Die Haute und Hohlen des Korpers)》에서 中胚葉 起源의 相避는 機關 의 바깥 表面이 아니라 몸 안쪽에 난 空間을 덮는다는 點에서 起源·形態·機能이 크게 다르므로 거짓上皮(false epithelium) 或은 內皮 (endothelium, 그리스어 : ?νδον →안쪽 , 그리스어 : θηλ? →乳頭 )라고 區別하여 부르자고 提案했다. [9] 두 種類 組織 사이에 큰 差異가 없을뿐더러 'endothelium'의 語源을 풀면 '乳頭 안쪽 組織'이라는 뜻인 셈이니 不適切하다고 反對한 學者들도 있었지만, 結局 이 名稱은 널리 받아들여져 20世紀부터 血管 림프관 의 안쪽 表面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8] [9] 한便 1890年 찰스 세지윅 마이넛 은 몸 바깥 表面을 덮는 組織을 外皮(ectothelium)라고 부르고, 中胚葉에서 由來하여 몸 안쪽 表面에 맞닿은 組織을 中避 (mesothelium, 그리스어 : μ?σο? →가운데 , 그리스어 : θηλ? →乳頭 )라고 부르자고 提案했다. 마이넛의 中避 槪念은 콩팥 을 이루는 두꺼운 上皮 組織, 或은 結合 組織 으로 이루어진 潤滑膜 等도 包含하는 것이었다. 오늘날 中避라는 名稱은 體腔 의 안쪽 表面을 덮는 組織을 가리키는 말로만 쓰인다. [9]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Ross, 2011: pp. 105-108
  2. Apodaca, Gerard (01 02, 2018). “Role of Polarity Proteins in the Generation and Organization of Apical Surface Protrusions” . 《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10 (1). doi : 10.1101/cshperspect.a027813 . ISSN   1943-0264 . PMC   5587363 . PMID   28264821 .  
  3. Ross, 2011: pp. 109-121
  4. Ross, 2011: pp. 121-133
  5. Ross, 2011: pp. 134-146
  6. L.,, Kierszenbaum, Abraham. 《Histology and cell biology : an introduction to pathology》 4板. Philadelphia, PA. ISBN   9780323313339 .  
  7. Ross, 2011: p. 103
  8. Foster, Michael (1874年 7月 1日). “Memoirs: On the Term Endothelium” . 《Journal of Cell Science》 (英語). s2-14 (55): 219?223. doi : 10.1242/jcs.s2-14.55.219 . ISSN   1477-9137 .  
  9. Stohr, Philipp; Lewis, Frederic Thomas; Schultze, Oskar Max Sigismund (1913). 《A text-book of histology, arranged upon an embryological basis》 2板. Philadelphia: P. Blakiston's son & co. 46-47쪽.  

參考文獻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 H., Ross, Michael (2011). 《Histology : a text and atlas : with correlated cell and molecular biology》 6板. Philadelphia: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Health. ISBN 978-0-7817-72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