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상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祕玩妄想 에서 넘어옴)

文法 에서 문법상 (文法相, grammatical aspect)은 (相, aspect)의 하나로, 事件이나 狀態 [週 1] 內部의 時間的인 構成을 바라보는 觀點을 나타내는 文法 範疇이다. [1] 觀點上 (觀點相, viewpoint aspect)이나 動作相 (動作相)이라고도 한다. 크게 완妄想(完望相, perfective)과 祕玩妄想(非完望相, imperfective)으로 나뉜다. 문법상은 語彙上 과 함께 像을 이룬다. [2]

分類 [ 編輯 ]

一般的으로 文法上은 완妄想과 祕玩妄想의 對立이 있다. 완妄想은 事態를 構成하는 部分들이 區別되지 않는 事態, 完結된 結果가 있는 事態, 過去의 事態, 瞬間的인 事態 等을 나타내고, 祕玩妄想은 持續的인 事態, 進行되는 事態, 習慣的인 事態, 反復的인 事態 等을 나타낸다. [3]

완妄想 [ 編輯 ]

완妄想 (完望相, perfective)은 事態를 分析할 수 없는 單一한 全體로 把握하는 賞 範疇이다. [1] 달리 말해 완妄想은 事態를 外部에서 바라보는 觀點으로, 이때 事態의 內的인 構造는 考慮되지 않는다. [4] 따라서 事態를 構成하는 細部的인 局面은 모두 無視된다. [5]

結果論的으로 볼 때, 완妄想은 始作부터 끝까지 完結된 事態를 記述하지만, 여기서 事態가 完結되었다는 事實을 强調해서는 안 된다. 완妄想의 本質은 事態가 完結된 以後를 强調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살폈듯 事態의 모든 部分을 한 덩어리로 바라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6] 그러나 事態의 完決에 重點을 둔 用語 體系에서는 완妄想을 ‘完了相’이나 ‘完結上(完結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완妄想은 簡單하게 完成上, 結果上, 完了相으로 나뉜다. [7] 완妄想을 簡單하게 分類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8]

문법상

完成上

완妄想
祕玩妄想

習慣上

連續上

非進行上

進行相

完了相

完成上 (完成相, completive)은 完全하고 完成된 事態를 나타내는 賞 範疇이다. 어떤 事態가 ‘完全히, 完璧히’와 같은 意味의 府使의 修飾을 받는 境遇 완妄想 中에서도 完成上에 該當할 可能性이 크다. [9] 假令 ‘철수는 밥 한 그릇을 다 먹어 버렸다.’는 完成上의 意味이다.

結果上 (結果相, resultative)은 事態가 完了된 以後의 結果 狀態가 持續되는 것을 記述하는 賞 範疇이다. [10] [9] ‘結果持續上(結果持續相)’이나 ‘持續賞(持續相)’이라고도 한다. 結果相異 特히 結果 持續의 意味를 强調한다는 點에서 結果賞을 完了相의 下位 範疇로 넣기도 하고, 그와 別個의 賞 範疇로 보기도 한다. [10] 假令 ‘어느 男子가 죽어 있다.’는 結果上의 意味이다.

完了相 (完了相, perfect)은 事態가 基準時(reference time)보다 앞서 發生하고, 그 基準詩에서의 狀況에 關與하는 것을 나타내는 賞 範疇이다. ‘善行賞(先行相, anterior)’이라고도 한다. [9] 完了相 範疇는 現在館女性(現在關與性, present relevance), 卽 過去에 發生한 事態가 現在까지 影響을 미치고 있다는 意味를 內包한다. [11]

祕玩妄想 [ 編輯 ]

祕玩妄想 (非完望相, imperfective)은 事態의 內部에서 그 構造를 眺望하는 賞 範疇이다. [12] 事態의 完決에 重點을 둔 用語 體系에서는 祕玩妄想을 ‘불完了相(不完了相)’, ‘未完了上(未完了相)’, ‘非完了相(非完了相)’, ‘未完결上(未完結相)’, ‘祕玩結像(非完結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祕玩妄想을 簡單하게 分類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8]

문법상

완妄想

祕玩妄想

習慣上

連續上

非進行上

進行相

習慣上 (習慣相, habitual)은 事態의 反復이나 連續的인 發生을 記述하기 때문에 本質的으로 反復性(反復性, iterativity)의 意味를 띠지만, 反復上 (反復相, iterative)과는 다르다. 于先 ‘習慣’이라고 이야기하기 힘들 만큼 制限된 回數의 單純한 反復은 習慣上이 아니라 反復賞이다. 假令 ‘철수는 일어서서 기침을 다섯 番 했다.’는 反復上의 意味이다. 그런데 事態가 反復性을 띠지 않더라도 習慣上을 나타내는 標識가 使用되기도 한다. 假令 ‘ Temple of Diana used to stand at Ephesus . →아르테미스 神殿은 에페소스에 있었다. [週 2] 라는 英語 文章은 習慣上의 表紙 ‘used to’를 使用하였지만, 一般的으로 그 文章 自體는 아르테미스 神殿이 途中에 끊어짐이 없는 單一한 期間 동안 에페소스에 있었다고 解釋된다. [13] 그렇지만 얼마나 자주, 規則的으로 事態가 反復되어야 習慣上으로 解釋할 수 있는지는 明確하게 定하기 힘들다. [14] 習慣上의 意味를 內包하면서, 事態가 매우 頻繁하게 發生함을 强調하는 賞 範疇를 頻繁上 (頻繁相, frequentative)이라고 한다. [15]

連續上 (連續相, continuous)은 事態의 持續을 나타내는 賞 範疇이다. [15] 連續上은 進行相 (進行相, progressive)과 非進行上 (非進行相, nonprogressive)으로 나뉜다. 進行相은 上台星이 없는 事態의 持續을 나타내며 [16] , 非進行賞은 連續上 中 그 나머지이다.

完了相과 豫定相 [ 編輯 ]

완妄想과 祕玩妄想의 對立과 別途로, 完了相과 豫定上의 對立을 設定하기도 한다. 完了床이 過去 時點의 事態의 그 以後 時點의 狀態와의 關係를 나타내는 賞이라면, 豫定相 (豫定相, prospective)은 完了相과 反對로 어느 時點의 狀態의 아직 일어나지 않은 事態와의 關係를 나타낸다. 一般的으로 現在 時點에서 豫定되어 있는 事態를 記述할 때 使用된다. 言語에 따라 完了相과 豫定相이 明確히 對稱되지 않는 것도 있다. [17]

英語에서 豫定賞은 ‘be going to’, ‘be about to’, ‘be on the point of’ 等의 構成으로 表現된다. [17] 韓國語에서는 補助用言 構成 ‘-려 하다’가 豫定相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다른 文法 範疇와의 關係 [ 編輯 ]

時祭 [ 編輯 ]

문법상은 時祭 와 더불어 時間 과 關聯된 文法 範疇이다. 그러나 문법상이 事態 內的인 時間을 다루는 反面, 時祭는 事態 外的인 時間을 다룬다는 差異가 있다. [18] 卽, 문법상은 時祭와 달리 事態의 時間的 構造에 對한 話者의 認識과 關聯되어 있다. [19] 문법상이 發達한 言語는 時制가 덜 發達하였고, 反對로 時祭가 發達한 言語는 문법상이 덜 發達한 便이다. 문법상과 詩祭 모두 存在하지 않는 言語도 있다.

過去 時制와 완妄想은 몇 가지 差異點이 있다. 于先 過去 時制는 未完了上 表紙와 함께 쓰이거나, 上 表紙 없이 單獨으로 쓰일 수 있으나, 완妄想은 未完了上 表紙와 同時에 使用될 수 없다. 過去 時制는 반드시 形態가 있어야 하나, 완妄想은 靈形態 標識가 存在할 수 있다. 狀態 動詞와 어울려 쓰였을 境遇, 완妄想은 現在 時制를 나타낼 수 있으나, 過去 時制는 그렇지 않다. 마지막으로 완妄想은 種種 未來의 意味를 나타낼 수 있지만, 過去 時制는 條件文을 除外한 境遇 그렇지 못하다. [20]

語彙上 [ 編輯 ]

문법상과 語彙上은 獨立的이지만, 서로 解釋에 密接하게 依存하는 文法 範疇이다. [21] 動詞의 語彙上 또는 狀況類型에 따라, 同一한 形態의 文法上 表紙라도 다른 文法上 意味로 읽힌다. [22]

假令 ‘걷다’는 行爲 凍死 (activity)로, ‘-고 있다’와 結合하면 進行相의 意味로 읽힌다. 反面 ‘쥐다’는 時幅이 매우 짧아 드러나지 않는 瞬間 凍死 (semelfactive)로, ‘-고 있다’와 結合하면 完了相 또는 結果上의 意味로 읽힌다. 이때 ‘천천히’처럼 副詞語를 使用하여 事態의 詩幅을 늘리면 進行相의 意味로 읽힐 수도 있다. 또한 ‘깜빡이다’는 瞬間 動詞이면서 事態의 結果가 남지 않는 動詞로, 動作을 여러 次例 連이어 反復하면 行爲의 持續이나 다름없어지므로 進行相의 ‘-고 있다’와 結合할 수 있다. [22]

文法化 [ 編輯 ]

완妄想 範疇의 汎言語的인 文法化 經路는 아래와 같다. [23]

結果上 結果로부터의 推論 間接 證據
完成上 善行賞 완妄想 單純 過去
派生的 완妄想

祕玩妄想 範疇의 汎言語的인 文法化 經路는 아래와 같다. [24] [15]

反復上 繼續相(continuative) [週 3] 進行相 連續上
祕玩妄想 現在 時祭
反復上 → 頻繁上 習慣上

言語別 문법상 [ 編輯 ]

韓國語 [ 編輯 ]

韓國語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觀察되는 文法上은 進行上과 完了床이 있다. [25] 進行相은 ‘-고 있다’, ‘-아/어 오다’, ‘-아/어 가다’와 같은 補助用言 構成으로 表現된다. 副詞形 語尾 ‘-(으)며’, 依存名詞가 包含된 構成 ‘-는 中이다’로 表現되기도 한다. [10]

完了相은 先語末語尾 ‘-았/었-’, 補助用言 構成 ‘-어 있다’, ‘-고 있다’ 等으로 表現된다. 完了相 範疇는 結果上 範疇와 聯關되어 있다. ‘-어 있다’는 結果 持續의 意味를 强調하는 結果賞을 表現한다. 着用動詞와 ‘-고 있다’가 어울려 쓰이면 進行相과 結果上 모두로 解釋된다. [10]

現代 韓國語에서 ‘-느-’와 ‘-더-’는 冠形詞型에서 各各 現在 時祭 未完妄想과 過去 時制 未完妄想의 意味를 나타내는 形態論的 및 意味論的 系列 關係를 보인다. 그렇지만 終結形에서 이 系列 關係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中世 韓國語 에서는 ‘-느-’와 ‘-더-’가 冠形詞形뿐 아니라 終結形에서도 系列 關係를 보였다. 이는 中世 韓國語에 없던 過去 時制 先語末語尾人 ‘-았/었-’이 近代 韓國語 時期에 생기면서, ‘-느-’와 ‘-더-’의 現在/過去 時制 技能 負擔量(機能負擔量, functional load)李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現代 韓國語에 와서 ‘-느-’의 意味는 無標的으로 變하였고, ‘-더-’의 意味는 認識 樣態 로 變하였다. [26]

슬라브語 [ 編輯 ]

러시아語 슬라브語 는 문법상이 相當히 發達하여 있다. 一般的으로 슬라브語에서는 완妄想을 나타내는 單語와 祕玩妄想을 나타내는 單語의 對立이 確實하다. [3] 假令 러시아語에서 動詞의 對立은 아래와 같다.

완妄想 祕玩妄想
пойти ходи?ть / идти? 걷다
побежать бе?гать / бежа?ть 달리다
полететь лета?ть / лете?ть 날다
поплыть пла?вать / плыть 水泳하다

英語 [ 編輯 ]

英語는 슬라브語만큼 문법상이 發達하지 않아서, 進行相과 完了床이 代表的인 文法上 範疇이다. [27] 進行相은 ‘be動詞+現在分詞’ 構成으로 表現된다. 一般的으로 ‘have+過去分詞’ 構成은 完了相의 意味인데, 비슷한 ‘be動詞+過去分詞’ 構成은 結果上의 意味로 解釋된다. [11]

各州 [ 編輯 ]

內容主
  1. 以下에서는 ‘事件(event)이나 狀態(state)’를 모두 ‘事態(eventuality)’로 統一한다.
  2. 實際로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神殿은 세 番 破壞되고 再建되었으므로, 不連續的으로 存在하였다.
  3. Joan Bybee 外 (1994)에서 繼續賞은 進行相과 비슷한 意味로서, 動的인 事態가 發話時 現在에도 進行되고 있음을 强調하는 賞 範疇의 用語로 쓰였다.
參照週
  1. Bernard Comrie 1976 , 3쪽 .
  2. 고영근 (1986). “國語의 時祭와 動作相” . 《새國語生活》 (서울: 國立國語院).  
  3. 강범모 2018 , 131쪽 .
  4. Bernard Comrie 1976 , 4쪽.
  5. Bernard Comrie 1976 , 16쪽.
  6. Bernard Comrie 1976 , 18쪽.
  7. Joan Bybee 外 1994 , 51쪽.
  8. Bernard Comrie 1976 , 25쪽.
  9. Joan Bybee 外 1994 , 54쪽 .
  10. 구본관 外 2015 , 319쪽 .
  11. Joan Bybee 外 1994 , 63쪽 .
  12. Bernard Comrie 1976 , 24쪽.
  13. Bernard Comrie 1976 , 27쪽.
  14. Bernard Comrie 1976 , 28쪽.
  15. Joan Bybee 外 1994 , 127쪽 .
  16. Bernard Comrie 1976 , 12쪽.
  17. Bernard Comrie 1976 , 64쪽 .
  18. Bernard Comrie 1976 , 5쪽.
  19. 강범모 2018 , 130쪽.
  20. Joan Bybee 外 1994 , 95쪽.
  21. 구본관 外 2015 , 321쪽.
  22. 구본관 外 2015 , 322쪽 .
  23. Joan Bybee 外 1994 , 105쪽.
  24. Joan Bybee 外 1994 , 172쪽.
  25. 구본관 外 2015 , 318쪽.
  26. 구본관 外 2015 , 334-335쪽.
  27. 강범모 2018 , 132쪽.

參考 文獻 [ 編輯 ]

  • Bernard Comrie (1976). 《Aspect: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verbal aspect and related problem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11093 .  
  • Joan Bybee 外 (1994). 《The Evolution of Grammar》.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0226086631 .  
  • Kate Kearns (2011). 《Semantics》 第2板. Hampshire: Palgrave Macmillan. ISBN   9780230232303 .  
  • 강범모 (2018). 《意味論: 國語, 世界, 마음》. 서울: 韓國文化史. ISBN   9788968176012 .  
  • 구본관 外 (2015). 《韓國語 文法 總論 I ?開館, 音韻, 形態, 統社-》. 京畿: 집문당. ISBN   9788930316736 .  
  • 이영헌(譯者); Kate Kearns(原著者) (2003). 《意味論의 新傾向》. 서울: 韓國文化史. ISBN   9788977357693 .